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옥기.권언근.황혜정.전대열.노지화.우희정.윤상혁.이형주.유승연.윤혜미.홍창섭.정경호(2018). 중학교 수학1. (주)동아출판.
- 강현영(2012). 통계적 소양의 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25(4)호, 121-137.
- 고호경.김용환.김인수.이봉주.한준철.최수영.김정현.김화영.정시훈.조준모.최화식.최화정(2018). 중학교 수학1. (주)교학사.
-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 구나영.이경화(2021). 중학교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 분석. 학습자중심 교과교육학회지, 21(12), 595-616.
- 김선희.강현영(2020). 외국의 중등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통계 영역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학교수학, 22(3), 631-650.
- 김원경.조민식.방금성.배수경.지은정.임석훈.김동화.강순자.김윤희(2018). 중학교 수학1. (주)비상교육
- 김정란.김응환(2017). 미국의 통계소양교육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사교육 방향의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2), 163-186.
- 김화경.나귀수.이미라.이애경.권영기(2018). 중학교 수학1. (주)좋은책신사고.
- 류희찬.선우하식.신보미.정동승.장영훈.설정수.박슬히(2018). 중학교 수학1. (주)천재교육.
- 박교식.이종희.김진환.남진영.김남희.임재훈.유연주.권석일.김선희.김재원.박소현(2018). 중학교 수학1. (주)동아출판.
- 박유진(2010). 교과서 통계 단원에 제시된 그래프 문항 및 중학생의 통계 그래프 이해 능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혜준(2018). 통계적 탐구과정을 중심으로 중학교 3학년 통계단원 문항분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예지(2017). 통계적 탐구 문항에 기초한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통계 문항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수영.이은영.장미라.장미선.정주연.주미.최수연.황지연(2018). 중학교 수학1. (주)신사고.
- 우정호(2000).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학교수학, 2(1), 1-27
- 이준열.최부림.김동재.이정례.김상미.원유미.강해기.김성철.강순구(2018), 중학교 수학1. (주)천재교육.
- 장경윤.강현영.김동원.안재만.이동환.박진형.정경희.홍은지.김민정.박정선.지영명.구나영(2018). 중학교 수학1. (주)지학사.
- 주미경.강은주.강소영.이현구.강석주.오화평.권상순(2018). 중학교 수학1. (주)금성출판사.
- 탁병주(2017).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의 통계 교수 지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탁병주.이경화(2000).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7(2), 269-289.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 심층 분석 보고서.
- 황선욱.강병개.윤갑진.이광연.장홍월.정종식.조성율(2018). 중학교 수학1. 미래엔.
- Arnold, P. & Pfannkuch, M.(2020). On being data detectives: Developing novice statisticians using the statistical enquiry cycle. Set: Research Information for Teachers, (1).
- Bruner, J. S. (1964). The course of cognitive growth. American Psychologist, 19(1), 1-15 https://doi.org/10.1037/h0044160
- Cobb, T. (1997). Is there any measurable learning from hands-on concordancing? System, 25(3), 301-315. https://doi.org/10.1016/S0346-251X(97)00024-9
- Curcio, F.(1987). Comprehension of mathematical relationship expressed in graph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 (5), 382-393. https://doi.org/10.2307/749086
- Freudental, H.(1973).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 Reidel Publishing Company.
- Friel, S., Bright, G., & Curcio, F.(1997). Understand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graphs.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 (3), 224-227. https://doi.org/10.5951/MTMS.3.3.0224
- Friel, S., Curcio, F., & Bright, G. (2001). Making sense of graphs: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comprehension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2 (2), 124-158. https://doi.org/10.2307/749671
- Gal, I.(2002). Adult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 (1), 1-25. https://doi.org/10.1111/j.1751-5823.2002.tb00336.x
- Garfield, J. & Gal, I. (1999). Teaching and assessing statistical reasoning. In L. Stiff (Ed.),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s K-12 (pp. 207-220).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Graham, A. (2006). Developing Thinking in Statistics. London: Paul Chapman Publishing.
- NCTM(2000). 학교 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2007). 경문사.
- Wallman, K. K. (1993). Enhancing statistical literacy: Enriching our societ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s Association, 88(421), 1-8.
- Watson, J. & Callingham, R. (2003). Statistical Literacy: A complex hierarchical construct. Statistical Education Research Journal, 2(2), 3-46. https://doi.org/10.52041/serj.v2i2.553
- Watson, J. M. (2002). Discussion: Statistical literacy before adulthood.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26-30. https://doi.org/10.1111/j.1751-5823.2002.tb00337.x
- Watson, J. M. (2000). Statistics in context. The Mathematics Teacher, 93(1), 54-58. https://doi.org/10.5951/MT.93.1.0054
- Watson, J. M. (1997). Assessing statistical thinking using the media. In I. Gal & J. B. Garfield (Eds.), The Assessment Challenge in Statistics Education (pp. 107-121). Amsterdam, Holland: IO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