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초

역량모델에 기초한 직업훈련기관장의 훈련요구분석 (Training Needs Assessment Based on the CEO Competency Model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 임경화;김정일;이문수;권오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58-165
    • /
    • 2011
  •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 분야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직훈기관의 최고관리자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교육요구분석 차원에서 직훈기관장의 역량을 추출하여 역량모델을 개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공공직훈기관, 민간직훈기관, 학원 및 기타 평생교육기관의 최고관리자로서, 주요조사 내용은 교육요구조사와 역량모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직훈기관장의 직무분석, 잠정적으로 정리한 역량에 대한 설문문항에 대한 중요도, 숙달수준, 학습 희망도를 통해 역량의 우선순위의 파악과 이에 기초한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 FGI, 현장조사 등의 연구방법이 적용되었다. 교육역량모델에 기반한 교육훈련요구 분석결과 그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은 '인재확보능력', '시장변화 및 교육생의 요구파악', '문제해결능력', '리더십 스킬', '창의적 사고', '조직역량분석 및 진단', '정보수집 분석능력' 등이다.

  • PDF

직업교사 전문화 및 직업과학 학과발전에 기반한 중국 직업교육 교사양성 전망 -UNESCO '국제 직업교사 석사 교육과정 구성표준'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fostering of china based on vocational teachers specialization and vocational disciplines)

  • 유자룡;조지군;남승권;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0-81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직업교육 교사 양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국제 직업교사 석사 교육과정 구성표준을 소개하고 이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2004년 UNESCO에서는 국제학술 교류를 촉진할 뿐 아니라 교사와 훈련지도자 등 직업교육 및 훈련 영역 전문 인원의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국제 직업교사 석사 교육과정 구성 표준'을 구성하였다. 이에 따르면 교육과정 표준을 도입한 대학교는 전문 위원회를 구성하여야 하며, 다른 학교의 상황 및 학생 능력과 학력인증체제 등의 구체적 상황을 고려하여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교육과정 표준은 국제 직업교육과학 발전의 최신 경향을 포함하며 아울러, 한 국가 내의 여러 고등학교 간에 혹은 여러 국가의 고교 간에 연합교육 학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UNFSCO는 교육과정 표준을 통하여 직업교육 학습이론과 직업과학 등 직업교육 기초학과의 교육학습과 연구의 발전을 촉진하고자 하며 직업교육의 교사소양을 제고하고 직업교사의 전문화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중국에서 직업교육 석사과정을 설치한 대학교는 20여 개이며, 매년 모집하는 학생의 수는 2,000여 명이다. 각 대학의 직업교사 석사과정 계획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및 교육학습과 같은 실제적 문제를 다루는 과정에 대한 설치가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나 교육과정 표준에서는 응용 이론의 교육 학습과 연구를 보다 중요시하고, 구체적 영역에 대한 실천과 교육 학습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교육과정 표준과 관련된 선진국의 앞선 경험을 활용하는 것이 중국 직업교사 양성모델과 학과 체계의 탐색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중국 직업교사 양성과정의 전공 및 교육과정 설치에 유용한 여러 가지 점을 시사해 준다.

  • PDF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에 대한 교원의 교육요구도 분석 (A Need Analysis of Teachers regarding the Oper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System)

  • 안재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0-46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운영 내용에 대한 교원의 중요도와 난이도를 조사하고 교육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효과적인 운영 지원 항목을 도출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영역 및 항목을 도출하여 설문 조사지를 개발하였고 전국의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담당 부장 교사와 관리자급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21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교원들은 도제학교의 모든 운영 영역이 중요하지만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도제학교 운영 영역 중에서 기업 홍보 선정 및 관리, 도제 학생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계획 수립의 교육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교원들은 도제학교 운영 영역의 모든 세부 항목에 대해서 대체로 중요하지만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도제 사업단 구성 기준 완화, 지방자치단체 중심형 도제 사업 운영, 도제학교-기업 정보 시스템 구축, 유관기관의 지원 방식 개선, 도제 담당교원의 인센티브 강화, 기업 OJT 전담 지원기관, 지역 중소기업 연합 도제교육센터운영, 도제학생 전담 근로 감독 실시, 산학협력지원교사 육성, NCS기반자격의 법제화 등이 요구된다.

