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s Curriculum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19초

공공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LIS Students about Public Library's Subject Special Services and Subject Special Librarian)

  • 노영희;오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5-25
    • /
    • 2018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의 인식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연구이다. 전국의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지 수준, 필요성 인식 수준, 주제전문사서의 역량과 현재 학생들의 역량, 주제전문사서의 자격제도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수준, 주제전문사서로 일하고자 하는 의사, 주제전문사서 역량을 구비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인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전문사서의 역량은 학사제도와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을 통해서 구비하고 있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응답자 비율도 높았다.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화 필요성이 있다고 하였고, 주제전문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주제전문성이 가장 중요한데, 현재 학생들은 스스로 주제전문성 부분이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들의 현재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유능한 주제전문사서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방안 개발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초등학교 어린이 독서 증진 방안 연구 - 어린이도서를 학교 읽기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mo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Reading: Focusing on Utilizing Children's Books in Reading Lessons)

  • 김영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1-98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독서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고, 그 방안의 하나로 어린이도서를 국어과 읽기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 방안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학교 1, 2학년 1, 2학기 총 네 권의 국어과 읽기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고, 두 개의 초등학교에서 1, 2, 3학년 읽기 수업을 참관하여 수업의 내용과 진행 방법을 조사하였다. 또한 영국과 미국 초등학교의 읽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조사하였다. 어린이도서를 초등학교 읽기 수업에 활용하는 방안은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국어과의 궁극적인 목표에 잘 부합하고. 현재의 교과서 중심의 읽기 교육방법보다 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고, 영국에서도 이 방법을 무난히 잘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 방법을 통한 읽기 교육은 복잡하지 않아 실제 적용가능성이 높다.

교과 연계를 위한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와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of Reading Strategy Contents for a Subject Linkage and it's Application to the Content Subject)

  • 소병문;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81-303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 전략 범주를 밝혀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를 구안하고, 교과 연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및 독서 전략 관련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 범주를 텍스트 영역과 인지 전략으로 설정하였다. 여기에 관련 선행 연구의 활동지를 참고해 재구조화한 4개 유형의 독해 기법을 더하여 최종적으로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를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교과 연계는 교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이뤄지며, 학습활동은 탐구 과제 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독서전략 적용 방안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의 학습활동을 대상으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독해 전략을 적용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를 활용한 교과 연계 방안은 교과 학습활동에 다양한 읽을 자료 제공을 통해 교과 수업을 심화하고, 독립된 독서 프로그램으로 확장해 학습내용을 익힐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하였다.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의 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s of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by Korean Teacher-Librarians)

  • 정진수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3-171
    • /
    • 2014
  • 본 연구는 사서교사 배치가 매우 미흡한 현실 속에서 사서교사 교수활동에 대한 이해가 절실하다는 판단아래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을 정의하고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연구자와 서울지역 고등학교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Kuhlthau의 사서교사 교수활동 단계 모형을 적용하여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의 수준을 진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은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도서관이용교육이 가장 많이 시행되어 낮은 수준의 교수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학교도서관 관련 이론과 연구자들이 강조하는 바와 같이 교과연계 및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높은 수준의 교수활동으로 진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학교도서관 발전을 위해 향후 사서교사 교수활동이 진화해야 한다는 것이 제안되었으며 이를 위해 정보활용교육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의 포함 등 적절한 제도와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함이 강조되었다.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정보활용교육 연구주제 분석 및 교육내용 제안 (A Study of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Using Topic Modeling)

  • 윤지혜;정유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21
    • /
    • 2022
  •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 분야의 연구주제들을 파악하여 정보활용교육에 제안할 수 있는 요소들이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선, 정보활용교육과 관련된 문헌정보학 분야의 논문 97편을 대상으로 토픽모델링을 적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활용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정보원 이용 및 판단' 등의 주요 주제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Big 6 정보모형, 교육방법과 관련해서는 미국 사서교사협회의 정보활용 능력기준과 미국 대학 및 연구도서관협회의 정보활용교육 개발지침을 고려하여 정보활용교육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 전반의 연구주제와 연관된 교육 요소들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보원 이용 및 판단', '정보윤리'와 관련된 교육내용을 보다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필수실무실습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 평가 (Evaluation of Pharmacy Students' Perception on Clinical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in the Tertiary and Secondary Hospital settings)

