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Microorganisms

검색결과 740건 처리시간 0.024초

토양 미생물로부터 생산된 Extracellular Cholesterol Oxid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Cholesterol Oxidase Produced from Soil Microorganism)

  • 박정수;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507-151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안정하고 활성이 높은 cholesterol oxid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얻기 위해 토양 미생물로부터 균주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에 대하여 세포외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BEN 115로 명명한 균주가 가장 높은 효소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이 균주는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과 배양형태 및 G+C 함량을 분석한 결과 Nocardia속으로 확인되었다. 최적 효소 생산 조건을 조사한 결과 기존 yeast malt extract broth 조성인 0.4% yeast extract, 0.4% glucose, 1% malt extract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본 균주에서 생산된 extracellular cholesterol oxidase는 SDS-PAGE와 Western blot 결과 분자량이 55, 57 kDa인 두 종류의 효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N 115에 대한 효소학적 특성을 연구한 결과 온도 안정성은 $55^{\circ}C$까지 효소 활성이 유지되었고, pH 안정성은 pH $3.5{\sim}9.5$의 범위까지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적 온도와 최적 pH는 각각 35oC와 pH 5.5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etergent(Triton X-100, Triton X-114 그리고 Tween 80) 첨가 시 효소 활성이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약 $1.6{\sim}2.0$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mpesterol, sitosterol 그리고 stigmasterol에 대한 기질 특이성은 cholesterol(100%)과 상대적으로 비교 시 각각 50%, 50% 그리고 27%의 기질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Pasteuria penetrans의 땅콩뿌리혹선층(Meloidogyne arenaria)에 대한 온도와 pH별 부착 및 증식효과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 attachment of Pasteuria penetrans to Meloidogyne arenaria and the mass production)

  • 박동식;;조명래;허장현;임춘근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8-273
    • /
    • 2005
  • 본 연구는 Pasteuria penetrans의 대량 증식조건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온도(10, 30, 50, $70^{\circ}C$) 및 pH(4, 7, 10) 조건에서 처리한 P. penetrans의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에 대한 부착효과와 위 조건에서 부착한 P. penetrans의 증식효과를 알아보았다. 부착 및 증식효과 실험결과 $10{\sim}70^{\circ}C$ 모든 온도 조건에서 96%이상, 모든 pH조건에서 80% 이상 뿌리혹선충에 대한 P. penetrans의 부착율을 보였으며, 상기 모든 온도 및 pH조건에서 부착한 P. penetrans가 토마토 뿌리에서 대량 증식되었으나, 부착 및 증식효과는 온도 및 pH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얻은 P. penetrans의 대량증식조건은 국내시설재배지에 피해를 주고 있는 뿌리혹선충의 생물학적 방제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양송이버섯 재배 후 폐상퇴비의 효과 분석 및 분리 미생물의 특성 (Characteristic of Microorganism and Effect Analysis of Spent Mushroom Compost after Cultivation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 이찬중;윤형식;정종천;전창성;김승환;이순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3-131
    • /
    • 2009
  • 양송이버섯 재배 후 폐상퇴비의 효율적인 재활용과 친환경 자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작물과 식물병원균에 미치는 영향을 미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폐상시기별로 폐상퇴비내 미생물상은 농가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형광성 Pseudomonas속, 내열성 세균, 방선균 등 다양한 미생물이 분포하였고, 특히 버섯에는 병원균으로 작용하지만 식물병원균에는 길항균으로 사용되고 있는 Trichoderma 속이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폐상퇴비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여러가지 채소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농가마다 채취한 폐상퇴비 중에 항균력을 가지는 미생물의 분포는 달랐지만 분리균의 상당수가 검은무늬병(Alternaria brassicicola), 역병(Phytophthora melonis, Phytophthora capsici), 탄저병(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등에는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또한 분리 미생물 중 45.8%가 고추 근권에 정착하는 능력을 보였고, 이들 중 5.8%는 $5{\times}10^2cfu\;root^{-1}$ 이상 정착 능력을 보였다. 미생물처리시 균주의 62.7%가 고추 생장을 촉진시켰고, 뿌리 또한 무처리에 비해 생장이 왕성하였다. 폐상퇴비 추출물의 고추 종자 발아 및 생육정도를 조사한 결과 양송이버섯을 정상적으로 수확하고 폐상한 퇴비는 고추의 발아에 전혀 지장이 없었지만 버섯을 거의 수확하지 못한 폐상퇴비의 경우 고추의 발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고, 포트시험 결과도 버섯을 거의 수확하지 못한 폐상퇴비를 처리한 경우 고추의 발아 및 생육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폐상퇴비를 멸균 및 비멸균 조건으로 실험한 결과 폐상시기에 관계없이 멸균시료에 비해 비멸균 시료에서 고추의 생육이 왕성하였다.