전문교과 교원이 인식한 양성단계에서의 산업체 현장실습 경험 및 필요성 분석 (The Analysis of Experience and Requirement of Field Practice in Pre-service Education Perceived by Vocational Teachers)

  • 이찬;전영욱;최유현;조경희;류지은;정보영;이수기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6호
    • /
    • pp.21-38
    • /
    • 2016
  • 이 연구는 전문교과 교원 양성단계에서 산업체 현장실습 참여여부 및 필요성을 파악하고, 산업체 현장실습 참여경험이 있는 전문교과 교원의 참여경험 및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육연수원 및 충남대학교 교육연수원에서 직무 및 자격연수를 받고 있었던 전문교과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89부를 회수하였으며 부정확하게 표기한 4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685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원양성 단계에서 '4주 이상 산업체 현장실습을 참여하였다'고 응답한 전문교과 교원은 112명(16.5%)에 불과하였다. 그런데 양성단계에서 현장실습이 필요한지에 대해 전문교과 교원은 대체로 필요하다고 인식(평균 4.07)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체 현장실습의 참여 여부에 대해 '4주 이상 산업체 현장실습을 충실하게 참여하였다'와 '산업체 현장실습 관련 서류는 제출했으나, (4주 미만) 며칠만 참여하였다'고 응답한 143명을 대상으로 참여 경험을 조사한 결과, 참여기관으로는 중소기업, 거주지는 자택 또는 친척집, 이동수단은 버스 또는 지하철이라고 응답한 교원이 많았다. 산업체 현장실습에 참여한 교원의 34.8%가 금전적 보상을 받았으며, 80.3%가 학점을 인정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교과 교원의 산업체 현장실습 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보통수준(평균 3.51)으로 나타났다.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교사와 산업체가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영역의 성과와 과제 분석 (Analysis of Outcomes and Challenges on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by Meister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Industrial Workers)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948-96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of outcomes and challenges of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industrial workers on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and what were outcomes and challenges of main factor by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industrial workers. Research subjects and region were teachers of Meister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Gyeongsangnamdo and industrial workers in Gyeonggido. The sample(N=147) was drawn from Meister high school' teachers(N=90),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N=25) and industrial workers(N=32),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using average, standard deviation, cross analysis, verification F.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biggest outcomes of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was change of educational direction for promoting core competency on specialized high school & Meister High School's students. The biggest positive ripple effects of the outcomes was also change of educational direction for promoting core competency on specialized high school & Meister High School's students. The biggest challenges of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was importance of challenges was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and lecture on the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가사$\cdot$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활설화 방안 (Activation Plan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Education)

  • 윤인경;김선태;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07-12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사 $\cdot$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현행 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주로 문헌분석, 설문조사, 면담조사가 활용되었으며 설문조사는 교사용과 학생용을 개발 $\cdot$ 실시하였으며, 결과 분석에는 통계 패키지 SPSS ver10 을 적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추진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사 $\cdot$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가사 $\cdot$ 실업계 분야 직업교육과 관련되는 사회 경제적 변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한 가사 $\cdot$ 실업계 교육의 변화. 외국의 가정계 직업교육 동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가사 $\cdot$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실태 분석을 위하여 학교 및 학생 현황과 가사 $\cdot$ 실업계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가사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의 주요 내용은 학교 교육과정 운영 전반과 학교 생활에 대한 만족도 등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가사 $\cdot$ 실업계고등학교 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운영체제(3개항). 교육과정 운영(5개항) 교원의 확보 및 전문성 제고(4개항), 행 $\cdot$ 재정적 측면(3개항)으로 구분하여 총 15개항을 제시하였다.

