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O3

검색결과 6,221건 처리시간 0.042초

IDT 전극 패턴 임베디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특성 (Energy Harvesting Characteristics of Interdigitated (IDT) Electrode Pattern Embedde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 이민선;김창일;윤지선;박운익;홍연우;백종후;조정호;박용호;장용호;최범진;정영훈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9권9호
    • /
    • pp.581-588
    • /
    • 2016
  • Piezoelectric thick films of a soft $Pb(Zr,Ti)O_3$ (PZT) based commercial material were produced by a conventional tape casting method. Thereafter, the interdigitated (IDT) Ag-Pd electrode pattern was printed on the $25{\mu}m$ thick piezoelectric film at room temperature. Co-firing of the 10-layer laminated piezoelectric thick films was conducted at $1,100^{\circ}C$ and $1,150^{\circ}C$ for 1 h, respectively. Piezoelectric cantilever energy harvesters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using the IDT electrode pattern embedded piezoelectric laminates for 3-3 operation mode. Their energy harvesting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with an excitation of 120 Hz and 1 g under various resistive loads (ranging from $10k{\Omega}$ to $200k{\Omega}$). A parabolic increase of voltage and a linear decrease of current were shown with an increase of resistive load for all the energy harvesters. In particular, a high output power of 3.64 mW at $100k{\Omega}$ was obtained from the energy harvester (sintered at $1,150^{\circ}C$).

부산지역 환자로부터 분리된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의 응고효소형 및 항균제 내성에 관한 연구 (Coagulase Thping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olated form Patients in Pusan)

  • 류지한;이훈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6-220
    • /
    • 2000
  • 부산시 동아대학병원으로 내원한 83명의 환자 가건물로부터 methcillin 내성 Stphylococcus aureus(MRSA) 88 균주를 분리하고 응고 효소의 유형별 분석과 다약제 내성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였다. 농(64.7%), 객담(26.2%), 기타 혈액, 장액 및 뇨로부터 균주가 분리되었고 mec A 유전자에 특이적인 primer 5'-AAAATCGATGGTAAAGGTT-GGC-3'와 5'-AGTTCTGCAGTACCGGATTTGC3'를 사용하여 PCR을 한결과 86균주에서 mec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응고효소형은 제 III형이 50%m IV형이 12.5%, III형이 6.8%, I, VII, VIII형이 4.5%로 제 II형이 가장 많았으며 제 V형은 전혀 분리되지 않았다. 응고효소형의 병동별 분포는 일반외과에서 제 II형이, 이비인후과 외래에서는 제 IV형이 우점종으로 분리되었다. 항균제 감수성 시험결과, vancomycin과 teicoplanin에서 전균주가 감수성을 나타내었었고 penionillin, cephalothin, erythromycin, gentamycin, imipenem, clindamycin, ciprofloxacin과 oxacillin등 8가지의 항균제에 대하여 동시내성을 나타낸 균주가 71주 (81%)였다. 항균제 내성과 응고효소형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 PDF

생균제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장내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Probiotics on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Broiler Chicks)

