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istical literacy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19초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통계적 소양 수준 반영 정도 (Levels of Statistical Literacy Derived from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

  • 최선미;노지화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4호
    • /
    • pp.481-497
    • /
    • 2021
  • The importance of statistics in everyday life and work place has led to calls for an increased attention to statistical literacy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both internationally and domestically. While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researchers propose perspectives towards and models of statistical literacy, conceptions and elements of statistical literacy vary. This study examines how mathematics textbook questions fulfill the requirements of statistical literacy by employing two models: Watson's model focusing on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language and Curcio's model on data interpretation aspects of statistical literacy. For this, a total of 872 problem questions presented in the statistics units of from ten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year 1 mathematics were analyzed.

통계적 소양의 교육적 의미 고찰 (Study of the educational meaning of Statistical Literacy)

  • 강현영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21-137
    • /
    • 2012
  • 최근 통계적 소양, 추론, 사고에 중점을 둔 통계 교육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제기되었다. 특히 통계 교육의 목적으로서 통계적 소양의 중요성이 주목을 받고 논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통계적 소양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동안 논의되었던 통계적 소양의 정의, 구성요소를 살펴본다. 그리고 학교 수학교육과정에서 통계교육의 목적을 살펴보고, 통계적 소양의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통계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생각해 본다.

수업설계안에 나타난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통계적 소양 수준 분석연구 (Analysi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in lesson plan)

  • 김도은;강병련;이민희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429-449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istical litera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to discuss the impact of statistical literacy in lesson pla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13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tests and lesson plan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id not have a high level of statistical literacy, and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re was a big level difference between them. Secon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lesson pla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target gra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tudent, and the contents. Based on this study, we seek to find implications for how it is appropriate to educate teachers in charge of statistical education.

중등수학교사와 일반인의 통계적 소양 분석 -여론조사 결과의 이해수준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Statistical Literacy of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d Adults -Focused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 a Poll Results-)

  • 소재홍;바담자브꾼덱마;전영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97-425
    • /
    • 2020
  • 본 연구는 중등수학교사와 일반인의 여론조사 결과에 대한 이해수준을 바탕으로 그들의 통계적 소양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중등수학교사 20명과 일반인 20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여기서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론조사 결과에 포함되는 통계 용어 및 표현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중등수학교사와 일반인이 드물었다. 둘째, 연구참여자의 70%가 통계적 소양 수준이 3, 4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중등수학교사의 통계적 소양 수준이 일반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소양 :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in Understanding of Sample)

  • 탁병주;구나영;강현영;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19-39
    • /
    • 2017
  • Taking samples of data and using samples to make inferences about unknown populations are at the core of statistical investigations. So,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ample as statistical thinking is involved in the area of statistical literacy, since the process of a statistical investigation can turn out to be totally useless if we don't appreciate the part sampling plays. However, the conception of sampling is a scheme of interrelated ideas entailing many statistical notions such as repeatability, representativeness, randomness,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This complexity makes many people,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reason about statistical inference relying on their incorrect intuitions without understanding sample comprehensively. Some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concept of a sample is understood by not only students but also teachers or preservice teachers, but we want to identify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ample as the statistical literacy by a qualitative analysis. We designed four items which asked preservice teachers to write their understanding for sampling tasks including representativeness and variability. Then, we categorized the similar responses and compared these categories with Watson's statistical literacy hierarchy. As a result, many preservice teachers turned out to be lie in the low level of statistical literacy as they ignore contexts and critical thinking, expecially about sampling variability rather than sample representativeness. Moreover, the experience of taking statistics courses in university did not seem to make a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their statistical literacy.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statistics education.

통계적 문제해결 지도를 위한 예비초등교사들의 통계적 소양 조사 연구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Related To Statistical Problem Solving)

  • 고은성;박민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3호
    • /
    • pp.443-459
    • /
    • 2017
  • 최근 통계적 소양이 통계교육의 모든 목표를 포괄한다고 보는 통계적 소양에 대한 대안적 관점이 강조되고 있다. 통계적 소양에 대한 대안적 관점과 통계교육 및 평가에서의 통계적 소양에 대한 다양성 관점을 바탕으로 살펴보면, 통계적 문제해결과 관련된 핵심 이슈 및 아이디어들을 통계적 소양을 구성하는 요소로 간주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계적 문제해결의 각 단계에서의 핵심 이슈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이해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통계적 문제해결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각 단계에서의 핵심 이슈들을 선별하여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26명의 예비초등교사들에게 통계 포스터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게 하여 각 이슈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이해를 조사하고, 통계교육에서의 교사 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 Study on the Oral Health Literacy and Related Factors of Mother's in Some Areas

