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cience Clas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on the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Process Skill of Elementary Student - Focused on 'Stratum and Fossil' Unit in 3rd Grade -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습동기, 학업성취도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 3학년 '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6.12.26
  • Accepted : 2017.02.22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 clas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process skill of elementary student.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98, 4 classes of $3^{rd}$ graders in G elementary school in B city. The experimental group, 2 classes including 49 participants, had science classe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while the comparative group, 2 classes including 49 participants, took ordinary teacher-driven lessons using teacher's guidebook. Pre and post tes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executing lessons to assess the changing in each group'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process skil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Second, the post test results of the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average valu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Third,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of basic science process skill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average valu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especially in inference and prediction elem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신화(2004).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과학수업이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경향신문(2016). '국제학업성취도(PISA) 2015 한국 상위권... 순위와 점수는 하락'.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에서 발췌.
  3. 곽영진, 홍영식(201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초등과학 교수.학습 방안의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23(2), 35-49.
  4. 교육과학기술부(2015).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과학 교사용 지도서.
  5. 교육부 (2016).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15). 교육부 보도자료(2016. 12. 6.), 11-12.
  6. 권재술, 김준태(1992). 과학 개념 학습지속 효과의 유형과 그 특성 분석. 과학교육논문집, 2(1), 138-148.
  7. 김민식(2009).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명희, 김영자, 김향자, 신화식, 윤옥균, 이현옥, 정태희, 황윤한(2009).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의 실제. 서울: 학지사.
  9. 김주영, 최영재(200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과학수업 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13(2), 189-211.
  10. 송두정(2005). 다중지능증진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도 효과.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신정인(2012).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시은, 최선영(2013). 초등과학 수업에서 다중지능 요소별 관찰전략을 활용한 관찰학습이 학생의 관찰능력,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37(1), 1-10.
  13. 이신호, 조영남(2002). 다중지능이론 기반 수업활동이 초등 사회과 학업성취와 과제수행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22(2), 203-221.
  14. 이영아, 임채성(2002). 초등학교 과학과 심화학습에서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흥미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0(2), 239-254.
  15. 임채성(2004). 초등 과학 교수학습에서 다중지능의 활용 유형에 관한 연구: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 29, 31-49.
  16. 임채성, 왕경순, 권영민, 하경태, 김대현, 김병철(2006).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 교수.학습. 서울: 원미사.
  17. 정정애(1996). 국민학교 저학년 과학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도구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정태희(2004).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미국 학교 교육 사례. 다중지능교육연구, 1(1), 185-202.
  19. 최서미(2008). 다중지능 교수전력을 적용한 초등과학수업이 자기 효능감과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최윤정(2006). 다중지능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개념 형성과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최정민(2001). 초등학생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PISA 2015 결과발표 별첨자료(2016. 12). 13-14.
  23. 홍순원, 이용섭(2010). 다중지능을 활용한 학습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3(1), 76-85.
  24. Armstrong, T.(2007). 다중지능과 교육. 전윤식과 강영심역. 서울: 중앙적성출판.
  25. Gardner, H.(1983). Frame of minds. 이경희 역(1993), 마음의 틀, 서울: 문음사.

Cited by

  1.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효과 vol.56, pp.3, 2017, https://doi.org/10.6115/fer.2018.021
  2.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다중지능 활용 활동과제 분석 -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따른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vol.30, pp.3, 2017, https://doi.org/10.19031/jkheea.2018.09.3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