  • 류경선;박홍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1-37
    • /
    • 1998
  • Two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eeding value of probiotics for the broiler chicks. Basal diets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with no supplemental probiotics contained 21% dietary crude protein for the first 3 weeks and 19% for the rest of two weeks. In experiment 1, 0.2 % probiotics containing 2X 10 6 cfu /ml of Saccharomyces cerevisiae(S), Clostridium butyricum(C), Lactobacillus acidophilus(L), Bacillus polyfermenticus(B) were respectively supplemented to control groups. Two hundred day-olo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treatments which had four replicates of 10 chicks each per treatment. Weight gain, feed consurnption,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weekly measured for 5 weeks. The number of intestinal microflora was examined at the end of experiment. In experiment 1, Weight gain and feed intake of chicks fed probiotics exhibited a significant respons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for the first three weeks(P<0.01). Weight gain of S or C treatment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for the rest of two weeks, whereas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L and B treatments than S or C treatments (P<0.01). Chicks fed S or 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eight gain(P <0.05) compared to that of control at five weeks of age. FCR of C treatment seemed to improve relative to other supplemental probiotics groups,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number of intestinal anaerobes and Lactobacillus in large intestine of chicks fed probiotics supplemen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groups(P<0.01). In experiment 2, there were six treatments: Ti, control; T2, 0.2%S; T3, 0.2%S + 0.2%C; T4, 0.2%S + 0.2%L; T5, 0.2%S + 0.2%B; T6, 0.2%S + 0.1%C + o.i%L + 0.1%B. Control diet based on corn soybean meal contained 21% CP and 3,2OOca1 /g ME with no probiotics. There were four replicates of 10 chicks each per treatment. Weight gain of chicks fed probiotics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control groups,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m. FCR was also improved in probiotics treatmen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biotics supplementation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indicated that dietary supplemental probiotics improved weight gain, feed efficiency for the first three weeks of young broiler chicks, whereas supplementation of C, L, B combined probiotics to young broiler chicks was not superior to those of single or two probiotics.

  • PDF

Interfacial reaction and Fermi level movements of p-type GaN covered by thin Pd/Ni and Ni/Pd films

  • 김종호;김종훈;강희재;김차연;임철준;서재명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9년도 제17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15-115
    • /
    • 1999
  • GaN는 직접천이형 wide band gap(3.4eV) 반도체로서 청색/자외선 발광소자 및 고출력 전자장비등에의 응용성 때문에 폭넓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넓은 분야의 응용을 위해서는 열 적으로 안정된 Ohmic contact을 반드시 실현되어야 한다. n-type GaN의 경우에는 GaN계면에서의 N vacancy가 n-type carrier로 작용하기 때문에 Ti, Al, 같은 금속을 접합하여 nitride를 형성함에 의해서 낮은 접촉저항을 갖는 Ohmic contact을 하기가 쉽다. 그러나 p-type의 경우에는 일 함수가 크고 n-type와 다르게 nitride가 형성되지 않는 금속이 Ohmic contact을 할 가능성이 많다. 시료는 HF(HF:H2O=1:1)에서 10분간 초음파 세척을 한 후 깨끗한 물에 충분히 헹구었다. 그런 후에 고순도 Ar 가스로 건조시켰다. Pd와 Ni은 열적 증착법(thermal evaporation)을 사용하여 p-GaN에 상온에서 증착하였다. 현 연구에서는 열처리에 의한 Pd의 clustering을 줄이기 위해서 wetting이 좋은 Ni을 Pd 증착 전과 후에 삽입하였으며, monchromatic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와 SAM(scanning Auger microscopy)을 사용하여 열처리 전과 40$0^{\circ}C$, 52$0^{\circ}C$ 그리고 695$0^{\circ}C$에서 3분간 열처리 후의 온도에 따른 morphology 변화, 계면반응(interfacial reaction) 및 벤드 휨(band bending)을 비교 연구하였다. Nls core level peak를 사용한 band bending에서 Schottky barrier height는 Pd/Ni bi-layer 접합시 2.1eV를, Ni/Pd bi-layer의 경우에 2.01eV를 얻었으며, 이는 Pd와 Ni의 이상적인 Schottky barrier height 값 2.38eV, 2.35eV와 비교해 볼 때 매우 유사한 값임을 알 수 있다. 시료를 후열처리함에 의해 52$0^{\circ}C$까지는 barrier height는 큰 변화가 없으나, $650^{\circ}C$에서 3분 열처리 후에 0.36eV, 0.28eV 만큼 band가 더 ?을 알 수 있었다. Pd/Ni 및 Ni/Pd 접합시 $650^{\circ}C$까지 후 열 처리 과정에서 계면에서 matallic Ga은 온도에 비례하여 많은 양이 형성되어 표면으로 편석(segregation)되어지나, In-situ SAM을 이용한 depth profile을 통해서 Ni/Pd, Pd/Ni는 증착시 uniform하게 성장함을 알 수 있었으며, 후열처리 함에 의해서 점차적으로 morphology 의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함을 볼 수 있었다. 이는 $650^{\circ}C$에서 열처리 한후의 ex-situ AFM을 통해서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GaN에 Pd를 접합 시 심한 clustering이 형성되어 Ohoic contact에 문제가 있으나 Pd/Ni 혹은 Ni/Pd bi-layer를 사용함에 의해서 clustering의 크기를 줄일 수 있었다. Clustering의 크기는 Ni/Pd bi-layer의 경우가 작았으며, $650^{\circ}C$ 열처리 후에 barrier height는 Pd/Ni bi-layer의 경우에도 Ni의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Dose-dependent effects of a microbial phytase on phosphorus digestibility of common feedstuffs in pigs

