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high school

검색결과 1,256건 처리시간 0.033초

부천시 일부 초등학생의 영양소 섭취상태, 식습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the Nutrient Intake Status, Dietary Habits,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Bucheon-si)

  • 김설아;이복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8호
    • /
    • pp.786-796
    • /
    • 2008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영양소 섭취상태, 식습관, 학업스트레스 및 이들 요인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해보고자 경기도 부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2007년 7월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대상 학생은 정상범위의 신장과 체중 및 신체충실지수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에서 마른 학생의 비율이,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비만율이 더높았다. 영양소 섭취상태는 대부분 권장량 수준으로 섭취하고 있었으며,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B1는 120% 이상 섭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칼슘 (61%)과 엽산 (66%)은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었으며, 식이섬유소와 칼륨, 엽산의 섭취량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았다 (p < 0.05). 탄수화물:단백질:지방의 섭취비율과 n-3계열과 n-6계열 지방산 모두 적정량을 섭취하고 있었다. 식습관은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으나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불량한 편이었으며 학업스트레스는 남녀 모두 총 점수의 40% 정도로 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는 영양소 섭취상태 (에너지, 단백질, 인, 칼륨, 아연, n-6계열 지방산, 다중불포화지방산)가 좋을수록 (p < 0.05), 식습관점수가 높을수록 좋았다 (p < 0.05). 반면, 외식 빈도수가 적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적게 받고 있었다 (p < 0.01). 본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영양소 섭취상태와 식습관이 좋았으며 학업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있었다. 따라서 영양교사와 학부모 및 담임교사들은 아동에게 체계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함으로서 아동의 영양 상태증진 및 올바른 식습관 정립을 통하여 학업성취도 향상에도 일부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내 인문계 고등학생의 우울 실태 및 속박감의 매개효과 (Depression Status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Mediating Role of Entrapment)

  • 박영주;신나미;한금선;강현철;천숙희;신현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63-672
    • /
    • 2011
  • Purpos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depression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nd path analysis model for exploring the mediating role of entrapment to depression in relation to academic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Methods: Measurements were four reliable questionnaires measuring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entrapment, and depres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in 17 high schools in Seoul. Results: Students (n=5,346) completing the questionnaires indicated depression & entrapment from academic stress. Depression was more prevalent in girls, those whose parents' household income was less than two million won, who did not live with father or mother or both due to divorce, separation, or death, and those who smoked or used alcohol. Entrapment was more prevalent in students similar to cases of depression and in seniors. According to the proposed path model, 48.6% of depression was explained by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entrapment. The indirect effect of entrapment as a mediator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was verified and larger than the direct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Conclusion: Considering levels of depression and entrapment demonstrated by these students, better mental health programs with diverse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fo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경북지역 수산계 고등학교 교사의 수산업 의식 분석에 의한 학교 발전 방안 모색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Fishehes Highschool based on Fishery Consciousness by Teachers in Kyungbuk Province)

  • 김삼곤;박종운;이상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129-14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fishery consciousness for fisheries high school teache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61 fisheries high school teachers in Kyungbuk Province. The treatment of materials are classified by level of academic careers, teaching careers. This research evaluated percentage to the frequency of reponses to each question and carried out $\chi^2$ - test, etc.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ccounted for p<.05 and made use of SPSS10.0. The conclusion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trategic development of fisheries high school on fishery consciousness need to program with fishery characteristic, to promote maritime affairs had better systematic publicity activities. On educational system policy need to keep consistency of occupational education policy, change of titles of school and reconstruction of department, expand of carrier guidance direction. On high self-conceit of Hsheries high school teachers need to many discussion be based program of school itself and academic society. And director and vice-principle station region of islands, etc.

청소년 여가활동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Activities and Adjustment to School Lives by Teenager)

  • 염미진;정철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276-289
    • /
    • 2022
  • 본 연구는 학교생활적응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여가활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과 학업스트레스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하는 중·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2주간(2021년 11월 1일-11월 15일) 조사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심리적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학업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심리적 행복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과 학업스트레스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바람직한 여가활동, 높은 심리적 행복감, 낮은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에의 적응을 갖추는 삶을 살기 위한 방안 마련에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과 교사의 사회적지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Teachers and Academic Eng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정주헌;송교원;이창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2-110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사의 사회적지지를 통해 학생들의 수업몰입도를 높이며,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및 전략적 학급경영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의 수업몰입 측정도구(21문항)와 교사의 사회적지지 측정도구(25문항)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전국 5개 권역 11개교의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99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 수준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동몰입, 인지몰입에 비해 감정몰입 수준이 낮게 나타난 결과는 질적인 측면의 개선이 요구된다. 성별에 따른 수업몰입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인지몰입 요인과 감정몰입 요인에서 1학년 학생이 2, 3학년 학생 보다 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가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수업몰입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사회적지지는 보통 수준이며, 평가적지지, 도구적지지,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 순으로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사회적지지가 학생의 수업몰입에 주는 정적인 영향과 높은 상관관계, 그 설명력 모두 높은 결과를 얻었다. 더욱이 수업몰입의 질적인 측면에 있어 교사의 정서적지지가 높은 상관도와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교사의 사회적지지는 학생의 수업몰입 수준 향상에 도움을 주고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력과 만족감을 갖게 하여, 정서발달과 자아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nalysis of the Difference on Elementary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by Dependence on Smart Devices

