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Analysis on Error Types of Graphs for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Ethical Problems at Data Analysis in the Statistical Problem Solving  

Tak, Byungjoo (전주교육대학교)
Kim, Dabin (이리팔봉초등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v.24, no.1, 2020 , pp. 1-3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dentify the error types of statistical graphs for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We analyze the meaning of using graphs in statistical problem solving, and identify categories, frequencies, and contexts as the components of statistical graphs. Error types of representing categories and frequencies make statistics consumers see incorrect distributions of data by subjective point of view of statistics producers and visual illusion. Error types of providing contexts hinder the interpretation of statistical information by concealing or twisting the contexts of data. Moreover, the findings show that tasks provide standardized frame already for drawing graphs in order to avoid errors and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drawing the graph rather than statistical literacy for analyzing data. We suggest some implications about statistical literacy education, ethical problems, and knowledge for teaching to be considered when teaching the statistical graph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Keywords
statistical graph; error of graph; statistical literacy; statistical problem solving; ethical probl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부 (2018c). 초등학교 수학 4-2. 서울: 천재교육.
2 교육부 (2019a). 초등학교 수학 6-1. 서울: 천재교육.
3 교육부 (2019b). 초등학교 수학 6-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4 김지윤 (2016). 자료 수집 교육과정에서의 윤리성과 평가: 중학교 1학년 통계 단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배혜진, 이동환 (2016).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 지도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55-69.
6 우정호 (201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하).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7 이경화, 고은성, 신보미, 탁병주, 김은하, 정승호, 지영명, 구나영, 홍창섭, 윤형주, 양정은 (2020). 고등학교 실용통계. 서울: 씨마스.
8 이설빈 (2017). 통계적 분석결과 해석과정에서의 윤리성 문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수정 (2000). 통계지도에 관한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자미, 고은성 (2019).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조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3(1), 169-192.
11 이형근, 김동원, 탁병주 (2019). 타 교과 통계 그래프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그래프 지도 개선 방안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3(1), 119-141.
12 조성겸 (2010). 표와 그래프의 효과적인 제시방법. 대전: 통계교육원.
13 탁병주 (2017).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의 통계 교수 지식 연구: 표본 개념 지도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탁병주 (2018). 통계적 소양으로서 자료의 분류 및 표현 활동의 의의 분석: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3), 221-240.
15 Franklin, C. A., Kader, G. D.,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 (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report. Alexandri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6 황현미, 방정숙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학교수학, 9(1), 45-64.
17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 (2019). 수학교육학신론 1 (개정증보판). 파주: 문음사.
18 Cobb, G. W., & Moore, D. S. (1997). Mathematics, statistics, and teaching.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4(9), 801-823.   DOI
19 이영하 (2014). 인문학으로 풀어 쓴 통계교육 원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 Gal, I. (2002).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1-25.   DOI
21 Moore, D. S. (1990). Uncertainty. In L. S. Steen (Ed.), On the shoulders of giants: New approaches to numeracy (pp. 95-137).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2 Moore, D. S., & Notz, W. I. (2017). Statistics: Concepts and controversies. New York: W. H. Freeman. 심규박, 조태경, 이승수 (역) (2018). 개념과 논쟁으로 배우는 통계학. 서울: 교우사.
23 Wild, C. J. (2006). The concept of distribution.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5(2), 10-26.
24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25 Tufte, E. R. (2001). The visual display of quantitative information (2nd edition). Cheshire: Graphics Press.
26 Watson, J. M. (1997). Assessing statistical thinking using the media. In I. Gal, & J. Garfield (Eds.), The assessment challenge in statistics education (pp. 107-121). Amsterdam: IOS Press.
27 Watson, J. M. (2006). Statistical literacy at school: Growth and goals. New York: Routledge. 박영희 (역) (2013). 학교에서 어떤 통계를 배워야 하지?: 통계적 소양의 성장과 목표. 서울: 경문사.
28 Weiland, T. (2017). Problematizing statistical literacy: An intersection of critical and statistical literaci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6(1), 33-47.   DOI
29 Wild, C. J., & Pfannkuch, M. (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e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3), 223-248.   DOI
30 Wisconsin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WCER] (2003). Insights into data.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나온교육연구소 (역) (2004). 그림으로 보는 수 세상. 서울: 나온교육연구소.
31 교육부 (2017). 초등학교 수학 2-2. 서울: 천재교육.
32 고은성 (2012). 일반학급 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한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변이성에 대한 사고 수준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고은성, 강현영, 신보미, 이자미, 하병수, 정승호, 지영명, 김은하, 홍창섭, 탁병주 (2017). 실용통계 교육을 위한 교사용 가이드북.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34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35 교육부 (2018a). 초등학교 수학 3-2. 서울: 천재교육.
36 교육부 (2018b). 초등학교 수학 4-1. 서울: 천재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