  • Almeida, Ferdinando N.;Vazquez-Anon, Mercedes;Escobar, Jeffer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85-993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ncreasing doses of a novel microbial phytase (Cibenza Phytaverse, Novus International, St. Charles, MO, USA) on standardized total tract digestibility (STTD) of P in canola meal (CM), corn, corn-derived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rice bran (RB), sorghum, soybean meal (SBM), sunflower meal (SFM), and wheat. Methods: Two cohorts of 36 pigs each (initial body weight = $78.5{\pm}3.7kg$) were randomly assigned to 2 rooms, each housing 36 pigs, and then allotted to 6 diets with 6 replicates per die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est ingredient was the only dietary source of P and diets contained 6 concentrations of phytase (0, 125, 250, 500, 1,000, or 2,000 phytase units [FTU]/kg) with 0.4% of $TiO_2$ as a digestibility marker. Feeding schedule for each ingredient was 5 d acclimation, 5 d fecal collection, and 4 d washout. The STTD of P increased (linear or exponential $p{\leq}0.001$) with the inclusion of phytase for all ingredients. Results: Basal STTD of P was 37.6% for CM, 37.6% for corn, 68.6% for DDGS, 10.3% for RB, 41.2% for sorghum, 36.7% for SBM, 26.2% for SFM, and 55.1% for wheat. The efficiency of this novel phytase to hydrolyze phytate is best described with a broken-line model for corn, an exponential model for CM, RB, SBM, SFM, and wheat, and a linear model for DDGS and sorghum. Based on best-fit model the phytase dose (FTU/kg) needed for highest STTD of P (%), respectively, was 735 for 64.3% in CM, 550 for 69.4% in corn, 160 for 55.5% in SBM, 1,219 for 57.8% in SFM, and 881 for 64.0% in wheat, whereas a maximum response was not obtained for sorghum, DDGS and RB within the evaluated phytase range of 0 to 2,000 FTU/kg. These differences in the phytase concentration needed to maximize the STTD of P clearly indicate that the enzyme does not have the same hydrolysis efficiency among the evaluated ingredients. Conclusion: Variations in enzyme efficacy to release P from phytate in various feedstuff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termining the matrix value for phytase in a mixed diet, which likely depends on the type and inclusion concentration of ingredients used in mixed diets for pigs. The use of a fixed P matrix value across different diet types for a given phytase concentration is discouraged as it may result in inaccurate diet formulation.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으로 제조한 BLT Capacitor의 Polishing Damage에 의한 강유전 특성 열화 (Degradation from Polishing Damage in Ferroelectric Characteristics of BLT Capacitor Fabricated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 나한용;박주선;정판검;고필주;김남훈;이우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9
    • /
    • pp.236-236
    • /
    • 2008
  • (Bi,La)$Ti_3O_{12}$(BLT) thin film is one of the most attractive materials for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RAM) applications due to its some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high fatigue endurance, low processing temperature, and large remanent polarization [1-2]. The authors firstly investigated and reported the damascene process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for BLT thin film capacitor on behalf of plasma etching process for fabrication of FRAM [3]. CMP process could prepare the BLT capacitors with the superior process efficiency to the plasma etching process without the well-known problems such as plasma damages and sloped sidewall, which was enough to apply to the fabrication of FRAM [2]. BLT-CMP characteristics showed the typical oxide-CMP characteristics which were related in both pressure and velocity according to Preston's equation and Hernandez's power law [2-4]. Good surface roughness was also obtained for the densification of multilevel memory structure by CMP process [3]. The well prepared BLT capacitors fabricated by CMP process should have the sufficient ferroelectric properties for FRA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BLT capacitor fabricated by CMP process were analyzed with the process parameters. Especially, the effects of CMP pressure, which had mainly affected the removal rate of BLT thin films [2],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check the influences of the pressure in eMP process on the ferroelectric properties of BLT thin films, the electrical test of the BLT capacitors was performed. The polarization-voltage (P-V) characteristics show a decreased the remanent polarization (Pr) value when CMP process was performed with the high pressure. The shape of the hysteresis loop is close to typical loop of BLT thin films in case of the specimen after CMP process with the pressures of 4.9 kPa; however, the shape of the hysteresis loop is not saturated due to high leakage current caused by structural and/or chemical damages in case of the specimen after CMP process with the pressures of 29.4 kPa. The leakage current density obtained with positive bias is one order lower than that with negative bias in case of 29.4 kPa, which was one or two order higher than in case of 4.9 kPa. The high pressure condition was not suitable for the damascene process of BLT thin films due to the defects in electrical properties although the better efficiency of process. by higher removal rate of BLT thin films was obtained with the high pressure of 29.4 kPa in the previous study [2].

