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librarian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3초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of Expertise)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9-270
    • /
    • 2009
  • 우리나라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사서교사는 양성과정에서 정보관리와 관련된 전문성에 대해서 많은 교육을 받지만, 현장에서는 학교도서관 교육 및 경영과 관련된 전문성을 보다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교원자격검정령의 개정, 사서교사 선발제도 개선, 현직연수 강화를 제안하였다.

  • PDF

1인 사서교사의 인적 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 Solo Teacher Librarian's Personal Networks)

  • 강재연;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15-239
    • /
    • 2022
  • 인적 네트워크는 지식공유의 중요한 창구로서 암묵적 지식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문제에 주요한 해결 수단이 될 수 있다. 특히 조직에서 1인으로 구성된 학교도서관의 사서교사(또는 사서)의 경우, 업무를 위한 인적 네트워크는 조직 내부 구성원보다는 동일 직무를 담당하는 조직 외부인과의 관계가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인 사서교사의 업무 관련 인적 네트워크 특성을 탐색하고 이러한 네트워크 특성과 직무 만족 및 역할 모호성 해소와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시 지역 내 사서교사 네트워크 협의회 1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데이터는 소셜네트워크분석(SNA: 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의 인적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협의회 내 대표 교 이력의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업무 도움 관계가 활발하였으며, 저 경력의 초임 교사에게는 업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대상이 적은 특징이 확인되었다. 또한 개인의 인적 네트워크 특성은 직무 만족과 역할 모호성 해소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1인 사서교사의 업무 관련 정보문제 해결을 위한 사서교사 간 협력 및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사서교사 임용시험 출제경향 고찰 - 학교도서관 실무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tional Teacher Recruiting Examination for School Librarian Teacher: Focusing on the School Library Practice Area)

  • 노경국;임정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85-104
    • /
    • 2023
  • 본 연구는 사서교사 임용시험에 출제된 시험 문항의 영역, 내용 및 평가 요소 등을 분석하여 임용시험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2002년 이후 사서교사 임용시험 문제를 수집하여 영역별 출제 빈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도서관 운영 106문항(21.95%), 분류학과 정보검색 각 63문항(13.04%), 도서관 전산화 59문항(12.22%), 독서지도론 58문항(12.01%), 목록학과 정보봉사론 각 56문항(11.59%), 정보매체론 18문항(3.73%) 순으로 출제 빈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최근 10년간(2014~2023학년도) 임용교사 출제 영역을 사서 전문성과 학교도서관 실무영역으로 구분하여 출제 빈도를 분석한 결과, 사서 전문성 관련 문항은 총 149문항(66.22%), 학교도서관 실무 관련 문항은 총 76문항(33.78%)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평가영역 및 평가요소의 갱신, 정보매체론 영역의 확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교원 수급 정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중. 고등학교에 있어서 독서교육 (Reading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181-215
    • /
    • 1987
  • Reading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promote the refinement, cultivate the emotion and complete the character to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This thesis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of reading education as a formal course in secondary schools, responsibility of teaching and problems related to recommended reading lists. Reading education must separate from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because of literature centered education in reading education. If reading education was separated from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students can a n.0, pproach to the other cultural boundary besides other own and exchange their information and ideas. So, reading education must be included to the elective subjects in a independent course or become a compulsory subject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teacher of reading education must become the teacher librarian who has a firm faith and an intellectual accomplishment. But, teacher-librarian has much disadvantages such as the problems of promotion, the division of qualifi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and a short-term training courses for teacher-librarian. Hence, theses problems music be solved in national administrative level. Recommended reading lists must be provided to the student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of the sense of value, to estimate their own reading ability by themselves and to establish life long reading plan. Therefore, both Korean Library Associ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re-examine and develop recommended reading lists. Finally, problems of a juvenile delinquency in the post industrial society have to be solved through reading education. To solve the juvenile delinquency problems, adolescents should cultivate their moral character and possesses abundant knowledge through reading education. Then, young adults will grow as sound citizen in the society.