  • Lee, KyungHee;Park, Hye-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213-22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과 학업수행능력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스마트기기 과의존 문제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중 12차 년도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자료를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비계층적 군집화분석(K-means), 일원변랑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Scheffé 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 의존과 학교적응 및 학업수행능력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기기의 의존도가 높은 잠재적 위험군과 고위험군의 학생이 안전군의 학생과 비교해 학교적응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위험군의 학생이 잠재적 위험군과 일반군의 학생과 비교해 학업수행능력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기기 과의존 초등학생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지원과 더불어 학교생활 적응 상담 지원 같은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한국고등학생의 체력요인과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factor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문달주;최석주;오현주
    • 한국교육논총
    • /
    • 제41권2호
    • /
    • pp.1-2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체력요인인 심폐지구력과 근력·근지구력, 순발력 그리고 체지방지수가 학업성취도인 국어와 영어 그리고 수학성취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14년과 2017년 전국 고등학교 641명의 남·여학생을 대상으로 심폐지구력과 유연성, 근력·근지구력, 순발력 그리고 체지방지수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2014년도에서는 20m왕복오래달리기와 국어, 수학성취도가 음의 상관관계(p<0.01),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가 영어성취도와 양의 상관관계(p<0.01), 제자리멀리뛰기와 영어성취도가 양의 상관관계(p<0.01), 체지방지수는 영어성취도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p<0.05). 2017년도에서는 20m왕복오래달리기와 영어성취도가 양의 상관관계(p<0.05). 오래달리기걷기와 국어성취도, 수학성취도는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p<0.01).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와 국어, 영어, 수학성취도는 양의 상관관계(p<0.01), 팔굽혀펴기와 수학성취도는 양의 상관관계(p<0.01), 체지방지수와 영어성취도는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론은 다양한 신체활동은 체력요인뿐만 아니라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관계를 만들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체력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것이 국내학생들의 학습능력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 PDF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 비교: 도덕적 이탈, 자기효능감, 가출,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files of adolescent on prob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specific focus on moral disengagement, self-efficacy, delinqu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 박영신;김의철;탁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2권2호
    • /
    • pp.45-76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일탈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과 심리 행동 특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보호관찰 청소년(253명)과, 일반계 고등학생(257명)을 표집하여 도덕적 이탈과 자기효능감 및 가출과 학업성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질적 질문지는 연구자가 제작하였고, 양적 질문지는 Bandura(1995)의 도덕적 이탈과 자기효능감 척도를 기초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보호관찰 청소년들은 문제행동을 하게 된 동기를 상대방 잘못에 두고, 보호관찰소에 왔을 때 심정을 억울하다고 함으로써, 도덕적 이탈이 시사되었다. 가장 자신있게 잘 할 수 있는 일로 학업을 지적한 경우가 적었으며, 가장 자신이 멋있다고 느낀 때가 없다고 함으로써 자기효능감도 낮았다. 또한 친구와 활동 내용 및 장소로 PC방/오락실을 많이 지적하였고, 1년 내에 이루고 싶은 일 또는 가장 신경 쓰이는 문제로서, 학업/진로문제에 대한 반응률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보호관찰 청소년이 가출을 유혹하는 환경에 많이 접하고 학업성취에 대한 관심이 적음을 보여준다. 양적 분석을 위해 두 집단 차이를 공변량분석한 결과는, 보호관찰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보다 도덕적 이탈 정도가 높았으며, 사회성 효능감이 높고,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은 낮았다. 또한 가출을 많이 했으며, 학업성취도는 낮았다. 판별분석 결과 가출정도와 사회성 효능감 및 도덕적 이탈은 보호관찰 청소년을 판별하고,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은 일반 청소년을 판별하는 의미있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Impact Analysis of Internet Addiction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 Seong-Hoon Lee;Dong-Woo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2호
    • /
    • pp.248-253
    • /
    • 2023
  • Nowadays, with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the emergence of high-performance computers and various peripheral devices, our society is undergoing great changes. In the field of education, various types of education using smart education infrastructure are being conducted.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devices have problems that can lead to addiction due to excessive Internet use. Most of the problems that appear in adolescence are immersed in games, which can affect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excessive Internet us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as studied. The survey for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net addiction was low in the middle, upper, and lower groups in the general user group. Also, in the highrisk user group, it appeared high in the order of middle, low, and high.

고등학생의 식품위생안전인식에 관한 연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n Food Hygiene and Safety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area)

  • 김숙희;정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570-577
    • /
    • 2016
  • 본 연구는 충남 지역 일반 고등학생과 특성화 고등학생의 식품위생안전인식을 알아보고 학교유형별 차별화된 식품위생안전교육의 필요성 제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일반 고등학생들은 특성화 고등학생들보다 유의적으로 식품위생 안전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나, 일반 고등학생들보다 특성화고등학생들이 유의적으로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쉽고, 안전한 식품을 고를 자신이 있다고 조사되었다. 학교유형별 차이 없이 우리나라에 판매 유통되는 농축산물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자의 50.5%가, 가공식품에 대해서는 49.3%가 안전성이 그저 그렇다고 응답하였고, 학교 내 식품위생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40.7%, 매우 필요하다는 17.2%의 학생들이 응답하였다. 특성화고등학생들(평균 3.17)에 비해 일반 고등학생(평균 2.81)들은 식품안전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고, 안전한 식품을 고를 자신이 있다는 학생은 '식품을 위생적으로 다룰 자신이 있다'(r=.662),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다'(r=.504)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일반고와 특성화 고등학생들이 식품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고르고, 다룰 자신이 있도록, 차별화된 식품위생 안전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