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n the Quality of Life of Female Elderly: Verification of the Multi-Mediation Effect of Expectation and Depression of Living Standards

여성 고령자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생활 수준 기대감과 우울의 다중 매개효과 검증

  • 이보영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용창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2.01.03
  • Accepted : 2022.03.05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n the quality of life of female elderly people and to verify the multi-mediated effect of expectation of living standards and depression. To this end,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for 8,070 female elderly people aged 55 or older in the data of the "2018 Aging Research Panel Survey 7"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women,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Second, the higher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women, the higher the expectation of living standards and the lower the depress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nd quality of life of female elderly, when expectations and depression of living standards were simultaneously put into the regression equation, both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omen were discussed together.

본 연구는 여성 고령자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생활 수준 기대감과 우울의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8 고령화 연구패널 조사 7차' 자료의 55세 이상 여성 고령자 8,070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성 고령자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고령자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생활 수준 기대감은 높고, 우울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 고령자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생활 수준 기대감과 우울을 동시적으로 회귀식에 투입하였을 때, 두 변수 모두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함께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 송영숙, "노인의 일 참여 여부에 따른 생활 수준에 대한 기대감 및 삶의 만족 차이," 성인계속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pp.87-104, 2020.
  3. 박소영, 정순둘, "중고령자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고립감의 매개효과-성별 및 연령 집단 간 다집단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73권, 제2호, pp.9-32, 2021.
  4. 정숙정, "노인의 경제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소득, 주관적 계층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74권, 제1호, pp.115-139, 2019. https://doi.org/10.21194/KJGSW.74.1.201903.115
  5. 김혜진, "중년층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이 노후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2권, pp.53-80, 2012.
  6. 국립국어원, https://www.korean.go.kr/
  7. M. R. Jackman and R. W. Jackman, "An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pp.569-582, 1973.
  8. Crompton Rosemary, "Class and Stratification: An introduction to Current Debates," The Australian Journal of Social Issues, Vol.29, No.4, p.412, 1993.
  9. 송한나, 이명진, 최샛별, "한국 사회의 객관적 계급위치와 주관적 계층의식간 격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 제36권, 제3호, pp.97-119, 2013.
  10. R. Veenhoven, "Why social policy needs subjective indicato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58, No.1, pp.33-46, 2002. https://doi.org/10.1023/A:1015723614574
  11. 임정숙, 정순둘, 정주희, "준고령자의 노후생활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39권, 제3호, pp.569-587, 2019.
  12. M. Fishbein and I. Ajzen, Predicting and changing behavior: A reasoned action approach, New York: Psychology Press, 2011.
  13. L. D. Frazier, F. L. Newman, and J. Jaccard, "Psychosocial outcomes in later life: A multivariate model," Psychology and Aging, Vol.22, No.4, p.676, 2007. https://doi.org/10.1037/0882-7974.22.4.676
  14. Y. M. Jung. "Health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according to depress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7, No.1, pp.71-86, 2007.
  15. O. L. MeyerL, L. Castro-Schilo, and S. Aguilar-Gaxiola, "Determinants of mental health and self-rated health: a model of socioeconomic status, neighborhood safety, and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04, No.9, pp.1734-1741, 2014. https://doi.org/10.2105/AJPH.2014.302003
  16. A. J. Santanasto, A. B. Newman, E. S. Strotmeyer, R. M. Boudreau, B. H. Goodpaster, and N. W. Glynn, "Effects of changes in regional body composition on physical function in older adults: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Vol.19, No.9, pp.913-921, 2015. https://doi.org/10.1007/s12603-015-0523-y
  17. 이인정,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위기사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4호, pp.34-62, 2011. https://doi.org/10.15709/HSWR.2011.31.4.34
  18. 남일성, "중고령층 우울증 여부의 성별 격차에 관한 요인 분해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66권, 제2호, pp.159-177, 2014. https://doi.org/10.20970/KASW.2014.66.2.002
  19.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ttps://www.hira.or.kr/main.do
  20.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10729001031, 2021.07.29.,
  21. 서광민, "주관적 계층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소득.교육수준.직업.소득 만족도.생활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911-921, 2009.
  22. 최윤정, "노인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6호, pp.209-218, 2018. https://doi.org/10.5762/KAIS.2018.19.6.209
  23. 이연경, 이승종, "사회계층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객관적 계층과 주관적 계층의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55권, 2017.
  24. 한수정, "여성 독거노인의 가구총소득, 사회적 계층의식, 친목활동,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9권, 제4호, pp.615-632, 2019.
  25. 김유진, "[8만시간 디자인] 공모전 기록물 분석을 통해 본 백세시대 노인의 노후에 대한 기대와 계획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4호, pp.217-240, 2014. https://doi.org/10.15709/HSWR.2014.34.4.217
  26. M. G. Cole and N. Dendukuri,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mong elderly community subjec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60, No.6, pp.1147-1156, 2003. https://doi.org/10.1176/appi.ajp.160.6.1147
  27. N. J. Spence, D. E. Adkins, and M. E. Durpe, "Racial differences in depression trajectories among older women: Socioeconomic, family, and health influenc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52, No.4, pp.444-459, 2011. https://doi.org/10.1177/0022146511410432
  28. J. S. Girgus, K. Yang, and C. V. Ferri, "The gender difference in depression: are elderly women at greater risk for depression than elderly men?," Geriatrics, Vol.2, No.4, p.35, 2017. https://doi.org/10.3390/geriatrics2040035
  29. 박선영, 이충기, "고령세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재정정책논집, 제18권, 제1호, pp.3-27, 2016.
  30. J. Lundberg and M. Kristenson, "Is subjectives status influenced by psychosocial facto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89, No.3, pp.375, 2008. https://doi.org/10.1007/s11205-008-9238-3
  31. 조동기, "중산층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관적 계층의식," 한국인구학, 제29권, 제3호, pp.89-109, 2006.
  32. 법제처 www.moleg.go.kr
  33. 최효진, "중고령층의 자가여부가 주관적 계층의식에 미치는 영향-부채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다중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제73권, 제2호, pp.33-56, 2021.
  34. D. Y. Yeung, "Is pre-retirement planning always good? An exploratory study of retirement adjustment among Hong Kong Chinese retirees," Aging & Mental Health, Vol.17, No.3, pp.386-393, 2013. https://doi.org/10.1080/13607863.2012.732036
  35. 김남원, 장선철, 임은실,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과 은퇴준비행동 및 은퇴만족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66-7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9.066
  36. S. Shin and E. Hwang, "Factors influencing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older adults with chronic illnesses: Using the 2014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s Nursing, Vol.30, No.6, pp.577-585, 2018. https://doi.org/10.7475/kjan.2018.30.6.577
  37. C. J. Chang and H. W. Yang, "The effect of family care burden on depression in elderly women and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Journal of Korea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Vol.11, No.2, pp.1-12, 2019.
  38. 조은아, 박수희, "여성 노인의 우울과 체형인식, 신체활동, 식습관 및 구강건강의 관계,"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5-22, 2021.
  39. 한국고용정보원 https://www.keis.or.kr/main/index.do
  40. 가영희,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63-186, 2006.
  41. 윤인진, 김상돈, "사회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계층의 식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급여가활용의 매개효과분석," 도시행정학보, 제21권, 제2호, pp.153-18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