  • PDF

납착조건이 14K 금납을 이용한 티타늄 납착부의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DERING CONDITION ON THE TENSILE STRENGTH OF TITANIUM SOLDER JOINT WITH 14K GOLD SOLDER)

  • 최정호;김태조;송광엽;박찬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66-576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tensile strength of solder joint in titanium and the wettability of 14K gold solder on titanium. Two pieces of titanium rod 30 mm in length and 3mm in diameter were butt-soldered with a 14K gold solder using the electric resistance heating under flux-argon atmosphere, the infrared heating under argon atmosphere, and the infrared heating under vacuum-argon atmosphere. A tensile test was performed at a crosshead speed of 0.5 mm/min, and fracture surfaces were examined by SEM. To evaluate the wettability of 14K gold solder on titanium, titanum plates of a $17{\times}17{\times}1mm$ were polished with #80-#2000 emery papers, and the spreading areas of solder 10 mg were measured by heating at 840 * for 60 seconds. The solder-matrix interface regions were etched by the solution of 10% KCN-10% (NH4)2S2O8, and analyzed by EPMA.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aximum tensile strength was obtained when the titanium surface was polished with #2000 emery paper and soldered using the electric resistance heating under flux-argon atmosphere. Soldering strength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ic resistance heating and the infrared heating(p<0.05). 3. The fracture surfaces showed the aspect of brittle fracture, and the failure developed along the interfaces of solder-matrix reaction zone. 4. The EPMA data for the solder-matrix interface region revealed that the diffusion of Au and Cu occurred to the titanium matrix, and the reaction zone showed the higher contents of Au, Cu and Ti than others.

