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iveness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학교도서관과 정보활용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e types of information literacy in school library is classified into usage instruction of school library, reading education, instructional development o4 courseware with school library and integrated instruction of collaboration with school librarian and teacher. A measure of scholastic achievement on information literacy varies in each school. The cause is rely on the absence of librarians who teach information literacy and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role of school library in information literacy. Nevertheless, we know that the program based on subject teacher is successful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t demonstrate that if information literacy will be considered as important course in the curriculum for school librarian,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literacy can be enhanced dramatically. For the purpose some strategies are required. In this paper, propose three strategies, which are integr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into curriculum of schools, analysis of the curriculums and a practical method for training school librarian.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교교육과정에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이나 정보활용교육의 종류는 학교도서관 이용법, 독서교육, 학교도서관연계 수업모형 개발, 사서와 교과교사 협력하는 통합교육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단위학교별 그 수준 편차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는 정보활용교육을 담당할 사서의 부재와 학교도서관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과 제도의 환경 때문에 교과교사 중심의 정보활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효용성 평가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앞으로 학교교과과정 내에 정보활용교육이 자리매김하는 경우에는 현재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보활용교육의 효용성을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를 위해서 정보활용교육을 교과과정 내에 통합하는 정책적 측면과 교과과정 분석 그리고 사서교사의 전문인 양성의 실천적인 방법이 요구됨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연례,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활용능력 교육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3(2006), pp.3-32
  2. 곽철완, 장윤금,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 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4 (2006), pp.143-160
  3.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Final Report: Presidential Committee on Information Literacy(Chicago : ALA, 1989)
  4.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an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98)
  5. Kuhlthau, C. Seeking meaning: A proces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2nd edition. (Westport Conn. Libraries Unlimited., 2004)
  6. Loertscher, D. and B. Wools. Information literacy: Review of the research. 2nd edition. (Texas : Hi Willow Research and Pub, 2002)
  7. Williams, D. Information literacy and learning on-line. In SCROLLA Networked Learning Symposium, University of Glasgow. [Cited 2007.10.20].
  8. Kapitzke, C. 'Information literacy: A review and poststructural critique.' Australian Journal of Language and Literacy, Vol.26, No.1 (2003). pp.53-66
  9. Herring, J. 'A Critical Investiga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view of the use of information literacy skills in school assignments,' School Library Media Research. Vol.9(2006)
  10. Russell, S. 'Teachers and librarians: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eacher Librarian, Vol.29, No.5(2002), pp.35-38
  11. 권은경, '미국 학교도서관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3 (2006), pp.381-414
  12. 유소영, '정보교육과 학교도서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25(1994), pp.53-74
  13. 한윤옥, '학교도서관의 협동교수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29(1995). pp.257-279
  14. 송기호,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개선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4, No.2 (2003), pp.27-40
  15. 이병기, '학교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6, No.1(2005), pp.45-74
  16. 이병기, '정보활동 중심의 도서관 활용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2 (2006), pp.1-36
  17. Intan Azura Mokhtar and Shaheen Maid, 'An Exploratory study of the collaborative relationsip between teachers and librarians in Singapor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8(2006), pp.265-280 https://doi.org/10.1016/j.lisr.2006.03.005
  18. Patricia Montiel-Overall. 'Research on teacher and librarian collaboration: An examination of underlying structures of model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Vol.29(2007), pp.277-292 https://doi.org/10.1016/j.lisr.2007.04.006
  19. Winer, M., & Ray, K. Collaboration handbook: Creating, sustaining and enjoying the journey(MN: Amherst H. Wilder Foundation. 1994)
  20. Russell, S.. Teachers and library media specialists: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eacher Library Media Specialist, Vol.29, No.5(2002), pp.35-38
  21. 교육인적자원부. 2006 학교도서관 활성화 우수 사례집
  22.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학교도서관 기반 독서 및 정보활용교육 제44회 전국도서관대회 학교도서관 세미나(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07)
  23. 2007년 10월 30일 이대부초 사서교사와 면담
  24. '교육인적자원부. 2006 년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학교도서관 수가 2002 년도에는 8,181개였고. 2005년도 9,696개로 1,515개의 증가를 보여 2005년 현재 학교도서관 설치율을 89.6%가 되었다. 한편 사서교사 수는 2002년 164명에서 2005년에는 313명으로 149명이라는 아주 적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비정규직 사서 수는 2002 년의 880명에서 2005년에는 1,881명으로 1,001명의 증가율을 보였다(도서관 연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