제초제저항성 들잔디(Zoysia japonica Steud.) 이벤트 Jeju Green21의 환경위해성평가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Herbicide-Tolerant zoysiagrass (Event: Jeju Green21))

  • 배태웅;강홍규;송인자;선현진;고석민;송필순;이효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2호
    • /
    • pp.105-116
    • /
    • 2011
  • Transgenic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expressing the bar gene inserted in the plant genome has been generated previously through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 The GM zoysiagrass (event: JG21) permits efficient management of weed control of widely cultivated zoysiagrass fields, reducing the frequency and cost of using various herbicides for weed control. Now we have carried out th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JG21 prior to applying to the governmental regulatory agency for the commercial release of the GM turf grass outside of test plots. The morphological phenotypes, molecular analysis, weediness and gene flow from each test plot of JG21 and wild-type zoysiagrasses have been evaluated by selectively analyzing environmental effects. There were no marked differences in morphological phenotypes between JG21 and wild-type grasses. The JG21 retained its stable integration in the host plant in T1 generation, exhibiting a 3:1 segregation ratio according to the Mendelian genetics. We confirmed the copy number (1) of JG21 by using Southern blot analysis, as the transgenic plants were tolerant to ammonium glufosinate throughout the culture period. From cross-fertilization and gene flow studies, we found a 9% cross-pollination rate at the center of JG21 field and 0% at distances over 3 m from the field. The JG21 and wild-type zoysiagrass plants are not considered "weed" because zoysiagrasses generally are not dominant and do not spread into weedy areas easily. We assessed the horizontal gene transfer (HGT) of the transgene DNA to soil microorganisms from JG21 and wild-type plants. The bar gene was not detected from the total genomic DNA extracted from each rhizosphere soil of GM and non-GM Zoysia grass fields. Through the monitoring of JG21 transgene's unintentional release into the environment, we found no evidence for either pollen mediated gene flow of zoysiagrass or seed dispersal from the test field within a 3 km radius of the natural habitat.

신선 고추의 수확, 선별 및 유통 단계에서의 미생물 모니터링 및 미생물 오염 저감화 방법 모색 (Preven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Through Monitoring of the Harvesting, Sorting, and Distribution Stages of Fresh Hot Pepper)

  • 김솔아;이정은;박현진;이상대;문효영;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0-6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수확 및 유통 단계에서 미생물 오염 수준과 그 발생원인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온도는 냉장 보관 보다 상온 보관일 때 미생물 오염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냉장 보관이 미생물 오염 예방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소형 플라즈마를 이용하였을 때 초기 균 수 대비 5일차에서 일반세균 3.0 log CFU/g 감소, 대장균군, 효모/곰팡이는 불검출로 나타났고 플라즈마 발생장치 없는 경우 5일차에 대장균군이 2.1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어 소형 플라즈마 발생장치가 보관 및 유통과정 중의 미생물의 저감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수확단계에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발생원인 중 하나인 작업자의 장갑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고 현장에서 쉽게 수행 가능한 냉장 유통 방법과 신선 고추의 수확 후 보관 및 유통 중에 소형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한다면 고추의 미생물 오염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추 이외에도 다른 신선농산물의 수확, 선별 단계나 유통단계에 미생물의 오염을 예방 또는 저감화 하는데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길항미생물 Bacillus subtilis GG95를 이용한 상추 균핵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Lettuce Sclerotinia Rot by Bacillus subtilis GG95)

