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BL(Team-based learning)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4초

학부과정의 다학제 융합 교과 수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수업 개선을 중심으로 - (Narrative Inquiry about Practical Experience of an Interdisciplinary Undergraduate Class of Design and Engineering - Focusing on an improvement of the class -)

  • 이상선;김동민;김미희;김수찬;김한중;이인석;박경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21-141
    • /
    • 2015
  • 본 논문은 3년간(2012~2014) 학부에서 진행된 다학제 융합수업 개선을 위하여 융합 교육과정, PBL(Problem Based Learning)과 TBL(Team Based Learning)의 활용, 효과적인 발표 등에 대한 딜레마를 다루었으며,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시간, 장소, 교육과정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기술한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몇 가지 수업 개선점을 제안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융합수업에서 교수들의 미니 강의비율이 대체로 높다. 강의시간을 1/4로 줄이고 수업시간에 중요한 토론과 과제를 마칠 수 있도록 시간을 배려하고, 즉각적인 도움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과제부담은 줄어들 것이다. 둘째, 기존의 교육과정 틀을 유지한 채 융합수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각 학과 전공교육과정에 '융합교과목'이라는 과목을 설치하여 다른 학과 교수와 함께 수업을 개설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셋째, 본 수업에서 PBL과 TBL를 동시에 적용하는 효율적인 수업진행 방식은, TBL에서 요구하는 과제를 하나의 문제 상황으로 생각하고 PBL 학습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적인 발표수업은 매시간 발표할 기회를 학생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팀 발표수업의 횟수는 한 학기 3번이 적당하지만, 발표시간이나 방법은 수정이 필요하다. 발표 전날 모든 팀으로부터 발표내용을 받고, 팀 발표시간은 15분에서 30분으로 늘리고 2일 동안 발표를 한다면 학생은 발표 준비와 진행에 여유를 갖게 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에듀테인먼트 활성화를 위한 팀기반학습(TBL) 효과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TBL) for Edutainment Activation in Nursing Students)

  • 김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97-408
    • /
    • 2019
  • 본 연구는 혈관·혈액계 장애 대상자 간호를 주제로한 성인간호학 전공필수 교과목에서 팀기반학습 수업이 강의식 수업과 비교하여 간호대학생의 문제 해결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인 유사실험 연구로서 G광역시 3학년 간호대학생을 편의표집하여 실험군 66명과 대조군 66명의 총 1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팀기반학습 수업 전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사전설문조사를 하였고, 실험군에게는 표준화된 팀기반학습 수업 3단계 프로토콜에 따라 총 6회 12시간의 팀기반학습 수업을 진행하였다. 팀기반학습 수업 후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사후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은 팀기반학습 수업을 받은 실험군(3.57±.40)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대조군(3.35±.40)보다 문제해결능력 점수가 높아졌고, 사전점수를 통제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9.179, p=.003).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팀기반학습 수업을 받은 실험군(3.54±.42)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대조군(3.35±.48) 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점수가 높아졌고, 사전점수를 통제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7.447, p=.007).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는 팀기반학습 수업을 받은 실험군(3.79±.40)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대조군(3.58±.37)보다 학습동기 점수가 높아졌고, 사전점수를 통제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7.974, p=.006). 따라서, 팀기반학습 수업은 강의식 수업과 비교하여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임을 확인하였다.

성과기반 간호교육에서 팀기반학습 적용의 효과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Outcome based Nursing Education)

  • 오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409-418
    • /
    • 2015
  • 본 연구는 성인간호학 분야의 심장계 환자간호에서 팀기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교과목 학습성과로서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성취도, 그리고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인 유사실험연구이고, G시 4년제 간호학과 2학년 학생들을 편의표집하여 실험군 52명, 대조군 54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은 2014년 2학기 중 주당 3시간씩 2주 동안 팀기반학습을 적용하고, 대조군은 동 기간동안 강의 및 사례적용 발표수업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문제해결능력(F=5.92, p=.017)과 수업만족도 점수(F=5.80, p=.018)는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성향과 학업성취도 점수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교육에 팀기반학습의 적용은 간호학생들의 중요한 학습성과인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수업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공과대학생의 팀워크 역량과 사고양식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Teamwork Skills and Thinking Styles in Engineering Students)

  • 황순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39-49
    • /
    • 2017
  •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mwork skills' (often called team activity competence) and 'thinking styles' of engineering students in Korea, and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eam-based environment as well as for the increase of teamwork skills. Teams and team activity are pervasive in today's organization and there has been relatively much research on teamwork skills and its related factors. However, to dat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teamwork skills, essential factor in team-based environment and its relationships with thinking styl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83 engineering students at P University, and students' teamwork skills as well as thinking styles have been measured before and after team-based learning class (hereafter TBL).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of teamwork skills between before and after TBL class. Second, team activity competence was found to have a higher correlation with most of creativity generating styles (i.e. legislative, judicial, hierarchical and global styles). Third, hierarchical style was found to influence team activity more than other components, and also legislative, external, global and judicial styles contributed to team-based activity.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hinking styles in team-based environment and will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related courses in engineering school.

