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Evaluation

검색결과 1,482건 처리시간 0.034초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요소 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Understanding of Learner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69-594
    • /
    • 2010
  •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의 일환으로,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러한 취지하에, 좋은 수업, 교사 지식, 수업평가, 수업컨설팅 등에 관한 연구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을 통해 지난 십년간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 중, 교사 지식의 핵심 요소로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수업 상황' 등의 지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초점을 두고 이에 관한 수학 수업에서의 평가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교사의 학습자 이해 지식에 관한 의미를 재 탐색하고, 또한 학습자 이해와 관련된 몇몇 수업평가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여, 학습자인지 수준, 학습자 오 개념, 학습 동기, 수학적 태도, 학습 방법 등의 5개 영역에 따른 수업평가 요소(안)를 마련하였다.

  • PDF

Quantitative Evaluation of an Intuitive Teaching Method for Industrial Robot Using a Force/Moment Direction Sensor

  • Park, Myoung-Hwan;Lee, Woo-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 /
    • 제1권3호
    • /
    • pp.395-400
    • /
    • 2003
  • A quant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of a robot teaching method using a force/moment direction sensor is presented. The performance of the teaching method using the force/moment direction sensor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aching pendant method. Two types of teaching tasks were designed and the teaching times required to complete the teaching task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ask A requires a teaching motion that involves four degrees of freedom motion. Task B requires a teaching motion that involves six degrees of freedom motion. It was found that, by using the force/moment direction sensor method, the teaching times were reduced by 25% for Task A and 45% for Task B compared to the teaching pendant method.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에서 집단별 표준화변환을 이용한 강좌평가모형 (Course evaluation model using standardized transformation by group in student evaluation of teaching)

  • 이재만;차영준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1호
    • /
    • pp.143-150
    • /
    • 2012
  • A대학교에서 상대평가로 성적을 부여하는 강의의 강의평가 자료를 대상으로 강좌특성이 강좌별 강좌평가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강좌별 강좌평가점수는 강좌 수강생의 평균학년과 남학생비율이 높을수록, 수강인원이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자의 학년과 성별의 효과를 통제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제안하고 제안한 사례를 통하여 평가모형의 수행능력을 고찰하였다.

Signal Processing and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MOOC + SPOC + Flipped Classroom"

  • Bei Qiao;Yan Mi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20권1호
    • /
    • pp.105-115
    • /
    • 2024
  • The hybrid teaching approach of "MOOC + SPOC + Flipped Classroom" overcomes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hat are typically associated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hus compensating for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approaches. These changes in education are driven by the "Internet+" wave and the growing popularity of online teaching. The "MOOC + SPOC + Flipped Classroom" hybrid teaching mode can successfully compensate for the drawbacks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hereby overcoming their restrictions. By defining relevant concepts, one can distill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MOOC + SPOC + Flipped Classroom" hybrid teaching mode. Formative assessment was employed to thorough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teaching approach. By leveraging the advantages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small private online course (SPOC), and flipped classroom, the "MOOC +SPOC + Flipped Classroom" teaching mode incorporates real-time student assessment through peer evaluation, computer-aided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This mode promotes the simultaneous development of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helping students to establish strong foundations while fostering their practical abilities. While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remains fruitful, the convenience of today's network allows the teaching profession to continually evolve.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 heavily relies on teachers, making it impossible to conduct lessons without them. However, the development of MOOC enables students to seek knowledge online from their preferred teachers, rather than solely relying on their assigned instructors.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 인식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s about Teaching Practices by Student Teachers Before and After Practice Teaching)

  • 최진숙
    • 아동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3-123
    • /
    • 2005
  • This study compared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aching practices and the current state of practice teaching before and after practice teaching. Subjects were 96 students at three-year colleges in Suncheon, Jollanam-do. The survey used a questionnair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practice teaching and the current state of practice teaching,'(Woo and Choi 2004), revised for this research.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mean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practice teaching(t=4.30, p<.001). In sub-area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ole of student teachers, the contents of teaching, support system, evaluation and preliminary guidance(p<.001), but not in the evaluation of practice teaching and student teachers' attitudes(p>.05). This information should be beneficial for teachers' colleges in preparation of practice teaching programs.