  • 이현주;김진영;이진구;홍순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5-230
    • /
    • 2014
  • 상추재배시 문제가 되고 있는 균핵병과 시들음병에 대한 미생물 방제제 개발을 위하여 병해가 발생된 상추 포장에서 미생물을 분리하고, 길항미생물을 선발하여 균의 특성을 조사하고 균핵병에 대한 예방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도 주요 상추 재배지에서 균핵병은 10월부터 발생하여 다음해 5월까지 발생하였으며, 12월에는 최대 40%까지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었다. 균핵병과 시들음병에 모두 억제효과가 있는 균주를 대치배양을 통해 선발하였다. 선발됨 균주는 Vitek 2의 BCL카드를 이용한 생화학적반응과 형태적 확인, 16s rRNA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고 B. subtilis GG95로 명명하였다. B. subtilis GG95의 배양특성을 조사한 결과 온도 $25{\sim}30^{\circ}C$, 산도 7의 배양조건에서 배양이 잘 되었으며, 배양에 적정한 영양원은 탄소원 전분, 질소원 tryptone과 yeast extract를 무기염류 $MgCl_2$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잘 되었다. 영양원에 따라 균핵병과 시들음병에 대한 길항효과가 좋은 탄소원은 fructose, maltose였고 질소원은 peptone였으며, 무기염류는 균핵병은 $CaCl_2$, $K_2HPO_4$, 시들음병은 $MgSO_47H_2O$로 병원균에 대한 길항효과가 차이가 있었다. 상추 균핵병에 대한 B. subtilis GG95의 포장검정 결과 $1{\times}10^8cfu/mL$ 농도의 길항미생물 배양액을 포기당 10 mL씩 3회 관주하고 균핵병원균을 접종한 후 균핵병의 발병정도를 조사한 결과 88% 방제효과가 나타났다.

대청호 퇴적층의 미생물 분포 밀도 (Microbial Distribution at Sediments of Lake Daechung)

  • 박동진;육연수;박대균;이상화;오희목;김창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83-187
    • /
    • 1998
  • 대청호 퇴적층에 부존하는 미생물들의 분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대전광역시 동구 추동 대전 취수탑(정체수역) 부근과 충청북도 보은군 회남면 어성리 회남교(본류수역) 부근의 두 지점으로부터 0.5~2 cm와 19~21 cm의 두 깊이에서 장마 전(1998년 5월)과 후(1998년 8월)에 각각 퇴적토를 채집하여 세균, 방선균, 진균의 분포 밀도를 측정하였다. 조사된 모든 미생물군들은 정체수역 보다 본류수역에서 평균 3.9배 더 높게 분포하였으며, 또한 각 수역에서 세균은 장마 전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방선균은 장마 후에, 진균은 장마 전에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미생물들의 분포 밀도는 퇴적층의 길이가 깊어짐에 따라 큰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오히려 일부 심층에서는 표층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대청호 인근의 초지 지역과 비교하였을 때, 세균, 방선균, 진균의 분포 밀도는 각각 52.9%, 35%, 7%로 나타났다. 또한 대청호 접경 지점과 비교하였을 때, 세균과 방선균은 각각 1.89배 및 3.63배 더 높았으나 진균은 71.2%의 낮은 분포 수준을 나타내었다.