간호교육에서 팀 기반학습 적용이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rm Based Lear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 -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cience Education)

  • 전호선;주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269-279
    • /
    • 2017
  • 이 연구는 팀-기반 학습 적용 전과 후의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변화에 관여하는 주요하위 변수들과 팀구성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학습능력의 차이와 팀 만족도, 학습선호도를 분석하여 팀-기반 학습법을 간호학 교육과정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16년 10월부터 12월까지 G시 K대학교 간호학과 1학년 96명과 2학년 108명을 대상으로 수업 전과 후의 관찰 값을 SPSS, Medcal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팀-기반학습은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모두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엇고 학업성취도를 고려하여 구성한 팀에서 학습선호도가 높았다. 팀-기반 학습은 학생들이 수업 전 자율 학습과 팀 역동을 통하여 문제해결 및 의사소통 능력을 익히고, 전문성과 개인 개발을 향상시키는 학습방법임을 강조하여 교육과정에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팀-기반 학습에 관한 방법론적인 구성과 학생 개인의 특성과 학습방법의 선호도 같은 다양한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팀기반학습에서 동료평가 결과와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점수와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eer assessment results and self 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 a team based learning objected on dental hygiene students)

  • 채수진;황미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36-544
    • /
    • 2009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group peer evalu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SDLR) in an Introduction to Education class that used a team based learning(TBL). Moreover, it identified the specific components of the SDLR that predicted the peer evaluation results. Method : The research subject pool comprised of 87 $1^{st}$ students in D Health College. Each team was composed of 6~8 members, each of whom evaluated all other members on his or her team SDLR was measured by using SDLR-K-96. Results : SDLR and peer assessment score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confirming that SDLR was an important variable that could predict the peer evaluation scores. Among the SDLR factors, 'openness to challenge' and 'self-confidence as a learner' was shown to have the predictive power for the peer assessment. Conclusion : The colleges should provide dental hygiene students with learning opportunities on ability to do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diverse learning methods such as team based learning.

  • PDF

스마트워크 도구를 이용한 팀 기반 학습에서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마음챙김 실천이 수업외적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Informal Communication and Mindfulness Practice on the Non-Class-Related Behavior in the Team-Based Learning using Smartwork Tool: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elf-Efficacy)

  • 이종만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63-7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워크 도구를 이용한 팀 기반 학습에서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마음챙김 실천이 수업외적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 지각의 매개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은 수업외적인 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효능감 지각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챙김 실천도 수업외적인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효능감 지각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마음챙김 실천은 자기효능감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워크 도구를 이용한 팀 기반 학습 정책 수립시 자기효능감 지각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겠다.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에 대한 치위생 교육과정의 팀기반학습이 학습동기와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 박인숙;김동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7-140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eam-based learning to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oretical oral prophylaxis class, one of required courses geared toward acquiring professional knowledge on preventive public health, as oral prophylaxis was counted among major duties of dental hygienists. It's ultimately meant to compare the effects of team- based learning and expository instruction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f learners in order to discuss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in dental hygiene education.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 dental hygiene students at C college. Out of them, 32 students who were freshmen as of 2007 were group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28 students who were freshmen as of 2006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team-based learning from August 30 to December 6, 2007, and the control group took expository lessons from August 28 to December 8, 2006.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were evaluated by using t-test, paired t-test and GLM analysis.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better in learning motivation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y were engaged in team-based learning (p<.001). According to GLM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group gap in learning motivation, and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its subfactors involving attention, relevance and confidence(p<.05). 2. The experimental group excelled the control group at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p<.05), and the team-based learning had a better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an the expository instruction. Conclusions :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team-based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xpository instruction at boost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f the students. Therefore revised teaching methods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e cours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instructional models and educational programs is required as well.

간호대학생의 팀기반학습에서 동료평가 활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수업몰입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ssess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Team-Based Learning for Nursing Students : Mediating Effects of Flow in Class)

  • 한혜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675-678
    • /
    • 2023
  • 본 연구는 팀기반학습을 활용한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대학생 56명을 대상으로 동료평가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수업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은 PROCESS macro Program의 model 4를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동료평가, 수업몰입과 학업성취도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몰입은 동료평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료평가가 간호대학생을 위한 TBL 과정에서 수업몰입과 팀워크를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교수자가 학생의 학습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교육 전략 및 개입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조리실무과목에 대한 조리전공 대학생의 팀기반학습(TBL) 적용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eam-Based Learning by Culinary Major University Students to Culinary Skills Subjects)

  • 김찬우;정현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27-337
    • /
    • 2020
  • 본 연구는 조리실무과목의 팀기반학습(TBL)을 적용하여 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한 연구로서 학습자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다각적인 분석을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Q모집단을 구성, P표본 선정, Q분류, 결과 해석, 결론 및 논의의 순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유형 분석 결과 총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각각 그 특이성에 따라 명명하였다. 제 1유형(N=8) : 협동학습 효과 유형(Cooperative Learning Effect Types), 제 2유형(N=8): 문제해결능력 효과 유형(Problem Solving Ability Effect Types), 제3유형(N=6): 자기주도학습 효과 유형(Self Directed Learning Effect Type), 제 4유형(N=6): 개별실습 선호 유형 (Individual Practice Preference Type)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분석을 토대로 현재 교육환경과 여건에 맞는 실무적 교수학습방법을 제시하여 추후 사회적응력과 전공실무적능력을 향상하고자 한다. 또한 미래의 유사한 교수법 적용 연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