  • 천부순;신혜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0-39
    • /
    • 2018
  • Background: Clinical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CPPE) is an important curriculum that offers students patient-centered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with evidence-based optimal pharmacotherapy for better clinical outcomes. However,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perception of pharmacy students regarding CPPE in tertiary and secondary hospital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erception of pharmacy students regarding the learning program of CPPE. Methods: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15 self-administered questions regarding pharmacy practices, barriers, and improvement of practical training. Fourteen institutional pharmacies located in seven regions responded to a survey questionnaire from March 1 to June 30, 2017. The participants were pharmacy students doing clerkship in a hospital setting.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73.6%. Thirty-five participants (22.4%) had used a hospital library, but 121 (77.6%) had never used the library for drug information resources. Eighty-one (50.0%) responded that clinical knowledge and drug information was the most beneficial practice. Thirty-seven (31.1%) respondents in the tertiary hospitals and 19 (46.3%) in the secondary hospitals answered that they were filling prescriptions during the daily break. On the other hand, 72 respondents (60.5%) in the tertiary hospitals and 17 (41.5%) in the secondary hospitals did literature research to prepare for presentation. Conclusion: More students in secondary hospitals continue to fill prescriptions during the daily break, as compared to those in tertiary hospitals. Therefore, the authors suggest self-directed learning to improve clinical performance and each institution considers offering onsite or online library service to improve evidence-based CPPE for pharmacy school students.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인터넷 기반 교육용 컨텐츠 개발 및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Internet-Based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Teacher Librarian's Competency)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55-373
    • /
    • 2009
  • 최근 학교도서관에서는 도서관협력수업을 통해서 교과학습과 동시에 정보활용능력을 신장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즉, 수업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사서교사 양성 체제는 제도적으로 미흡하고, 커리큘럼 편성에 있어서 사서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반의 사서교사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컨텐츠를 개발하고, 컨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 기반의 사서교사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컨텐츠는 강의 전용 저작도구인 LectureMAKER v2.0으로 제작하였으며, 5점 척도의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필 검사지로 사전 사후 분석을 실시하여 개발한 컨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레빈의 등분산 검증과 대응표본 t-검정 기법을 적용하였다.

  • PDF

정보활용교육 주요 토픽과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Librarian Teacher Evaluation Index in Teachers'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 이민수;김혜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455-477
    • /
    • 2022
  •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의 주요 토픽과 사서교사 역량 강화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사서교사가 적절한 요소를 통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22년 5월까지 문헌정보학 분야 4대 학술지에서 출판된 정보활용교육 관련 논문들을 수집하여 LDA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토픽모델링 결과 20개의 토픽 중 정보활용교육(T10)이 12.0%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서관 활용수업(T2) 10.4%, 이용자 서비스(T3) 8.8%가 그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서토론(T7) 3.3%, 독서교육(T19) 2.9%, 인력 관리(T13) 2.1%, 사서교사 직무 만족도(T17) 2.1% 등은 정보활용교육 토픽모델링에서 저조한 토픽들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의 수업모형개발(T1)과 교육과정 개발(T20)은 사서교사가 협업수업과 정보활용교육을 진행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현행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에는 고유한 평가지표로 반영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교육 및 수업 지원' 요소에 '수업모형 및 교육과정 개발'을 추가 평가지표로 제안하였다.

정보활용능력 교수효과 평가 및 교과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and the Development Ofits Design Principle)

  • 김성원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23-40
    • /
    • 2010
  • 급변하는 정보사회를 살고 있는 개인들의 독립적인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의 필요성 대두에 따라 평생학습을 가능케 하는 주요한 자질로서 정보활용능력(information literacy)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다. 몇몇 국가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정보활용능력 기준을 제정하고 교과과정에 정보활용능력의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보활용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정규 교과과정의 개설도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고에서는 정보활용능력 관련 교과 수강생들의 자기효능감(self-efficiency)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관련 교과의 교수효과를 확인하고, 교과설계 시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교과과정이 수강생들의 정보활용능력 증진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기효능감 평가를 기반으로 교과과정 설계 시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미디어 활용 중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Media in Middle School)

  • 이연희
    • 트랜스-
    • /
    • 제12권
    • /
    • pp.141-171
    • /
    • 2022
  • 본 연구는 세상의 이슈를 담고 있는 미디어를 인성교육의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자연스럽게 인성을 함양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인성교육진흥법과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시하는 인성 덕목을 교육 요소로 선정하고, 중학교 교육과정과 접목하여 미디어를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인성 덕목을 추출하고자 인성교육진흥법과 한국교육개발원의 인성 덕목을 비교·종합하여 최종적으로 13가지의 인성 덕목을 교육 요소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인성 덕목은 자아 존중, 용기, 성실, 자기조절, 지혜, 배려, 소통, 예의, 사회적 책임, 협동, 시민성, 정의, 인권 존중이다. 둘째, 미디어 선정과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미디어 자료의 반복 검색을 통해 자료 수집 절차를 확정하였으며, 전 교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며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인성교육 자료는 6단계의 자료 수집 절차를 거치며, 1차 검색, 키워드 추출, 2차 검색, 미디어 선별, 적합성 검토, 수업 적용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미디어 선별을 위해 이해의 용이성, 학생의 정서발달 적합성, 목표 달성 유용성, 유해환경 노출 정도, 최신성, 분량의 적절성 등을 판단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은 민주시민의 자질인 인성 영역으로 자기관리, 사회성, 시민의식 영역으로 나누어 계획하고, 각 소주제별 수업 도달 목표를 설정하였다. 셋째, 미디어 활용 인성교육 프로그램과 적용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전 교과 해설서를 참고하여 인성 접목 단원을 선정하였다. 이후 교육 내용, 여건 사항 등을 정하였고, 미디어 활용 인성 수업의 과정으로 생각 열기, 생각 넓히기, 생각 펼치기, 평가의 순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안은 인성 가치에 적합한 연계 교과와 단원을 설정하고 그에 맞는 표현활동을 구성하여 학생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도록 하였다. 끝으로 미디어 활용 인성 수업의 주제와 수업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TV 뉴스, 신문 기사, 공익광고, 유튜브 영상, 사진, 광고 등을 포함하여 수업에 활용할 미디어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활용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확산을 위해 학교 현장의 다양한 문제에 초점을 맞춘 예방적 인성교육 프로그램, 자발적인 학생 참여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인성교육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의 필요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