  • PDF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 영향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Teacher Librarians' Intentions to Implement Collabo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 김승희;박지홍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21-1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를 설명하는 것이다.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태도, 주관적 규범, 교사효능감 및 지각된 통제가능성을 설정하고, 사서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 연령이 30대인 경우, 근무학교의 규모가 작은 경우, 도서관 협력수업 경험이 있는 경우에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변수 중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가능성은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교사효능감은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개방형 문항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연구결과를 해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협력수업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PCK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교과교사와 사서교사 간의 교수-학습 협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eaching-Learning Collaboration Between Subject Teacher and Teacher Librarian Based on TPCK Framework)

  • 이혜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449-46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교도서관의 사서교사와 일반 교과의 교사들 간의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교육의 또 다른 주체인 학생을 중심으로 한 부분을 확대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무엇보다 교사와 학생들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직접적인 교환이 이루어지는 지식을 중심으로 주제, 교육학적인 배경, 정보기술의 활용 등을 고려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과 정보활용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 이정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7-85
    • /
    • 2007
  •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교교육과정에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이나 정보활용교육의 종류는 학교도서관 이용법, 독서교육, 학교도서관연계 수업모형 개발, 사서와 교과교사 협력하는 통합교육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단위학교별 그 수준 편차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는 정보활용교육을 담당할 사서의 부재와 학교도서관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과 제도의 환경 때문에 교과교사 중심의 정보활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효용성 평가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앞으로 학교교과과정 내에 정보활용교육이 자리매김하는 경우에는 현재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보활용교육의 효용성을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를 위해서 정보활용교육을 교과과정 내에 통합하는 정책적 측면과 교과과정 분석 그리고 사서교사의 전문인 양성의 실천적인 방법이 요구됨을 제언한다.

  • PDF

Kirkpatrick 평가모델을 활용한 사서교사 계속교육 효과 측정 연구 (A Study on Measuring the Effects of Continuing Education of Librarian Teachers Using Kirkpatrick Education Model)

  • 오의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95-311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Kirkpatrick 교육평가모형을 활용하여 사서교사의 계속교육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측정하는데 있다. 2022년 하계 『사서교사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사서교사 136명을 대상으로, 3단계의 교육평가를 진행하였다. 1단계는 교육 전반에 관한 만족도 조사이며 교육 후에 조사되었으며, 2단계와 3단계는 교육 전과 교육 후에 조사하였고, 전후 차이 분석으로 실질적인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2단계는 학습평가이며 3단계는 직무역량향상 평가이다. 연구 결과 모든 단계에서 높은 측정 점수가 산출되었고, 2단계 학습평가에서 교육의 전후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 직무역량향상평가에서는 교육 후에 점수가 하락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단계 평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평가모델이 보완되고, 유효한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균형 있는 교육과정의 설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학교도서관 환경변화에 따른 학교도서관 운영 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s of School Library Professionals Followed by Environment Changes of School Libraries)

  • 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93-516
    • /
    • 2009
  •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변화한 학교도서관 환경변화에 따라 학교도서관 운영전문가의 역할이 무엇인지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학교도서관 사서 배치관련 법규 및 사서교사 배치현황을 분석하고, 비정규직 사서업무에 대한 면담 분석 및 정규직 사서교사, 비정규직 사서, 도서관 담당교사가 실제 수행하고 있는 업무에 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여 바람직한 학교도서관 운영전문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 PDF

사서교사 1급 자격연수 교육과정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Qualification Training Curriculum for Level 1 Librarian Teachers)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1-54
    • /
    • 2022
  • 본 연구는 2021년도 여름방학 중에 사서교사(1급) 자격연수를 운영한 K대학교 교육연수원의 사례를 바탕으로, 자격연수가 어떻게 구성 및 운영되는지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 결과 사서교사(1급) 자격연수에는 초등학교에서 50명(남성 4명, 여성 46명), 중학교에서 24명(남성 4명, 여성 20명), 고등학교에서 37명(남성 5명, 여성 32명), 총 111명의 사서교사들이 참여했다. 또한 자격연수의 교육과정은 '학습자 힘 기르기'의 영역 및 '사서교사 역할 성명서'의 직무 범위에 부합되는 핵심역량과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자격연수에 참여했던 사서교사 111명의 만족도는 평균 5점 만점에 4.76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편이이었으나, 가장 낮거나 평균보다 낮았던 부분에 대해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