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learning motivation

검색결과 463건 처리시간 0.02초

공학계열 대학생의 물리학습동기 측정 (Measurement of Motivation to Learn Physics i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문공주;황요한;하민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74-83
    • /
    • 2020
  • 본 연구는 공학대학 학생들의 물리학에 대한 자발적인 학습이 이뤄지지 않는 이유를 탐색하기 위해 물리학습동기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lynn 등이 개발한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I(SMQ II)을 물리학습 상황으로 수정한 Physics Motivation Questionnaire(PMQ)을 이용하여 서울에 위치하는 C대학의 공학계열 1학년 학생 374명을 대상으로 물리학습동기를 측정하였다. PMQ는 intrinsic motivation, career motivation,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grade motivation의 5요인으로 구성되며 총 25개 리커트 척도문항의 검사도구이다. PMQ는 탐색적요인분석(EFA)를 통해 5가지 요인이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물리학습동기를 측정하는데 있어 구조적으로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라쉬(Rasch)모델 분석을 활용하여 문항적합도(MNSQ)를 확인하였다. 측정결과, 물리학습동기의 요인 중에서는 성적동기가 평균 4.1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직업동기가 평균 3.75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재동기는 평균 3.42, 자기효능감은 평균 3.38, 자기결정력는 평균 3.32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공학대학 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는, 점수 및 직업과 관련된 외적 동기가 높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학계열 학생들 물리학습에 대한 숙달목표지향을 가지고 내적 동기를 높일 수 이도록 하는 교수-학습 전략의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과정 중심 평가가 반영된 백워드 설계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Backward Design Reflecting Process-Focused Assessment on Science Learning Achievement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손준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0-106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과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가 반영된 백워드 설계가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과정 중심 평가와 학습자의 온전한 이해를 추구하는 백워드 설계는 과학 학습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을 중심으로 과정 중심평가가 반영된 백워드 설계를 실시하였고, 성취기준도달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과정 중심 평가를 반영하였다. 둘째, 실험집단 학생들은 과학학업 성취도 검사와 과학학습 동기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과학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과정 중심 평가가 백워드 설계와 연계되어 학교 현장에서 의미 있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비형식 과학교육환경에서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about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 김홍정;임성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1호
    • /
    • pp.125-134
    • /
    • 2012
  • Interest has been studied as one of the construct to understand and improve learning in science. While informal science education is getting increasing attention as science education has been extended from formal school science to informal science learning including after-school program or science museum activity, however, little has been studied in comparing to the needs.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students' interest about learning science in the context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For this the survey tool in the article of Im and Pak (2000) was utilized through modification, and 155 elementary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and basic statistics.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interest about learning science in the context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has multi dimensions like subject, motivation, and activity dimension.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interest decreased as their grade is higher, and that the interest of intrinsic motivation, empirical activity, and descriptive subject were relatively high while the interest of extrinsic motivation, cognitive activity, and specific subjects were low. From this study the authors could infer the necessity of instructional strategy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interest for more effective science learning in informal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자 특성과의 관련성 분석 (An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Science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주연;백성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67-17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sixth grade students' opistemological beliefs in science and the relationship to learner's characteristic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logical thinking. The subjects were 265 sixth graders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two types of questionnaires, translated and modified by researchers: opistemological beliefs regard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believed that the goals of science were related to activations such as 'Science is experiment', or 'Science is invention: These beliefs were connected with the emphasis of science classes or the focus of the science curriculum. However, the students' beliefs related to the changeability of science knowledge, the source of science knowledge, and the role of experiments in developing knowledge were oriented to modern opistemological views. Moreover, the beliefs were meaningfully related to students' characteristic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logical thinking. Among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logical thinking was especially related to all of the factors of students' beliefs: the changeability of science knowledge, the source of science knowledge, and the role of experiments in developing knowledge. However, the students who believed that scientific knowledge came from scientists, science teachers, or science textbooks had high levels of self-efficacy. Therefore, the belief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formed by self-discovery, in order to generate high self-efficacy, needs to be encouraged. From the result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orientation of current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students' opistemological beliefs. In addition, the resources can be accumulated for persevering in our efforts to achieve a positive orientation for science education.

