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jabalssuk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8초

강화산 애엽(艾葉)의 보관기간에 따른 정유성분의 변화 (Analysis of the content of essential oils from Ssajuari and Sajabalssuk according to storage period)

  • 최호영;함인혜;최철한;방찬성;이병희;정해곤;부영민;김호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1-277
    • /
    • 2007
  • Objective : The content of essential oils from Ssajuari and Sajabalssuk was analyzed based on storage period. A total of eight samples old Ssajuari (harvested in 2000, 2001, 2002, 2003, and 2004), fresh Ssajuari (harvested in 2004), old Sajabalssuk (harvested in 2002), and fresh Sajabalssuk (harvested in 2004) was analyzed. Methods :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essential oils from Ssajuari and Sajabalssuk was conducted by GC/MS. Results : The main essential oils of Ssajuari were ${\beta}$-thujone and 1.8-cineole. The ${\alpha},{\beta}$-thujone and 1,8-cineole were increased but the caryophyllene oxide was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storage period. The main essential oils of fresh Sajabalssuk were trans-${\beta}$-caryophyllene, terpinen-4-ol. The main essential oils of old Sajabalssuk was ${\beta}$-thujone and 1,8-cineole like Ssajuari. But 1,8-cineole was higher than that of Ssajuari samlpes. Conclusion : All samples had trans-sabinene hydrate, 1,8-cineole, terpinen-4-ol and caryophyllene oxide. According to stored year, ${\beta}$-thujone, ${\alpha}$-thujone were increased but terpinen-4-ol, caryophyllene oxide were decreased.

  • PDF

쑥의 처리조건에 따른 휘발성 성분 변화 (Effects of Treatments on the Distribution of Volatiles in Artemisia princeps Pampan)

  • 박민희;김미자;조완일;장판식;이재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87-591
    • /
    • 2009
  • 무처리(R), 수증기 증류처리(SD), 동결건조 후 수증기 증류 처리(FD/SD)한 사자발쑥과 일반 쑥의 휘발성분을 HS-SPME방법으로 추출 후 GC-MS로 동정하였다. 무처리 사자발쑥 및 동결건조 후 수증기 증류 처리한 사자발쑥의 총 volatile함량은 각각의 일반 쑥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무처리 일반 쑥의 수증기 증류처리 시료의 경우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무처리 사자발쑥의 주요 휘발성분은 2-hexenal, 1,8-cineol, transcaryophyllene, hexanal이었고 무처리 일반 쑥은 1-hexanol, ${\beta}$-myrcene, limonene, 2-hexenal이었다. 반면에 수증기 증류처리(SD) 및 동결건조 후 수증기 증류처리(FD/SD)된 사자발쑥에서는 1,8-cineole, 4-terpineol, 1-octen-3-ol, ${\alpha}$-terpineol이, 수증기 증류처리(SD) 및 동결건조 후 수증기 증류처리(FD/SD) 된 일반 쑥의 경우에는 1,8-cineol, camphor, borneol, artemisia ketone, ${\alpha}$-thujone, 1-octen-3-ol이 주요 휘발성분이었다. 무처리 쑥의 경우 지방산화에 의해 발생하는 이취성분인 2-hexenal, hexanal과 1-hexanol이 많이 검출되었으나 수증기 증류처리(SD) 및 동결건조 후 수증기 증류처리(FD/SD) 된 시료는 정유성분 유래 휘발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이 검출되었다.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IX. 사자발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abalssuk)의 전초로부터 저밀도 지질 단백질(LDL) 산화 억제물질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IX. Isolation of Inhibitory Compound on LDL-Oxidation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abalssuk))

  • 방면호;송명종;한민우;이대영;조진경;정해곤;정태숙;이경태;최명숙;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224-227
    • /
    • 2007
  • 사자발쑥의 전초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과 octadecyl silica gel(ODS)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2종의 phenylpropanoids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eugenol(1) 및 (-)-sesamin(2)으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사자발쑥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Eugenol(1)은 LDL-항산화활성 억제활성이 40 ${\mu}g/ml$ 처리 농도에서 $87.8{\pm}1.0%$로 나타났다.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XII. 사자발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의 지상부로부터 Triterpenoid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XII. Triterpe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 방면호;조진경;송명종;이대영;한민우;정해곤;정태숙;이경태;최명숙;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223-227
    • /
    • 2008
  • 사자발쑥의 지상부를 80% MeOH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H-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과 octadecyl silica gel(ODS),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triterpenoid를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wrightial(1), wrightial acetate(2), 27-norcycloart-20(21)-ene-25-al-3${\beta}$-ol acetate(3) 및 ursolic acid(4)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사자발쑥에서 처음으로 분리 보고 되었으며 특히, 화합물 3은 천연에서 처음으로 분리 보고 되었다. 또한 이번에 분리한 화합물에 대하여 항고지혈증 활성을 측정한 결과 화합물 1은 ACAT1과 ACAT2 효소에 대한 $IC_{50}$ 값이 33 ${\mu}g/ml$와 45 ${\mu}g/ml$로 나타났고, 화합물 2는 ACAT1 효소에 대하여 $IC_{50}$ 값이 12 ${\mu}g/ml$로 나타났다. 화합물 3은 ACATI 효소에 대하여 $IC_{50}$값이 16 ${\mu}g/ml$으로 나타났다.

수집종 쑥(Artemisia princeps. Pamp.)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수량성 비교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Quality and Productivity in Local Collections of Mugwort (Artemisia princeps. Pamp.))

