•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mathematics textbooks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28초

비례식과 비례배분에 대한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Proportional Expression and Proportional Distribu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장혜원;박혜민;김주숙;임미인;유미경;이화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229-248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 수학에서 비례식과 비례배분 지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문헌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관련 내용을 종적 횡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비례식과 비례배분의 적절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종적 분석을 위해 국내의 5차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수학 교과서를, 횡적 분석을 위해 일본, 싱가포르, 중국 수학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각의 교과서에 제시된 비례식과 비례배분 관련 학습 요소 및 지도 순서, 용어의 정의, 개념의 도입 맥락, 도입 시 사용된 시각적 표현을 기준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례식과 비례배분 정의의 선수 학습과의 연결, 비례식과 비례배분의 도입 시 맥락과 지도 순서의 세심한 고려, 다양한 시각적 표현의 사용, 실생활 맥락 속에서 문제 해결 기회 확대의 필요 등 차기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단원 구성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들이와 무게의 단위에 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Capacity and Weight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권미선;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385-40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들이와 무게의 단위에 대한 내용을 단위, 단위 사이의 관계, 표준 단위의 필요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위와 관련하여 제5차 수학 교과서부터 2009 개정 수학 교과서까지 교과서에 제시된 단위의 표현, 단위의 표기, 단위의 종류, 단위의 기본량의 제시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2009 개정 수학 교과서의 내용은 국제단위계와 대체적으로 일치하지만 물의 무게를 통해 1kg을 정의하는 방식이 국제단위계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사이의 관계와 관련하여 교과서에서는 대체적으로 단위 사이의 관계를 글로 제시하고 있었으나 2009 개정 수학 교과서에는 발문과 그림을 통해 그 이해를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표준 단위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임의 단위의 불편함을 통해 표준 단위의 보편성, 편리성을 모두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이나 발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에서 들이와 무게의 단위 제시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수학 교사의 교과서 이해 및 활용 의도 탐색 (Investigating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and intention to use textbooks)

  • 조수현;김구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1호
    • /
    • pp.111-131
    • /
    • 2021
  • 이 연구는 수학 교사들이 교과서 등으로 구현되는 교육과정을 어떻게 이해하여 활용하고자 의도하는가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교사들이 교과서 내용을 수업에 적용하는 의도와 목적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검사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25명의 교사들이 검사에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로, 첫째, 연구 참여 교사들은 대체로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수업에 활용하려는 경향을 드러낸다. 둘째, 교과서의 문제를 수정하거나 보완을 시도하는 경우에 그 결과물이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능력을 촉진하는 과제의 특성을 포함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대체로 교사들은 학생의 수학적 역량을 개발을 목적으로 두기보다는 평가 준거로서 교과서를 활용하고자 의도하였다. 수학 교사들은 수업 실행에 있어서 교과서의 내용을 해석하여 능동적으로 수업에 활용하기 보다는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여 충실히 따르고자 의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학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정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initions Presented in School Mathematics)

  • 우정호;조영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363-38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rough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initions in Korean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to explore the levels of them and to make suggestions for definition - teaching as a mathematising activity, Definitions used in academic mathematics are rigorous. But they should be transformed into various types, which are presented in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with didactical purposes.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d such types of transformation. With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we tried to identify the levels of the definitions in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in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there are definitions which carry out special functions in mathematical contexts or situations. We can say that we understand those definitions, only if we also understand the functions of definitions in those contexts or situations. In this thesis we investigated the cases in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when such functions of definition are accompanied. With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we tried to make suggestions for definition-teaching as an intellectual activity. To begin with we considered definition from two aspects, methods of definition and functions of definition. We tried to construct, with consideration about methods of definition, frame for analysing the types of the definitions in school mathematics and search for a method for definition-teaching through mathematization. Methods of definition are classified as connotative method, denotative method, and synonymous method. Especially we identified that connotative method contains logical definition, genetic definition, relational definition, operational definition, and axiomatic definition. Functions of definition are classified as, description-function, stipulation-function, discrimination-function, analysis-function, demonstration-function, improvement-function. With these analyses we made a frame for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initions in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With this frame we identified concrete types of transformations of methods of definition. We tried to analyse this result with van Hieles' theory about levels of geometry learning and the mathematical language levels described by Freudenthal, and identify the levels of definitions in school mathematics. We showed the levels of definitions in the geometry area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And as a result of analysing functions of definition we found that functions of definition appear more often in geometry than in algebra or analysis and that improvement-function, demonstration-function appear regularly after demonstrative geometry while other functions appear before demonstrative geometry. Also, we found that generally speaking, the functions of definition are not explained adequately in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So it is required that the textbook authors should be careful not to miss an opportunity for the functional understanding. And the mathematics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 functions of definitions. As mentioned above, in this thesis we analysed definitions in school mathematics, identified various types of didactical transformations of definitions, and presented a basis for future researches on definition teaching in school mathematics.

