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Expectation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7초

향수(nostalgia), 기대 및 평가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써니>의 사례를 중심으로- (Effects of Nostalgia, Expectation, and Evaluation on the Intention to Watch a Movie -Focused on the Case of -)

  • 박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4-625
    • /
    • 2013
  •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향수 마케팅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영화 산업에서도 향수라는 주제는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향수를 중심으로 기대 및 평가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향수는 과거의 장소나 시간을 그리워하는 감정이다. 기대는 실용적 기대와 정서적 기대로 나누어지며, 평가는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로 구분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다섯 가지요소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높은 연령이 낮은 연령보다, 여성이 남성보다 향수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0~20대는 정서적 기대 주관적 평가 향수 순으로, 30대 이상은 정서적 기대 향수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정서적 기대 향수 주관적 평가 순으로, 여성의 경우 정서적 기대 주관적 평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마케팅 전략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기대권침해론에 관한 일본의 최근 동향 (Recent Trends in the Theory of Expectation Rights Violations in Japan)

  • 손영민
    • 의료법학
    • /
    • 제14권1호
    • /
    • pp.209-236
    • /
    • 2013
  • The concept of expectation rights considers 'the expectation' that the patient should be given proper medical treatment as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so it would be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due to personal rights different from 'the legal principle that has the possibility to a considerable extent' being in an extension of life and body. However, the problem how the patient's expectation of medical service sets up in order to make it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would be still left in the vague concept of the patient's 'expectation', thus, in the first place, the medical practice following formed medical standard in every particular medical institutes should be the standard because these medical services are normally within a range of the patients' expectations. In addition, it should be naturally constituted as mental profit to get the subjective circumstances such as 'the patient's expectation' to be an object, and also, different from the pro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such as life and body that should be absolutely protected, the origin of violation behavior should be regarded simultaneously to define the denotation of expectation rights. Therefore, the expectation rights violations would be problematic in case it fails to reach the medical standard that is expected for common doctors to practice properly. This is the concept of expectation rights that gets subjective matters such as the patient's expectation to be objectivity as medical practices that can be expected by generalized abstract doctors. This standard should be defined as the minimum standard that is naturally expected for doctors to practice, different from medical standard that decides the level of doctors.

  • PDF

3세대 동거가정의 주관적 주거과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bjective Residential Crowding of Three Generation Family)

  • 문숙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7-85
    • /
    • 1988
  • This study focused o investigating the variables dauther-in-law and mother-in=-law's subjective household crowding. And which is the best index among space per person, persons per room,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was the next issu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Variables that effected on the dauther-in-law's subjective household crowding were expectation about the number of rooms,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dauther-in-law, duration of marriage, educational level of mother-in-law, space per person. In the case of mother-in-law, these were duration of marriage, space per person, expectation about the number of rooms, educational level of mother-in-law. 2. The best objective household crowding index was the space per person. Finally we need to look at the suv-dimension that composed of subjective household crowding of the old.

  • PDF

여성 고령자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생활 수준 기대감과 우울의 다중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n the Quality of Life of Female Elderly: Verification of the Multi-Mediation Effect of Expectation and Depression of Living Standards)

  • 이보영;이용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65-378
    • /
    • 2022
  • 본 연구는 여성 고령자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생활 수준 기대감과 우울의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8 고령화 연구패널 조사 7차' 자료의 55세 이상 여성 고령자 8,070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성 고령자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고령자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생활 수준 기대감은 높고, 우울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 고령자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생활 수준 기대감과 우울을 동시적으로 회귀식에 투입하였을 때, 두 변수 모두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함께 논의하였다.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과 삶의 만족도 관계 -주관적 기대감의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Level on Life Satisfaction in Baby-Boom Generation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Expectation-)