  • 신정남;고기환;김종덕;이정훈;김광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77-282
    • /
    • 2017
  • 본 시험은 2014년부터 2015년까지 경북 성주에서 수집종 쑥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수집종을 처리로 한 24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쑥은 2014년 3월 17일에 재식하였고, 수확은 2014년에는 9월 13일, 2015년에는 1차로 5월 25일, 2차로 9월 9일에 실시하였다. 개화기는 Sajabalssuk이 8월 29일로 빨랐고 나머지는 9월 6일부터 13일이었다. 2년간 수행된 24개의 수집종 중에서 건물수량이 Seongju B.(2)보다 높은 6종과 낮은 (p<0.05) 18종 중에서 Sajabalssuk을 포함시킨 7종의 2년간 건물수량은 2014년에 Dalsung(1), Seongju B.(1), Dalsung(2) 및 Sajuarissuk이 각각 17.3, 16.8, 16.7 및 16.7톤/ha으로 나머지 3점의 수집종보다 높았으며 (p<0.05) 3점의 수집종 간에는 Sajabalssuk이 가장 낮았다 (p<0.05). 2015년에는 Dalsung(1), Dalsung(2), Seongju B.(1) 및 Sajuarissuk이 각각 19.5, 19.3, 18.4 및 18.4톤/ha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나머지 3점의 수량보다 높았으며 (p<0.05), 이들 3점 간에는 Sajabalssuk이 가장 낮았다 (p<0.05). DDM 함량범위는 58.4~60.8%로 Sajabalssuk이 60.8%로 Seongju B.(1)을 제외하고 가장 높았으며 (p<0.05) Seongju B.(1)의 58.8%는 Seongju B.(2)의 56.4%보다 높았고(p<0.05) Dalsung(2) 58.1%, Dalsung(1) 58.4%, Sajuarissuk 57.7%, Yeongcheon 56.9%,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수집종 쑥 24점 중 건물수량과 DDM 수량이 높은 Dalsung(1), Dalsung(2), Sajuarissuk 및 Seongju B.(1)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IV. 사자발쑥(Artemisia herba)의 전초로부터 flavonoid 화합물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IV.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herba))

  • 방면호;김동현;유종수;이대영;송명종;양혜정;정태숙;이경태;최명숙;정해곤;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418-420
    • /
    • 2005
  • 사자발쑥의 전초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을 silica gel과 octadecyl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eupatilin (1), jaceosidin (2), apigenin (3) 및 eupafolin (4)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중 eupatilin과 jaceosidin은 사자발쑥에서 분리, 보고 된 바 있으나 eupafolin과 apigenin은 처음 분리되었다.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 XVI. -사자발쑥(Artemisia herba)의 전초로부터 sterol 화합물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VI. -Isolation of Sterols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herba)-)

  • 방면호;정해곤;송명종;유종수;정선아;이대영;김세영;정태숙;이경태;최명숙;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2호
    • /
    • pp.140-144
    • /
    • 2006
  • 사자발쑥의 전초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과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과 octadecyl 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sterol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림 데이터를 해석하여, ${\beta}-sitosterol$ (1), dehydroergosterol $5{\alpha},8{\alpha}-epidioxide$ (2), stigmasterol (3), daucosterol (4)으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사자발쑥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Antiallergic Effect of Two Varian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 Shin, Yong-Wook;Bae, Eun-Ah;Lee, Bo-Mi;Min, Sung-Won;Lee, Jin-Hee;Baek, Nam-In;Ryu, Su-No;Chung, Hae-Gon;Kim, Nam-Jae;Kim, Do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2권2호
    • /
    • pp.67-73
    • /
    • 2006
  • Antiallergic activities of two varian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J-1 (named as Sajabalssuk) and SS-1 (named as Sajuarissuk) cultivated in Ganghwado, which contain high content of eupatilin compared to those cultured by other place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as inhibitors against allergic diseases. Ethanol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of SJ-1 and SS-1 inhibited the release of ${\beta}-hexosaminidase$ from RBL-2H3 cells, although their water extracts were inactive. These extracts potently inhibited lipopolysaccharide-induced NO production of RAW264.7. However, these extracts almost did not scavenge free radicals. Oral administration of these extracts to mice inhibite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reaction induced by IgE, and acute dermatitis induced by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However, these extracts did not inhibit chronic dermatitis. Scratching behaviors, vascular permeability, and writhing syndromes were weakly inhibited by these extract at a dose of 50 mg/kg. Based on these findings, we believe that SJ-1 and SS-1 can improve IgE-induced allergic diseases such as rhinitis and asthma.

Effect of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on Antiallergic Effect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 Shin Yong-Wook;Bae Eun-Ah;Lee Bo-Mi;Min Sung-Won;Baek Nam-In;Ryu Su-No;Chung Hae-Gon;Kim D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9호
    • /
    • pp.1464-1467
    • /
    • 2006
  •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which is named as Sajabalssuk (SJ-1) in Korea, was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their antiallergic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When SJ-l was fermented with some LAB isolated from human feces,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in RAW264.7 cel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J-1 were not affected. However, the inhibitory activity of SJ-1 against degranulation of RBL-2H3 cells induced by IgE was increased by LAB fermentation. Among the LAB tested, Bifidobacterium infantis K-525 provided the most potent inhibitory effect of SJ-1 against degranulation of RBL-2H3 cells. SJ-1 extract fermented with B. infantis K-525 (F-SJ-1) potently inhibited the mouse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reaction induced by IgE with antigen, skin dermatitis induced by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and scratching behaviors induced by compound 48/80. These inhibitory activities of F-SJ-1 were more potent than those of SJ-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hibition of SJ-1. extract against IgE-induced allergic diseases, such as rhinitis and asthma, can be enhanced by LAB fer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