  • PDF

중금속 및 디젤 오염 토양에서 분리한 중금속 내성 식물 생장 촉진 근권세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Heavy Metal Tolerant and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Isolated from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 and Diesel)

  • 이수연;이윤영;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413-424
    • /
    • 2021
  • 식물과 근권미생물을 이용해 토양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rhizoremediation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식물 생장을 촉진시키는 미생물 자원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 및 유류 복합 오염 토양에서 서식하고 있는 옥수수와 톨페스큐의 근권으로부터 중금속(구리, 카드뮴 및 납) 내성을 가진 근권세균을 순수분리하였고, 식물 생장 촉진능, 중금속 내성능 및 디젤 분해능을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중금속 내성, 식물 생장 촉진 활성 및 디젤 분해능을 가진 6종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옥수수 근권에서 분리한 CuM5와 CdM2 균주는 Cupriavidus sp.로 동정되었다. 톨페스큐 근권에서 분리한 CuT6, CdT2, CdT5 및 PbT3는 각각 Fulvimonas soli, Cupriavidus sp., Novosphingonium sp. 및 Bacillus sp.로 동정되었다. Cupriavidus sp. CuM5와 CdM2는 중금속 내성과 디젤 분해능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식물 생장 촉진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6종 중에서 디젤 분해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는 Cupriavidus sp. CdT2와 Bacillus sp. PbT3이었다. 특히, Bacillus sp. PbT3는 3종의 중금속에 대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내성을 가졌고 식물 생장 촉진능도 우수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한 근권세균은 유류와 중금속 복합 오염 토양을 정화시키며 식물 생장을 촉진시키는 새로운 미생물 자원으로 활용 가능하다.

미생물제(Rhodococcus sp. 3-2) 처리에 따른 토양 중 카벤다짐의 분해효과 (Degradation effect of carbendazim in soil by application with the microbial agent, Rhodococcus sp. 3-2)

  • 연제형;김현수;안재형;한귀환;오영곤;조일규;박인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2-329
    • /
    • 2021
  • BACKGROUND: The fungicide of benomyl, a benzimidazole group, has been commonly used for pesticides against fungal diseases in the world. However, benomyl is rapidly hydrolyzed in the environment after using to control plant diseases and has adverse effects by generating carbendazim, which is toxic to plants, humans, and the environment.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the decomposition effect of carbendazim, a degradation product of benomyl was conducted in pot and field after making a prototype of benomyl-degrading microbial agent (BDMA). We found that the carbendazim-degrading microbial agent (CDMA) (105, 106, and 107 cfu/g soil) decomposed carbendazim by 50% or more in all the treatments,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in the pot tests after four weeks. The effect of 100% decomposition of carbendazim was observed at 7 days after treatment, when the prototype of BDMA was apllied at 10-folds dilution in the field. The decomposition effect at more than 60% and plant growth promoting effect were observed after 7 days of the treatment, compared with the untreated group in the second field experiment,treat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concentrations of 500-folds and 1,000-folds. CONCLUSION(S): These results might represent that the BDMA would decompose carbendazim effectively, a decomposition product of the fungicide benomyl, remaining in agricultural area, and it could be utilized practically by using a low dilution rate.

유류오염지역 부지 내 TPH 수직 농도 분포에 따른 미생물 생태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Microbial Community Responding to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PH Concentrations in the Petroleum-Contaminated Site)

  • 송수민;문희선;한지연;신제현;정승호;정찬덕;조성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7권spc호
    • /
    • pp.51-63
    • /
    • 2022
  • In this study, the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 contamination and microbi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petroleum-contaminated sit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correlation among the vertical TPH contamination distribution of the sit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 indigenous microbial ecology. The high TPH concentration showed in the vicinity of 3~4 m or less which is thought to be affected by vertical movement due to the impervious clay layer. In addition, the TPH concentr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e2+, TOC concentration, and the number of petroleum-degrading bacteria,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microbial community diversity. The microbi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PH showed that Proteobacteria and Firmicutes at the phylum level were dominant in this study area as a whole, and they competed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microbial community was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vertical TPH contamination. In addition, the genera Acidovorax, Leptolinea, Rugoshibacter, and Smithella appeared dominant in the samples in which TPH was detected,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icroorganisms involved in the degradation of TPH in this study area.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and biogeo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these TPH-contaminated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