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Media in Middle School

미디어 활용 중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Lee, Yeonhee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연희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21.12.23
  • Accepted : 2022.01.25
  • Published : 2022.01.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media and cultivate personality by using media as data for personality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and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personality virtues were selected as educational elements, and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media was developed in combination with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For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extract personality virtues, 13 personality virtues were finally selected as educational elements by comparing and synthesizing the personality virtue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and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he final personality virtues selected are self-esteem, courage, sincerity, self-regulation, wisdom, consideration, communication, courtesy, social responsibility, cooperation, citizenship, justice,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Second, in order to select media and se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the process of collecting media data was confirmed, and the direction and goal of the program were set by analyzing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ird, in order to propose a method of applying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media, the personality grafting unit was selected by referring to the commentary on all subjec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본 연구는 세상의 이슈를 담고 있는 미디어를 인성교육의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자연스럽게 인성을 함양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인성교육진흥법과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시하는 인성 덕목을 교육 요소로 선정하고, 중학교 교육과정과 접목하여 미디어를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인성 덕목을 추출하고자 인성교육진흥법과 한국교육개발원의 인성 덕목을 비교·종합하여 최종적으로 13가지의 인성 덕목을 교육 요소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인성 덕목은 자아 존중, 용기, 성실, 자기조절, 지혜, 배려, 소통, 예의, 사회적 책임, 협동, 시민성, 정의, 인권 존중이다. 둘째, 미디어 선정과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미디어 자료의 반복 검색을 통해 자료 수집 절차를 확정하였으며, 전 교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며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였다. 인성교육 자료는 6단계의 자료 수집 절차를 거치며, 1차 검색, 키워드 추출, 2차 검색, 미디어 선별, 적합성 검토, 수업 적용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미디어 선별을 위해 이해의 용이성, 학생의 정서발달 적합성, 목표 달성 유용성, 유해환경 노출 정도, 최신성, 분량의 적절성 등을 판단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은 민주시민의 자질인 인성 영역으로 자기관리, 사회성, 시민의식 영역으로 나누어 계획하고, 각 소주제별 수업 도달 목표를 설정하였다. 셋째, 미디어 활용 인성교육 프로그램과 적용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전 교과 해설서를 참고하여 인성 접목 단원을 선정하였다. 이후 교육 내용, 여건 사항 등을 정하였고, 미디어 활용 인성 수업의 과정으로 생각 열기, 생각 넓히기, 생각 펼치기, 평가의 순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안은 인성 가치에 적합한 연계 교과와 단원을 설정하고 그에 맞는 표현활동을 구성하여 학생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도록 하였다. 끝으로 미디어 활용 인성 수업의 주제와 수업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TV 뉴스, 신문 기사, 공익광고, 유튜브 영상, 사진, 광고 등을 포함하여 수업에 활용할 미디어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활용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확산을 위해 학교 현장의 다양한 문제에 초점을 맞춘 예방적 인성교육 프로그램, 자발적인 학생 참여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인성교육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의 필요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제1차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2016~2020)」, 2016.
  2. 교육부, 「제2차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2021-2025)」, 2020.
  3. 교육부. 「2020년 학교폭력 실태 전수조사 결과 발표」, 2020.
  4. 오미영, 정인숙, 「커뮤니케이션 핵심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5. 정창우, 「인성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15.
  6. 푸른나무재단, 「학교폭력.사이버 폭력 실태조사」. 2021.
  7. 현주 외, 「KEDI 인성검사 실시요강」,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료 CRM 2014-111, 2014.
  8. 고인자, 「생각키우기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 프로그램의 구안.적용을 통한 민주시민의식 함양 방안 : 창의적체험활동」, 「한국교총」, 2013.
  9. 김상미, 권영숙,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 및 평가 : 중학교 기술.가정 '옷 재활용하기'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10. 김서현, 진미정, 「비판적 다문화 교육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자료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12.
  11. 김용호 외,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참여의 차별적 효과에 관한 연구: 아동의 성격유형과 교육 프로그램」, 「한국언론학회」, 2012.
  12. 김지영, 「중학교 자유학기제 적용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교육 콘텐츠 개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15.
  13. 나경애, 이상식, 「청소년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내용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2010.
  14. 손주영, 유세종, 「인성교육 실현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및 학습자료개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13.
  15. 엄상현, 「초등학교 인성교육 실태 분석-근거이론 연구 방법에 기초하여」, 「한국교육」, 41(4), 79-101. 2014. https://doi.org/10.22804/JKE.2014.41.4.004
  16. 오인수. 2015. 「인격을 파괴하는 무서운 사이버 폭력」, 「행복한교육」, 2015(9).
  17. 윤기준, 「중학교 체육수업에서의 인성교육 실천」, 「전국체육대회기념」, 2010.
  18. 이에스더, 박미정, 「영상매체 활용 예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성과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음악교육공학」, 2013.
  19. 이영주, 「온통(溫通) 행복한 공동체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새내기 여중생의 학교적응력 신장」, 「한국교총」, 2016.
  20. 이원섭, 「미디어 교육 경험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14.
  21. 이준 외, 교과교육과 인성교육의 연계를 위한 수업방안 탐색-공감기반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2014(1), 74-90. 2014.
  22. 전경란 외, 「중학생 대상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교 미디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탐색적 고찰」, 「언론과학연구」, 2015.
  23. 정혜승 외,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 조사 연구」, 「한국독서학회」, 2013.
  24. 조철기,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지리교육」,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25. 최경수, 조재순,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가정과 프로젝트 학습의 개발 및 효과」, 「한국가정과 교육학회」, 2012.
  26. Wineburg, S., & McGrew, S., 「Evaluating information: The cornerstone of civic online reasoning」.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