  • 박서영;최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66-674
    • /
    • 2016
  •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주관적 기대감(생활수준 및 정부정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012년 제4차 고령화연구패널 조사이며, 베이비붐 세대인 1955년생부터 1961년생 1,75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SPSS 21.0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소비수준이 미치는 효과는 주관적 기대감에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주관적 기대감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기능성 소재에 대한 지식과 기대수준에 따른 행동의도 차이 (Effects of Consumer Knowledge and Expect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for Apparel on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 최라윤;전은경;유화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62-270
    • /
    • 200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and expect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for apparel and to examine how the knowledge and expectations affect their behavioral intent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tudents and 40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using SPSS 12.0 package. As the results, it showed that the knowledge related to functional materials for apparel was medium level. Brand knowledge among the objective knowledge of functional materials for apparel revealed to have a lower level than the knowledge of clothing materials, product, use and wash & care. The level of self-evaluation knowledge among subjective knowledge appeared to be lower than the one of experience related knowledge. A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objective knowledge and subjective knowledge was low, it was thought that both of them must be considered in studying on consumer knowledge. It showed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expect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for apparel was composed of physiological and physical aspects,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practical and aesthetic aspects. The expectation was revealed to be generally high. However, the level of expectation to the practical and aesthetic aspects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 aspects.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and expectation were found to have influence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 In other words, it showed that the higher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level and expectation level were, the bigger behavioral intention was.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ocial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of the Rural Elderly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 안종철;임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89-21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과 여가활동, 주관적 삶의 질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농촌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와 사회활동,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340분의 자료 중 결측치를 제외한 324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과 여가활동, 삶의 만족도 및 기대감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고,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과 여가활동은 주관적 삶의 질인 삶의 만족도와 삶의 기대감에 정(+)의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삶의 만족도에는 종교활동과 취미, 사교활동 등의 여가활동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삶의 기대감에는 취미활동을 통한 여가활동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농촌 노인의 경제활동은 주관적 경제만족과 생활수준 기대감, 정부/지자체 기대감에 영향을 미쳤고, 자원봉사활동과 소일거리는 주관적 건강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결과를 고려하여 농촌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고,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Effect of IADL on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Expectation and Depression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7호
    • /
    • pp.125-13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데이터를 활용하여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IADL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이 다중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IADL이 높을수록 주관적 기대감은 낮아지고, 우울은 높아지며, 삶의 만족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주관적 기대감이 높아질수록 우울은 낮아지고, 삶의 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IADL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을 통해 삶의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다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일상생활제한을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기관의 확대와 우울증 감소를 위한 전문가의 주기적인 프로그램 제공, 부양자에 대한 국민연금의 부과급여 신설을 통한 주관적 기대감의 확대가 필요하다.

주관적 기대가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축적에 미치는 효과 (Retirement-related Subjective Expectations and the Capital Accumulation of the Korean Baby-boom Generation)

  • 이윤수;우석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855-87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미래 사건에 대한 주관적 기대가 자산축적에 미친 효과를 분위회귀분석(quantile regression)을 통해 살펴보았다. 한국고령화패널 1, 2차년도(2006, 2008년) 자료를 이용하여 자산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학력, 성별, 자녀수는 어떤 분위에서도 유의한 결정요인이었다. 특히, 학력과 자녀수는 상위 분위로 갈수록 총자산의 격차를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미래 사건에 대한 주관적 기대의 경우, 증여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좀 더 긴 수명을 기대할수록, 베이비붐 세대는 좀 더 많은 자산축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노후 생활에 대한 국가의 보장 정도가 개인의 자산축적을 구축하는 정도는 총자산 하위 분위 보다는 상위 분위에서 증가하였으며, 상위 분위의 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침해의 선행요인 연구 : 효능감, 주관적 규범, 학교정책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Digital Contents Piracy Focusing on Efficacy, Subjective Norm and School Policy)

  • 권문주;조남형;김태웅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2
    • /
    • 2013
  • A new form of software piracy known as digital piracy has taken the spotlight. Lost revenues due to digital piracy could reach 2,500 billion won in year 2010 alone. This paper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attitude toward digital piracy, subjective norm, economic gain, political efficacy, school policy, etc, in a university setting. Results from survey responses indicate that the social norm and economic gain affect the attitude toward digital piracy, and that school policy influences the subjective norm as well as political efficacy. But, contrary to our expectation, political efficacy has been found to have no impact on the social norm and economic gain. Prior learning experiences have been shown to affect economic gain, but not the subjective norm. As a conclusion,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