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Statistical Literacy of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d Adults -Focused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 a Poll Results-

중등수학교사와 일반인의 통계적 소양 분석 -여론조사 결과의 이해수준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0.08.29
  • Accepted : 2020.09.19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Statistical literacy is a key ability expected of citizens in information-laden societies, and is often revealed as an expected outcome of schooling and as a necessary component of adults' numeracy and literacy. Knowing how important statistical literacy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measure statistical literacy of adults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his study explored the statistical literacy based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 poll results and analyzed the data obtain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20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d 20 adult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few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d adults correctly recognized the meaning of statistical terms and expressions included in the poll results. Second, 70% of research participants did not reach levels 3 or 4 of statistical literacy levels. Third, the statistical literacy level of secondary mathematical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adults.

본 연구는 중등수학교사와 일반인의 여론조사 결과에 대한 이해수준을 바탕으로 그들의 통계적 소양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중등수학교사 20명과 일반인 20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여기서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론조사 결과에 포함되는 통계 용어 및 표현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중등수학교사와 일반인이 드물었다. 둘째, 연구참여자의 70%가 통계적 소양 수준이 3, 4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중등수학교사의 통계적 소양 수준이 일반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 신보미, 고은성, 이동환, 심송용, 구나영, 정인수, 최경식, 홍지혜 (2014). 통계 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2014A039.
  2. 고길곤 (2017). 통계학의 이해와 활용(제2판). 경기도 고양: 문우사.
  3.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8].
  4. 교육부 (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5. 교육부 (2015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0].
  6. 김도은 (2019). 수업설계를 통한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통계적 소양 함양 과정 분석. 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대전.
  7. 김응환 (2006). 표집오차(sampling error)와 표집분포(sampling distribution)의 용어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3), 309-316.
  8. 김응환, 이석훈 (2015). 통계와 확률 교육. 서울: 경문사.
  9. 김창동, 장경윤, 김응환, 문광호, 이병헌, 이채형, 차순규, 박윤근, 이소영, 정지현, 이병하, 김성남, 주정오, 권백일, 장인선 (2014). (2009개정)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교학사.
  10. 김현철 (2003). 동일조사에서 비율비교와 관련된 두 가지 흔한 오류. 응용통계연구, 16(1), 169-179. https://doi.org/10.5351/KJAS.2003.16.1.169
  11. 류희찬, 조완영, 이정례, 선우하식, 이진호, 손홍찬, 신보미, 조정묵, 이병만, 김용식, 임미선, 선미향, 유익승, 한명주, 박원균, 남선주, 김명수, 정성윤 (2014). (2009개정)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천재교육.
  12. 리얼미터 (2019). (YTN 현안조사) 일본식 표현의 우리말 교체 여부에 대한 국민여론(2019.08.16.).
  13. 문수백 (2017). 기초통계학의 이해와 활용(개정증보판). 서울: 도서출판 신정.
  14. 민경석 (2008).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표집규모와 표집오차. 한국교육, 35(1), 171-190.
  15. 박경미 외 43인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BD15120005.
  16. 백지선, 심규호 (2013). 가계금융조사를 활용한 단위무응답 조정효과 분석. 응용통계연구, 26(3), 375-387. https://doi.org/10.5351/KJAS.2013.26.3.375
  17. 신동열 (2012, 11월 23일). 최초의 여론조사 '1824년 미 대통령 선거'. 한국경제. Retrieved from https://www.hankyung.com
  18. 안수엽, 한동협 (2012). 통계학의 이해. 서울: 비즈프레스.
  19. 우정호, 박교식, 이종희, 박경미, 김남희, 임재훈, 권석일, 남진영, 김진환, 강현영, 이형주, 박재희, 전철, 오혜미, 김상철, 설은선, 황수영, 김민경, 최인선, 고현주, 이정연, 최은자, 김기연, 윤혜미, 천화정 (2014). (2009개정)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두산동아.
  20. 윤현진, 김서령, 박선용, 이영하 (2009). 수학과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이산수학', '확률과 통계'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3-3.
  21. 이강섭, 황석근, 김부윤, 심성아, 왕규채, 송규식, 김진석, 김경돈, 주창수, 양인웅, 차주연, 정재훈, 김원일, 조보관, 김원중 (2014). (2009개정)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서울: 미래엔.
  22. 이소영, 변영학, 장우영, 조희정 (2018). 유.뮤선전화 비율 등 바람직한 여론조사 방법에 관한 연구. 2017년도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연구용역 결과보고서.
  23. 이영하 (2014). 인문학으로 풀어 쓴 통계교육 원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4. 이영하, 이은호 (2010). 통계적 추론에서의 표집분포 개념 지도를 위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학교수학, 12(3), 273-299.
  25. 이은희, 김원경 (2015). 국내외 통계교육 연구동향 비교 분석. 학교수학, 54(3), 241-259.
  26.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2020). 선거여론조사기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고시 제2020-1호.
  27. 지영명, 유연주 (2019). 통계적 추리에서 표집 분포와 신뢰구간에 대한 이해 조사: 기초통계학을 이수하지 않은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21(1), 125-153.
  28. 최민정 (2015). 통계적 추정을 가르치기 위한 수학 교사의 수학적 지식(MKT) 분석.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청주.
  29. 최민정, 이종학, 김원경 (2016). 통계적 추정을 가르치기 위한 수학적 지식(MKT)의 분석. 학교수학, 55(3), 317-334.
  30. 탁병주, 구나영, 강현영, 이경화 (2017).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소양: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56(1), 19-39.
  31. 탁병주, 이경화 (2017).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7(2), 269-289.
  32. 한가희, 전영주 (2018). 통계적 추정에 관한 예비 수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의 오개념 비교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3), 247-266.
  33. 한국갤럽 (2019). 요즘 가장 좋아하는 TV프로그램은? -2019년 8월(2019.08.26.).
  34. 한국리서치 (2019). 한국리서치 주간리포트(제41호) 여론 속의 여론: 기획: 대학 및 교육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2019.08.20.).
  35. Bluman, A. G. (2014). 기초통계학(제5판) (강근석, 김대경, 백승규, 변종석, 이승수, 이영섭, 탁충습 역), 서울: 교우사. (원저 2003년 출판)
  36. Delmas, R. C. (2010). 수학적 추론과 통계적 추론. In D. Ben-Zvi & J. Garfield (Eds.).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이경화, 지은정, 고은성, 강현영, 신보이, 이동환, 이은경, 이정연 박민선, 박미미 역), (pp.95-114) 서울: 경문사. (원저 2004년 출판)
  37. Gal, I. (2002).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1-25. https://doi.org/10.1111/j.1751-5823.2002.tb00336.x
  38. Garfield, Delmas, & Chance(2003). The Web-based ARTIST: Assessment Resource Tools for Improving Statistical Thinking. In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39. Sharma, S., Doyle, P., Shandil, V., & Talakia'atu, S. (2011).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with year 9 student. Research Information for Educational Research, 1, 43-60.
  40. Sharma, S. (2017). Definitions and models of statistical literacy: a literature revie, Ope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1), 118-133. https://doi.org/10.1080/23265507.2017.1354313
  41. Watson, J. M. (2013). 학교에서 어떤 통계를 배워야 하지?: 통계적 소양의 성장과 목표 (박영희 역). 서울: 경문사. (원저 2006년 출판)
  42. Watson, J. M. & Callingham, R. (2003). Statistical literacy: A complex hierarchical construct.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2),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