  • PDF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한 강의평가 타당성 제고 및 수업태도에 대한 보정을 통한 강의만족도 신뢰성 제고 (Improving the Validity of Evaluation through Evalua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Satisfaction of Teaching through Correction of In-class Attitude)

  • 윤규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11-221
    • /
    • 2023
  • 이 연구는 강의평가의 대상에 학업성취도를 추가하여 평가의 타당성을 높이고, 수업태도에 대한 통제정당성을 검증하고 수업태도 보정지수를 개발하여 평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수업태도는 강의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업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강의만족도가 높아지고, 수업태도가 부정적일수록 강의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수업태도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업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으며, 수업태도가 부정적일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의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의만족도가 높다고 해서 강의품질이 높다고 할 수 없으며, 강의만족도가 낮다고 해서 강의품질이 낮다고 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넷째, 수업태도로 인해 왜곡될 수 있는 강의만족도 결과를 보정하기 위한 강의만족도 보정지수를 개발하였다. 결론적으로 강의만족도외에 학업성취도를 평가대상으로 추가하여 강의평가의 타당성을 제고하고, 강의만족도 보정지수를 적용하여 강의평가의 신뢰성을 제고해야 한다.

의과대학에서의 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가능성 탐색 (Teaching Portfolios in Medical Education)

  • 채수진
    • 의학교육논단
    • /
    • 제11권2호
    • /
    • pp.25-31
    • /
    • 200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 and content of teaching portfolios and to consider the use of teaching portfolios in medical education. The concept of teaching portfolios has several implications and has been used in multiple approaches in teaching-learning processes. The ten foreign universities chosen for this study employ teaching portfolios in their professorship and teaching achievement evaluation as a means of deciding promotions or incentivizing employees. However, domestic universities have not yet implemented this system. It is propos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programs, teaching portfolios should be used much more frequently than syllabus. Medical school professors should apply what is called "Copernicus's Thinking" to their teaching preparations.

A Study on the Change in Science Grades and the Influence of Science Grades by Level according to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Teaching-Learning

  • Koo, Min Ju;Jung, Woong Jae;Park, Jong 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226-236
    • /
    • 2022
  •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nges in students' science grades and their effects on science grades by level (upper, middle, and lower) according to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teaching-learning. 66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in Gyeongsangnam-do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in science grades according to the teaching-learning type, the average score of science grades by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was lower than the corresponding score of science grades of face-to-face teaching-learning.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type (paper-written, study-paper) in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teaching-learning, the average scores of science grades by paper-written and study-paper evaluations in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were significantly low.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 on science grades by level according to the teaching-learning type, the average score of science grades of lower-ranked students in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was relatively low.

평가를 통한 수학 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hematics Teaching through Evaluations)

  • 서종진;윤연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85-203
    • /
    • 2010
  • 학생들의 수학 학습 정도는 학교수학의 각 영역이나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수학 학습상황을 평가하고 활용하기 위한 통합적인 평가 틀의 구성은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일차방정식의 내용으로 한정하여 유형별 평가와 문항별 평가에 대한 평가표를 구성하였으며, 두 가지 평가를 기초로 종합평가를 통한 수학 학습 지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구성한 평가표는 학생 개개인의 학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 개별적인 수학 학습 지도에 유용하다.

  • PDF

교사 의견 조사에 기초한 수학 교과에서의 수업평가 기준 및 활용 탐색 (The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Mathematics Teach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opinion research)

  • 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39-62
    • /
    • 2013
  • 본 연구자는 수학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 지식을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 '수업 상황 지식' 네 가지로 상정하고, 각각의 지식에 대한 수업평가 영역 및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순차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마련된 평가 기준은 실제로 교사의 의견 수렴을 거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다분히 추상적이고 형식적 측면이 강하므로, 평가 기준의 양이나 기준 내용의 가독성, 적절성 등이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제 삼자에 의해 판단, 검증될 필요가 있겠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선행 연구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수행된 결과로부터 마련된 교사 지식에 관한 수업평가 기준을 면밀히 검토하여, 현장에서 보다 수월하게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이의 활용 가능성 및 방안을 탐색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몇몇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본인의 수업을 실제로 점검해 보게 하고, 두 차례에 걸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에 앞서, 본 연구의 대상인 교사들에게 보다 나은(가독성 있고 효율적인) 수업평가 기준 및 사용법을 제공하고자 사전 연구를 실시하여 수업평가 기준 및 활용법을 일차적으로 수정 보완하였다. 한 마디로, 본 연구는 교사 지식에 대한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즉 실제적 활용 가치에 초점을 둔 수업평가 기준을 최종적으로 마련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의 기대는 합리적이고 효과성을 거둘 수 있는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이를 토대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이 보다 적극적으로 고무됨으로서 교실 수업이 개선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