  • PDF

장군 연-아연 광상의 모암변질대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의 산상 및 화학조성 (Occurre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White Mica from Wallrock Alteration Zone of Janggun Pb-Zn Deposit)

  • 유봉철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4호
    • /
    • pp.469-484
    • /
    • 2022
  • 장군 연-아연 광상은 남한의 4대(연화 광상, 신예미 광상, 울진 광상) 연-아연 광상중의 하나이었다. 이 광상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원남층, 율리층군, 캠브리안기내지 오도비스기의 장산규암층, 두음리층, 장군 석회암층, 석탄기내지 이엽기의 동수곡층, 재산층, 쥐라기의 동화지층 및 이들을 관입한 중생대의 춘양화강암류로 구성된다. 이 연-아연 광상은 고생대 캠브리안기내지 오도비스기의 장군석회암층에 배태되는 열수교대형 광상에 해당된다. 이 광상의 연-아연 광화작용과 관련된 모암변질작용은 주로 능망간석화작용과 돌로마이트화 작용이 관찰되나 황철석화작용, 견운모화작용 및 녹니석화작용 등도 관찰된다. 모암변질작용은 연-아연 광체 에서 모암으로 감에 따라 연-아연 광체 -> 능망간석대 -> 돌로마이트대 -> 돌로마이트질 석회암대 -> 석회암 및 돌로마이트 대리암 변화된다. 백색운모는 모암변질대(능망간석화작용과 돌로마이트화작용)에서 Ca-돌로마이트, Ferroan ankerite, sideroplesite, 금홍석, 인회석, 유비철석, 황철석, 섬아연석, 방연석, 석영, 녹니석 및 방해석 등과 함께 중립내지 세립질 입단으로 산출된다. 이 백색운모의 화학조성은(K0.77-0.62Na0.03-0.00Ca0.03-0.00Ba0.00Sr0.01)0.82-0.64(Al1.72-1.48Mg0.48-0.20Fe0.04-0.01Mn0.03-0.00Ti0.01-0.00Cr0.00As0.01-0.00Co0.03-0.00Zn0.03-0.00Pb0.05-0.00Ni0.01-0.00)2.07-1.92 (Si3.43-3.33Al0.67-0.57)4.00O10(OH1.94-1.80F0.20-0.06)2.00로써 이론적인 이중팔면체형 운모류 값보다 Si가 높고 K, Na, Ca는 낮다. 또한 장군 연-아연 광상, 연화1 연-아연 광상 및 백전 금-은 광상의 모암변질대와 구문소일대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는 백운모와 팬자이트에 해당되나 둔전 금-은 광상의 모암변질대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는 백운모에 해당된다. 더불어 이들 광상의 모암변질대 및 구문소일대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백색운모의 화학조성 변화는 주로 팬자이틱 또는 Tschermark 치환 메카니즘(장군 연-아연 광상), 주로 팬자이틱 또는 Tschermark 치환과 일부 illitic 치환 메카니즘(연화1 연-아연 광상, 둔전 금-은 광상, 백전 금-은 광상) 및 주로 팬자이틱 또는 Tschermark 치환과 일부 illitic 치환 및 Na+ <-> K+ 치환 메카니즘(구문소일대)에 의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레이저유도붕괴분광법을 활용한 토양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Elemental Analysis in Soils by using 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LIBS))