  • PDF

2015 개정 초등수학 교과서 2학년 곱셈 단원 분석 (A Study on the 2nd Grade Multiplication Units in 2015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353-38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plication unit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tudents learn multiplication in $2^{nd}$ grade. The multiplication units is divided into two: multiplication and multiplication facts. In these two units, we mainly analyze situations involving multiplication, models for teaching multiplication, and multiplication strategies for teaching multiplication facts in relation to Subject Matter Knowledge. We called these contents Multiplication Matter Knowledge. We examined the precedent study with regard to multiplication at the elementary mathematics. As results, we prepared an analysis framework for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expecially 'qualitative contents analysis'. The contents here refer to Multiplication Matter Knowledge that can be found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ing books etc. As results of analysis, We can confirm that various multiplication situations and multiplication models are presented in the textbooks. And it has been examined that various multiplication properties are presented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multiplication strategy levels. We insi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se Multiplication Matter Knowledg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basic data in these contexts.

우리나라 초등 교과서와 MiC 교과서의 통계 단원 비교.분석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Statistical sections between in the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the MiC textbooks)

  • 최선희;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1호
    • /
    • pp.41-52
    • /
    • 2012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MiC 교과서는 생활 속에서 수학적 소재를 도입하고, 학생 스스로 수학적 개념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지향하는 방향이 비슷하다. 그렇지만 우리나라 수학 교과서에 비해 MiC 교과서는 상황 중심, 맥락 중심으로 문제를 제시하고, 절차적으로 이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 중점을 두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수학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우리나라 초등교과서와 MiC 교과서의 통계 영역 단원을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 단원의 구성 체제, 학습 내용과 학습 전개 과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교과서는 제시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개념을 형성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자료를 조사하고 계획하는 활동이 미흡하였다. 이에 비해 MiC 교과서에서는 직접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등 수학자가 했던 것과 유사한 수학화 과정으로 수학적 개념을 형성하고 탐구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수학과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경제수학> 교과서의 일관성 분석 연구 (Analysis Study on the Consistency of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and Textbooks)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373-391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고시한 <경제수학> 과목의 교과서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경제수학> 교과서는 상경계열을 지원하는 학생을 위해 개발된 최초의 교과서라는 면에서 교육적 의의가 매우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제수학> 교과서가 교육과정 개발자가 제시하고 교과서 인정 기관에서 구체화한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과 일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국가에서 고시한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관성이 있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의 일관성에 대한 분석 결과 <경제수학> 교과서의 내용은 부분적으로 일관성이 있지만, 그렇지 않은 부분도 다수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향후 고등학교 선택과목의 검·인정에 있어 보다 철저한 기준 마련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의 제시가 요구된다.

대학수학교육에서의 교과서 및 사용 언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xtbooks and Languages Used in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 이상구;유주연;함윤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73-88
    • /
    • 2022
  • 수학교육은 수학을 읽고, 쓰고, 듣고, 말하면서 이루어진다. 즉, 수학을 한다는 것은 수학적으로 사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국어로 잘 쓰인 수학 교재를 읽고, 자국어로 수학을 토론하며 배우게 되면, 그 내용과 개념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활용하게 된다. 수학 선진국들의 경우, 대학 학부 수학 교재는 대부분 자국어로 쓰인 양질의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교육에서 사용하는 교재와 언어가 국가 수학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한다. 특히 대학의 설립 초기부터 자국어 교재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대학수학 교재를 모두 히브리어로 최초 개발한 이스라엘 공과대학(테크니온)의 언어전쟁 사례와 양질의 자국어 대학수학 교재를 발간하면서 수학 선진국에 이르게 된 프랑스, 미국 및 일본 등의 사례를 분석하여 소개한다.

무리수 단원에 대한 교과서 분석 연구: 과정과 대상의 관점으로 (A textbook analysis of irrational numbers unit: focus on the view of process and object)

  • 오국환;박정숙;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2호
    • /
    • pp.131-145
    • /
    • 2017
  • The representation of irrational numbers has a key role in the learning of irrational numbers. However, transparent and finite representation of irrational numbers does not exist in school mathematics context. Therefore, many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irrational numbers as an 'Object'.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explored how mathematics textbooks affected to students' understanding of irrational numbers in the view of process and object. Specifically we analyzed eight textbooks based on current curriculum and used framework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sult derived from textbook analysis, we conducted questionnaires on 42 middle school students. The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s were related to the representation and calculation of irrational numb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that mathematics textbooks develop contents in order of process-object, and using 'non repeating decimal', 'numbers cannot be represented as a quotient', 'numbers with the radical sign', 'number line' representation for irrational numbers. Students usually used a representation of non-repeating decimal, although, they used a representation of numbers with the radical sign when they operate irrational numbers. Consequently, we found that mathematics textbooks affect students to understand irrational numbers as a non-repeating irrational numbers, but mathematics textbooks have a limitation to conduce understanding of irrational numbers as an object.

통계 학습과 관련된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An Analysis of Contents on Statistics in the 7th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l Materials)

  • 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655-676
    • /
    • 2008
  • 본 논문은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계 지도 목표 및 내용을 살펴보고, 개정 교육과정에서 변화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 교과서와 익힘 책에서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취지를 어떻게 구현하고 관련 세부 내용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래프별로 지도 방법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수준에 따라 교과서와 익힘 책의 문제를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통계 내용과 관련하여 차기 교과용 도서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