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LS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3초

소셜네트워크 특성이 스트레스 요인과 SNS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Fatigue and SNS Stresses based on the Smart Phone)

  • 노미진;장성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4호
    • /
    • pp.163-17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s between SNS fatigue and stress of smartphone SNS, with SNS characteristics. The study focuses on two types of SNS characteristics: information and systems characteristics. We examine SNS stress factors that includes the communication and system overload.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the study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mart PLS 3.0. The study conducted A sample of 286 participants was collected from SNS users. Finding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formation relevance in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had an effect on the communication overload, but it had not an effect on the system overload. The information accuracy had an effect on the communication and system overload. The app pace of change influenced the communication and system overload, but the app complexity influenced the system overload. Finally, the SNS stres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NS fatigue. The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this results.

공급사슬관계에서 주도권이 정보품질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argaining Power on the Information Quality and Performance in the SCM relationship)

  • 최유정;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9-19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공급사슬관계에 있는 업체들간에 발생하는 협상력과 영향력, 즉 기업의 주도권이 파트너 기업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품질과 공급사슬관리의 대표적인 성과로 제시되는 유연성과 민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공급업체와 고객기업과의 입장에 따른 차이도 고려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해 SCM을 도입한 140개의 기업으로부터 유효한 설문이 회수되었으며, 분석을 위해서는 SPSS와 SmartPLS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고객기업이 주도권을 가졌을 때, 정보품질 및 공급사슬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인인증서 저장매체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스마트인증(USIM)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witching Intention of Public Certificate Storage : Focused on Smart Certificate(USIM))

  • 김광회;서형호;유훈;최정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9-118
    • /
    • 2017
  • Growing importance of online security on certification, many of the web-related security technology introduced day by day. Especially, using smart certificate (USIM)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safe and convenient method for the security of public certific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switching to smart certificate for the general public who use public certificate service. Based on migration theory, this study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ll factors, push factors and mooring factors which can affect the intention of switching to smart certificate. To empirically analyze the proposed hypothesis,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ponse from 350 public certificate service users using SPSS 22.0 and Smart PLS 2.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ystem quality, one of the pull factors has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On the other hand, the other pull factor, service quality has positive influence on bot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Second, push factors, user experience and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have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only. Third, mooring factor, switching cost does not have influence on switching intention while perceived usefulness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whom has interest to the switching intention of public certificate service for online security and provide the proper understanding about smart certificate service mechanism.

창업기업의 품질경영시스템 프로세스 실행이 차별화 경쟁우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 규모의 조절효과 (Impact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process implementation on differentiated competitive advantage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company size)

  • 정헌배;이현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225-23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기업의 품질경영시스템 실행이 차별화 경쟁우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품질경영시스템 실행과 차별화 경쟁우위의 관계에서 기업 규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259부를 SmartPLS 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리더십, 기획, 지원, 운영, 성과평가, 개선은 차별화 경쟁우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직의 상황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차별화 경쟁우위는 재무적 및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 규모는 리더십, 지원, 운영, 개선과 차별화 경쟁우위의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품질경영시스템이 창업기업의 품질을 개선하여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품질경영시스템을 실행할 때 조직의 상황과 기업 규모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사용자 및 프로젝트 관리 위험 감소가 공공부문 IT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사용자 지식의 조절효과 (Impacts of Low User and Project Management Risk on IT Project of Public Sector: The Moderating Effect of User Knowledge)

  • 이수인;김상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187-196
    • /
    • 2020
  • IT 프로젝트 성과를 위한 두 가지(위험 기반, 지식 기반) 주요 관점을 통합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민간부문보다 상대적으로 제약이 많은 공공부문 IT프로젝트가 성과를 확대하기 위해 관리할 요인으로 사용자 지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성과에 미치는 2가지 유형의 위험(사용자 관련 위험과 프로젝트 관리 위험) 요인을 실증분석하였으며, 사용자 지식을 조절효과로 검증하였다. 공공기관 IT 프로젝트 참여 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132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Smart PLS 3.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낮은 사용자 관련 위험과 낮은 프로젝트 관리 위험은 IT 프로젝트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 지식은 사용자 관련 위험과 낮은 프로젝트 관리 위험이 IT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통합적 연구결과의 반복적인 검증이자, 공공부문 IT 프로젝트에서 갖는 사용자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기업 주도권이 파트너십과 SCM 특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Bargaining Power on Partnership, Information Quality, and SCM Features)

  • 장활식;최유정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171-189
    • /
    • 2015
  • 공급사슬상의 기업은 두 유형이 존재한다. 그 중 한 유형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도권을 가지며, 리더기업이라고 불리는 기업이며, 다른 한 유형은 리더의 결정을 따르는 팔로워기업이다. 이러한 관계구조는 파트너십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주도권과 파트너십, 정보품질, SCM 특징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급사슬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에는 총 116부의 설문이 이용되었다. 모형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SPSS 23과 smartPLS 3.2.3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기업의 협상력은 기업의 영향력, 파트너십, 그리고 정보품질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영향력은 파트너십과 정보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파트너십은 정보품질과 SCM의 특징인 공급사슬 유연성, 공급사슬 민첩성, 공급사슬 불확실성 모두에 영향을 미쳤으며, 넷째, 정보품질은 공급사슬 유연성과 민첩성에는 영향을 미쳤다.

  • PDF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 이정길;이광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217-22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적절한 가설을 만들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내용들을 검증하였다. SAS 9.1과 Smart PLS 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기업, 중소기업, 공기업 등 30여개 기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직무자율성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변수들(변혁적 리더십, 직무자율성)을 이해함으로써 조직구성원을 관리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실증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디지털증거분석관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Study on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Digital evidence analyst : Focus o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김규림;곽나연;이중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1-10
    • /
    • 2018
  • 디지털 기술 발달에 따라 디지털 범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포렌식 분야 역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포렌식 업무를 담당하는 디지털증거분석관의 중요성과 업무 비중이 높아지고 있지만, 기존 디지털 포렌식 관련 연구는 기술적 측면에 편향되어 있으며, 수행 인력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증거분석관의 이직 의도 실증을 위해 기존 이직 의도 관련 연구에 다수 활용된 직무스트레스 등의 요인을 적용하여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최종 124명 디지털증거분석관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Smart PLS 3.0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증거분석관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 결과로 디지털증거분석관의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 의도 개선에 유효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린공급망관리(GSCM)도입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실행요인이 환경성과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GSCM Practice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안현숙;노미진;장성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86-96
    • /
    • 2015
  • 논문은 그린공급망관리(GSCM: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도입기업의 환경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조직성과와의 관련성에 관한 실증 분석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모형의 분석은 GSCM을 도입한 92개 표본기업을 대상으로 Smart PLS 2.0과 SPSS 18.0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환경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사회적 책임은 환경관련 부문에 대한 법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들의 환경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GSCM실행요인인 내부환경경영 및 시장환경은 환경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성과가 높은 기업들은 조직성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GSCM을 도입 하려는 기업들에게도 환경성과 및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특성이 정보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 on Information Capabilities)

  • 박광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389-40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역량으로 측정된 SCM 정보성과에 정보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는 정보품질, 운영적 정보공유, 전략적 정보공유, 정보역량이다. 본 연구모형은 SPSS 21과 SMART-PLS 2.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정보품질과 운영적 정보공유, 전략적 정보공유, 정보역량간의 영향관계를 밝혀내었다. 또한, 기대한 바와 같이 정보공유는 정보역량으로 측정된, SCM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정보특성과 SCM 정보성과간의 존재하는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는 향후 SCM의 성공적인 실행을 원하는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에게 견실한 관리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