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Need Analysis of Teachers regarding the Oper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System  

Ahn, Jae Yeo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ublication Information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v.42, no.2, 2017 , pp. 20-4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rive supportive measure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system (apprenticeship schools) and make policy suggestions by analyzing the need analysis and investigating the importance and the difficulty of teacher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ose school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tudy developed a questionnaire by deriving the areas and items for the operation of apprenticeship schools, and analyzed 121 completed questionnaires of head and senior teachers who manage the apprenticeship programs across the nation after conducting a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of apprenticeship schools found all the operation areas of the schools are important but difficult. Out of the operation areas, teachers had relatively high needs for 'promotion, selection and management of enterprises', 'student management', 'development of apprenticeship programs, formation of the curriculum, and establishment of operation plans of the curriculum'. Second, the teachers found all the detailed items of the operation areas of apprenticeship schools are important but difficult gener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required to relax the criteria for forming apprenticeship organizations; operate the local government-oriented apprenticeship system; establish information systems between schools and enterprises; improve the support methods of relevant agencies; and increase incentives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apprenticeship programs. It is also necessary to operate exclusive agencies supporting for OJT; operate apprenticeship education centers of local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associations; provide exclusive supervision of students; cultivate teachers who support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and legislate on the NCS-based qualifications.
Keyword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system; Apprenticeship system; Need analysis; Priority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관계부처 합동(2015.4.20.). 능력중심사회 조기 조성을 위한 일학습병행제 확산방안.
2 교육부, 고용노동부(2016).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17년까지 특성화고 200여개로 확대. 보도자료 (2016.8.19.).
3 교육부, 고용노동부(2016.8.5.). 2016년도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확대.발전방안 - 재학생(고교 단계) 일학습병행제-
4 안재영(2016).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컨설팅 요구 분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2), 24-47.
5 안재영(201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해외출장보고서(독일), [독일의 도제교육 운영 현황 견학을 통한 제도 이해 확대 및 기업 관계자 인식 제고]를 위한 해외출장.
6 박동열, 안재영 외(201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해외출장보고서(스위스), [도제교육 운영 현황 견학을 통한 제도 이해 확대 및 연수단 인솔]을 위한 해외출장.
7 박동열 외(2016).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모형화 및 확대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변숙영 외(2015). 2014년 산학일체형 특성화고 시범 도입.운영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안재영 외(2016).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사업단 선정 및 컨설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안재영 외(2017).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이병욱, 안재영(2014). 고졸 취업의 질적 성장을 위한 중등 직업교육기관의 운영 개선에 대한 교원의 인식 조사 연구.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7(2), 55-79.
12 이병욱, 안재영(2015). 고졸 취업의 질적 성장을 위한 현장실습 운영 개선에 대한 교원의 인식 조사 연구.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8(2), 25-51.
13 이찬주(2016).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내용과 시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전승환, 강경종(2014). 일학습병행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추진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 전승환, 이수경, 이한별(2015). 일학습병행제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전승환 외(2016).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의 노동시장 적응실태 및 정착성과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전종호 외(2016).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 모니터링 및 성과지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최수정, 배수현, 정성지(2016). 독어권 국가의 도제훈련제도 비교연구. 직업교육연구, 35(6), 113-141.
19 최수정 외(2012). 일 기반 학습 활성화를 위한 산학협력 제도 법령 정비 방안 연구(I). 고용노동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Husted, S. W. & Mason, R. E. & Adams, E. (2003). Cooperative Occupational Education (6th ed), NJ: Prentice Hall.
21 교육부, 고용노동부(2017). 2017년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선정 결과 발표. 보도자료(2017.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