  • Kim, Mi-Jeong;Lim, Cha-Young;Son, Ju-Le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2-62
    • /
    • 2021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the level-based oral health care program depending on the mother's oral health literacy by finding out how mother's oral health literacy can effect on the preschool children's oral health and behavior.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92 mothers who have preschool children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verbal and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Results: The stud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in educational level depending on differences in verbal and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by sociodemographic factor. In differences in verbal and functional literacy depending on experience of education for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as showed highly on verbal and functional literacy in the case that subjects have an experience of education for oral health and their children have not been experienced of oral illness. And when it comes to the case that subjects have experience of education for oral health within one to two year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ed highly on verbal literacy. It showed that verbal and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effects to oral health care behavior of children judging from results that the higher level of mother's verbal oral health literacy, the higher score of children's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ystematic program which is appropriate for characteristics of each oral period in childhood depending on level of primary caregiver's oral health literacy, and systematic education should be preceded to enhance the literacy of the caregiver.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improve the oral health care of children by developing a manual for oral health care education to enhance primary caregiver's oral health literacy.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한 그래프 오류 유형 분석: 자료 분석 단계에서의 통계 윤리 문제 (An Analysis on Error Types of Graphs for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Ethical Problems at Data Analysis in the Statistical Problem Solving)

  • 탁병주;김다빈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0
    • /
    • 2020
  • 본 연구는 통계적 소양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초등학교 통계교육의 주된 내용 요소에 해당하는 그래프 지도 중 특히 오류의 유형화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헌 분석을 통해 통계적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그래프의 교수학적 의의와 구성 요소를 확인하였고, 이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류하여 각 사례들을 자료 분석 단계에서의 통계 윤리 문제와 연결하였다. 연구 결과, 그래프 오류 유형은 범주 표현에서의 오류, 빈도 표현에서의 오류, 맥락 제시에서의 오류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러한 오류로 인해 자료 분석 단계에서 주관적인 분석 방법 채택, 시각적 착시현상 유도, 자료에 대한 정보 왜곡과 같은 통계 윤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정형화된 틀을 제공하고 그 틀에 맞춰 그래프를 그리는 절차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를 통해 그래프 오류 유형이 초등학교 통계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통계적 소양 교육, 통계 윤리, 교사 지식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그림그래프에서 추론하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 (Statistical Literacy of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bout the Beginning Inference from a Pictograph Task)

  • 문은혜;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2권3호
    • /
    • pp.149-166
    • /
    • 2019
  • 초등학교 수학에서 자료와 가능성 영역은 통계적 과정에서 요구되는 기초적인 통계적 내용을 학습하여 통계의 기초 소양을 기르는 단원이다. 학생들은 실제 자료에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표와 그래프로 정리하여 결론을 통계적으로 추론하며,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경험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그래프에서 추론하기' 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을 분석하여 초등학교에서 추론 학습 가능성과 통계적 소양의 관점에서 그림그래프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본다.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를 길러주는 것은 통계교육에서 중요한 목표이며, 비형식적인 통계 추론의 경험은 이후 학습할 형식적 통계적 추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그림그래프에서 추론하기' 과제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통계적 소양에 대한 논의는 학교 통계 교육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가상적 자료 생성 과정에 기반을 둔 자료 표현 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 (Statistical Literacy of Fifth and Sixth Graders for the Data Presentation Task Based on the Speculative Data Generation Process)

  • 문은혜;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4호
    • /
    • pp.397-413
    • /
    • 2018
  • 본 연구는 가상적 자료 생성 과정에 기반을 둔 자료 표현 과제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 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상적 자료 생성 과정을 포함하는 자료 표현 과제를 설계하였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료 표현 영역에 대한 통계적 소양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학생들의 통계적 소양을 단계별로 제시하여 발달 양상을 분석하는 것은 학생들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더 높은 수준의 수행 양상에 도달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통계적 소양 수준 평가의 기준안을 명확히 하고, 각 수준 별 학생 반응을 자세히 분석하여 학교 통계 교육에서 자료 표현 지도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