  • PDF

표준화환자 활용 정신간호학 융합시뮬레이션 실습에 대한 간호학생의 학습만족도가 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on Motivation to Transfer in the Practicum of Psychiatric Nursing Convergence Simul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learning)

  • 오현주;김미자;박경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75-383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실무에 접하기 전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융합 시뮬레이션 실습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습 만족도와 전이동기와의 관계에서 학습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144명의 3학년 간호학생이었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을 하였고, Baron & Kenny의 다중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만족도와 학습자기효능감(r=.686, p<.001), 학습만족도와 전이 동기(r=.633, p<.001), 학습자기효능감과 전이동기(r=.804, p<.001)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습자기효능감은 학습만족도와 전이동기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Z=7.63, p<.001). 교육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실무에 적용하고자 하는 전이동기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학습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동기, 학업성취도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 3학년 '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cience Clas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on the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Process Skill of Elementary Student - Focused on 'Stratum and Fossil' Unit in 3rd Grade -)

  • 김진현;이형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1호
    • /
    • pp.31-42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 clas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process skill of elementary student.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98, 4 classes of $3^{rd}$ graders in G elementary school in B city. The experimental group, 2 classes including 49 participants, had science classe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while the comparative group, 2 classes including 49 participants, took ordinary teacher-driven lessons using teacher's guidebook. Pre and post tes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executing lessons to assess the changing in each group'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process skil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Second, the post test results of the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average valu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Third,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of basic science process skill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average valu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especially in inference and prediction elements.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이 과학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Using Robot in Elementary School)

  • 박정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39-149
    • /
    • 2014
  • 새로운 교육기술도구인 교육용 로봇은 K-12 교육에서 많은 인기를 얻어가고 있다. 특히 로봇은 STEM 관련 교과의 학업성취와 학업능력에도 효과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수행된 대부분의 로봇활용 연구는 정규교육과정 밖에서 실시되어왔다. 본 연구는 한국의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로봇활용이 과학교과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은 4, 5학년 121명이었으며 실험집단은 로봇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전통적방식의 과학수업을 실시하였다. 집단별 사전 사후 학습동기를 비교하기 위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학생은 추가적으로 인터뷰가 병행되었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습동기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p<.05), 로봇활용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정규교육과정에 로봇을 활용하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평소 학습과 시험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인지 전략과 메타인지 전략의 사용 (The Use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Learning and Testing Situations)

  • 노태희;장신호;임희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7-33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평소 학습과 시험 상황에서의 인지 전략 및 메타인지 전략 사용을 성취 수준, 동기 수준 및 성에 따라 비교하고, 이들 전략과 학업 성취도, 동기와의 관계를 분석한 후 학업 성취도에 대해 설명력이 큰 학습 전략을 조사하였다. 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은 평소 학습에서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을 하위 집단에 비하여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시험 상황에서는 인지 전략의 사용을 하위 집단보다 더 많이 하였다. 학습 동기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평소 및 시험 상황에서 인지 전략과 메타인지 전략을 하위 수준의 학생들보다 더 많이 사용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평소 학습에서 전략 사용을 활발히 하는 반면 시험 상황에서는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 사용에서 성차가 없었다. 학업 성취도 및 동기와 이들 학습 전략들과의 상관은 모두 유의미하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평소 학습에서 사용하는 인지 전략이 학업 성취도에 대한 가장 큰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Influence of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Food and Beverage Practice Class using the SCAMPER Method on Learning Motivation: Subject to Specialized High Schools

  • Jeong, Sangmin;Moon, Jinuk;Ha, Heon Su;Jung, Jihye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31
    • /
    • 2016
  • In this study, the SCAMPER method which is a creative thinking method is applied in the food and beverage class of a specialized high school NCS study module to enhance creative thinking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For verification, 10 sessions of 50 minutes classes were performed on 1, 2 grade students in H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Yangju City from August to November 2015 subject to 54 subject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54 subject in the control group.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the NCS food and beverage practice class using the SCAMPER method on learning motivation, pre post surve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for measurements through surveys to deduct conclusions.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NCS food and beverage practice class using the SCAMPER method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positive change was also found in the awareness of SCAMPER method using classes and creative activities in the student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he NCS food and beverage practice class using the SCAMPER method on learning motivation subject to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s investigated to have meaning as data to expand the research range of NCS food and beverage practice education.

학생 중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udent-Centered Storytelling o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강부미;전경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657-66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학생들의 스토리텔링을 적용해보고, 과학 학습 동기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보았다. 연구 대상은 4학년 22명(남 10, 여 12)이었고, 주제는 열전달과 우리 생활 단원의 11차시 분량이었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학습한 과학 내용을 적용하여 이야기를 잘 완성하기도 하였으나, 이야기를 쓰거나 발표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도 있었다. 대응 표본 t-검정 결과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업이 이전의 과학 수업에 비해 주의, 자신감, 만족감 등의 과학 학습 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과학적 태도가 향상되었다. 후속 연구로는 다양한 이야기 자료나 스토리텔링 전략의 개발이 요구되고, 그 효과에 대한 연구도 다각도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