  • PDF

실업계 고등학교 실내디자인전공 활성화를 위한 교육현장의 실태와 교과내용 분석 (An Analysis of Current States and Curriculums of Interior Design Major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김대년;오혜경;천진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1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s of interior design as a major at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suggest ways in which it can be improved. Three hundred and four students and twelve teachers of two vocational high schools comprised the sample population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using two method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Frequency distribution, mean,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ent respon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studying residential design, furniture design and making, drafting and perspective drawing than other areas of study. Most teachers had difficulties teaching the subject of residential design because they were not well educated with this area. Surprisingly most students hoped to extend their education to a university or college after graduation, not to enter the workforce. According to teachers'responses, almost ninety percentage of students entered university or college. And more than two thirds of the students desired to study an interior design related major at the university level. Among graduates having jobs, half of them were working in interior design fields. If the students had to choose their jobs, they would work in interior design fields. The variables differentiating several related careers after graduation were school, grade, and sex. The students viewed interior design, interior coordination, and CAD related work as fields likely to enter upon graduating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however, teachers viewed furniture making, interior accessorizing, and home fashion as fields more appropriate to the students'level of training. The teacher respondents criticized the textbooks in four categories; suitability with the students'level was average or below average; students'interest level and students'understanding level were average or above average; and whether the book was easy or difficult to be utilized for the purposes of teaching was also average or above average. The criticism was a little diverse depending on each book or each chapter. The teachers pointed out several problems using those books, such as insufficient examples or explanation, lack of coherence between some chapters, and an incompatibility with the allotted time frame in class. The merits of the textbooks varied such as a well organized structure, ability to generate students'interes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trategy for improving the interior design major at vocational high schools should invoke, 1) dividing students into two groups-one to enter a university; the other to have jobs after graduation to focus their interests. 2) improving textbooks more appropriate to the students. 3) providing present teachers the opportunities for in-service training and hiring new teachers with credentials more suitable to educate students who desire to be interior designers.

  • PDF

고등학교 가정계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관한 의식 조사 (Investigation on Consciousness of Career Choice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Students at Senior High School)

  • 장명희;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7-77
    • /
    • 1995
  • This study aims at seeking the effective career guidance and operational plan. We collected data from questionaries to 305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 and 135 students on vocational course for the recognition of and request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X(sup)2, and SPSS/PC(sup)+ program a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1. The main considerations of students in their decision of course were the accessibility of getting a job, or a higher education aptitude, interest, and so on. They made their own decision in choosing their course, relatively were satisfied with their choices. As for the course after graduation they hoped to come by a job related to their major in order to have3 an opportunity for further education, and teachers stood up for the large extent to which their students are satisfied with vocational training by answering that there would be higher possibility of using their major. 2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desirable home economics vocational training in future showed that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s desired for the scient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tudents on vocational curse requested that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supported. And new curricula were those for gerontology. interior design, and cookery and bakery.

  • PDF

훈련교·강사 보수교육 의무화를 위한 소수훈련직종 보수교육 인정 제도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Refresher Training for a Minority of Training Occupations)

  • 김미화;김우철;김지영;우혜정;송해림;옥영진;박지원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545-558
    • /
    • 2021
  • 2020년 3월 「직업능력개발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되고, 직업능력개발 훈련교·강사의 보수교육 의무화가 법제화됨에 따라, 보수교육 운영기관에서는 훈련교·강사의 역량 강화 및 직업훈련 품질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을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보수교육의 수요가 일부 직종에 집중적으로 몰려 있어 교육훈련수요가 적은 직종에 대해서는 별도의 개별학습 등을 보수교육으로 인정해주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수요가 적은 소수훈련직종을 먼저 정의하고, 소수훈련직종에 속하는 훈련교·강사를 위한 보수교육 인정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현황 분석, 이해관계자와의 협의, 전문가 자문 및 소수훈련직종 종사자 자문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소수훈련직종을 유형 1과 유형2로 나누어 구분하여 정의하고, 여러 교육유형을 포괄하는 소수훈련직종의 보수교육 인정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소수훈련직종의 보수교육 인정범위의 확대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샵매니저를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 수업에의 문제중심학습 (PBL)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isual merchandising (PBL) for Shop Manager)

  • 이지수;이윤정;노혜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71-84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a visual merchandising course adopting a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as a part of shop manager train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Various vocational training classes are actively developed for vocational high schools, yet programs in the home economics area are relatively lacking. In particular, education programs for shop manager training are urgently required due to the high demand of this job in the fashion industry. The PBL model, which reflects constructionist learning theory, is considered for this visual merchandising course in order to help develop the ability of students to creatively apply their knowledge on real-world problems through self-driven learning. For the purpose of job analysis, two problem areas were identified through interviews conducted with shop managers who work for apparel shops in department sto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professors and high school teachers developed two PBL instructional modules. The developed module courses were implemented with 2 class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learning outcome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a student survey and reflection journals. It was apparent that the PBL courses effectively attracted the interests of learners in vocational training and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s well as cooperation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mplementing the PBL model for the training of store managers can contribute to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