  • 장용선;이계준;이정태;황선웅;진용익;박찬원;문용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99-407
    • /
    • 2009
  • 레이저 유도붕괴 분광법(LIBS)은 물질상태(고체, 액체, 기체)에 상관없이 신체 접촉시 오염 우려 및 미량 시료도 전처리 없이 동시에 많은 종류의 원소 분석으로 분석과정이 단순하고 신속하게 분석이 가능하며, 소형화된 레이저의 개발로 시료의 직접적인 채취가 어려운 조건의 현장분석에도 적합하다. 농산물 안정성 평가나 친환경 농업 및 정밀농업을 위한 조사 등에 활용될 수 있는 비파괴 실시간 정량분석기술로서 LIBS 분석법의 토양분석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표준광물, 미국의 표준기술연구소의 표준토양, 미국 테네시주 초지 및 밭토양을 대상으로 토양 구성성분의 정성 정량적 분석에 필요한 측정조건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LIBS에 의한 농도값과 기존의 화학분석법을 통해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LIBS 측정은 펄스형 Nd:YAG 레이저(Minilite II, Continuum, Santa Clara, CA)에서 나오는 1064 nm 에너지 파장의 광원을 시편의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는데 사용하였고, 25 mJ/pulse 여기 에너지 빔을 펄스폭 35 ns, 펄스 반복 주기 10 Hz, 노출시간 10 s 동안 시료의 표면에 조사하였다. LIBS 분광은 0.03 nm의 해상력으로 200 nm에서 600 nm의 영역에서 50 m 이하로 분쇄하여 원형 펠렛 형태로 압축시킨 시료를 10 rpm의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상온 상압의 실험실 조건에서 수행되었다. LIBS를 이용한 토양 중 주요한 원소의 적정 파장(nm)은 Al(I) 309.2 nm, Ca(I) 422.6 nm, Fe(I) 406.4 nm, Mg(I) 285.2 nm, Na(I) 589.2 nm, Si(I) 288.2 nm, Ti(I) 398.9 nm 이었다. LIBS의 피크강도가 물질 중 원소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각 원소의 특정 파장대에서 일정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표준물질의 LIBS의 신호비와 원소비를 통해 측정된 검량곡선의 상관계수($r^2$)는 0.863에서 0.977의 범위로 원소별로 상이할 뿐만 아니라 0.98에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토양 중 분석대상원소에 대하여 기존 ICP-AES에 의한 표준방법으로 분석된 시료의 측정값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오차는 대략적으로 (-)40%에서 80%이상이며, 평균오차는 32.2%로 표준척도 20% 이상을 초과하였다. LIBS에 의한 토양분석은 토양의 조성과 입자의 크기에 따른 매질효과(matrix effect)로 표준물질의 검량곡선에서 결정계수가 낮고, 원소별 함량도 기준의 표준방법과 비교할 때 오차가 컸다. 따라서 LIBS에 의한 토양분석은 정성적인 분석 수준의 정밀도를 보였으며, 토양 매질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분쇄 펠렛형 시료조제 및 회전측정 이외의 다양한 토양매질의 표준물질(standard reference material)의 확보, 새로운 전처리 방법 및 측정상 방법개선 등 신뢰성 있는 정량 분석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춘추』 왕력(王曆)➂ - 주력(周曆)에서 하력(夏曆)으로, 그리고 공자의 "행하지시(行夏之時)" (『Chūn-qiū』Wáng-lì(『春秋』王曆)➂ - from Zhōu-lì(周曆) to Xià-lì(夏曆), and "Xíng-xià-zhī-shí(行夏之時)" Mentioned by Confucius)

  • 서정화
    • 한국철학논집
    • /
    • 제54호
    • /
    • pp.153-184
    • /
    • 2017
  • 선진시기에 고육력(古六曆) 등 다수의 역법 체계가 존재했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런데 그 중 특히 주력(周曆)과 하력(夏曆)의 논의들이 주가 된 것은, 공자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에서의 역수 체계와 공자가 직접 제자에게 말했던 "행하지시(行夏之時)"에서의 역수 체계가 서로 다른 것에 따른 의혹으로 불거진 수많은 쟁론들에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동짓달을 세수(歲首)로 하는 주력은 태음력 체계이며 하력은 건인월(建寅月)을 세수로 삼은 절기력(節氣曆) 체계이다. 이 두 가지 역법은 그 세수와 계절명 그리고 태음력과 태양력이라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공자가 위방(爲邦)의 방편으로 하력 이행을 권장했던 근본적인 이유는, 천정(天正) 지정(地正) 인정(人正)이라는 3정(三正) 중에서 사람이 중시된 인정을 기준해야 한다는 철학적인 우주관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라, 농업생산성 향상이라는 현실적인 국가 경제 정책의 중요성을 말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공자가 비록 위정자들에게는 이상적인 도덕적 무결점을 강조한 반면, 대민 정책에 있어서 그가 얼마나 위정자의 현실에 바탕을 둔 책무를 역설하고자 하였는지를 알 수 있는 척도가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