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 education contents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6초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teracy about Software Education Contents, In preparation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Kim, Dong Man;Lee, Tae 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69-175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aining direction for effective SW education. In an effort to better understand the efficient SW training contents and methods for teachers, 200 of elementary teachers had been selected from different places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1)it should be operated by focusing on the training of female teachers, especially, strengthening the contents of SW ethics. 2)It will need to actively operate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to foster the necessary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gram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work in big cities. 3)It need to create a training program for expanding the SW studying groups. 4)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courses in the development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s, the SW ethics contents need to be coordinated with the link the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graming.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the efficient methods to design the future SW training programs.

SW융합영재 담당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텐서플로우 기반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ensorFlow for Reinforcement of SW Convergence Gifted Teacher Competency)

  • 장은실;김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67-177
    • /
    • 2019
  • 미래사회에서의 국가 경쟁력 강화는 뛰어난 SW융합영재 발굴과 양성이다. 이러한 SW융합영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담당교원의 역량 강화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SW융합영재 담당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 중에 하나인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의 방향을 설정 후, 인공지능 중에서도 중등 SW융합영재 교육에 적합한 교육 콘텐츠를 구성하여 상세 설계 및 개발하였다.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의 구성은 머신러닝과 텐서플로우의 이해, 수치 예측을 위한 선형 회귀 머신러닝 구현, 다중 선형 회귀 기반의 가격 예측 머신러닝 구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발한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는 전문가에게 질적인 측면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향후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는 SW융합영재 담당교원의 역량 강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교육과정과 연계된 초등학교 캠프형 SW·AI교육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W·AI educational contents linked to the curriculum(camp type))

  • 변영신;한정수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9-54
    • /
    • 2022
  • 코로나 이후 급격한 현대사회의 변화는 인공지능 인재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부각시겼다. 이에 따라 교육부에서는 인공지능 교육 공백기에 있는 초등학교 4-6학년과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역량을 개발시키기 위해 대단위 SW·AI 캠프 교육 사업을 기획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캠프 형 SW·AI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로 하여금 인공지능 기초소양을 갖추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의 SW·AI 교육의 의미를 정의하고 초등학교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SW·AI 내용으로 'SW·AI의 이해', 'SW·AI의 원리와 활용' 및 'SW·AI의 사회적 영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설정된 초등학교 SW·AI 교육학습 요소와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관련 교과 및 단원과의 연계를 시도하였다. 교육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으로는 블록코딩 기반의 소프트웨어 코딩 학습 도구인 엔트리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기초 역량을 강화하도록 하였으며, 모든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발달적 특징을 고려하여 경험과 체험 위주의 참여자 중심으로 운영되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SW·AI 캠프 교육 프로그램은 방과 후 과정이나 방학 등을 이용하여 단기간에 운영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과정에서 SW·AI 교육이 정규교육과정의 일원으로 편성되어 운영되기 위해서는 정규교과 내용분석과 SW·AI 교육내용의 심층적인 분석을 기초로 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SW교육 콘텐츠 개발의 학습자 선호 분석 (Analysis of Learners' Preferences in SW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91-699
    • /
    • 2017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SW 교육 중요성이 증대되어 다양한 교육적 방법과 도구들을 활용한 SW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SW 교육 도구를 활용한 교수학습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예비교사들의 EPL 수업후 산출된 결과물을 학과별, 학점별, 유형별로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의 EPL 콘텐츠 선호유형, 선호하는 개발과목 및 개발대상과 그들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과별로 개발과목과 유형은 차이가 있었으며, 유형별로 개발과목과 대상에도 차이가 있었으나 학점별로 개발과목과 유형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EPL 수업에 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고 EPL 관련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컴퓨팅 사고 중심의 SW교육 콘텐츠의 연구 (A Study of SW Education Content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 류미영;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521-52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정보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SW교육 콘텐츠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SW교육 프로그램은 지식, 기능, 태도의 세 개 영역으로 나누었고, 컴퓨팅사고의 추상화, 자동화, 가치화로 연계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콘텐츠는 3개의 레벨로 나누고, 각각 16차시로 구성 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전문가 19인을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를 실시한 결과 타당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가 SW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컴퓨팅 사고를 신장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전공맞춤형 학습 콘텐츠의 효과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ajor-friendly Contents in Software Education for the Non-majors)

  • 서주영;신승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55-63
    • /
    • 2020
  • 최근 대학의 비전공자 소프트웨어(SW) 기초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SW 비전공자에겐 학습의 어려움이 크다. 본 논문은 비전공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여 SW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SW 전공자 대상의 학습 콘텐츠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 비전공자들의 흥미를 반영한 전공맞춤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5년 이상 비전공자 SW기초교육을 운영 중인 A 대학의 사례 연구를 통해 동일한 교과과정에 대해 교육 대상의 전공에 맞춤된 학습 콘텐츠로 수업한 전, 후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학계열에선 국가의 사회, 문화 현상을 살펴볼 수 있는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에 학습 흥미를 느끼고, 인문계열에겐 소설, 역사서, SNS 글의 텍스트 콘텐츠가 학습 동기를 상승시켜 어렵게 느끼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강의 만족도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전공맞춤형 콘텐츠가 비전공자 SW기초교육에 유용함을 보여준다.

SW 교육 콘텐츠의 주제 영역에 대한 연구 동향과 학습자 선호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Learners' Preference for Subject Area of SW Education Content)

  • 전수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9-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SW 교육을 위한 SW 교육 콘텐츠의 주제 영역에 따른 연구 동향과 학습자의 선호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최근 연구된 연구 문헌들과 교과서 및 교재들에 나타난 다양한 SW 교육 콘텐츠의 주제 영역을 분석하여 최근 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 게임, 미디어 아트, 교육학습 콘텐츠, 시뮬레이션, 실생활 중심 콘텐츠의 6가지 주제 영역으로 분류하여 정의하였으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SW 구현 주제 선정 이유, 선정 방법, 선호 주제를 기준으로 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학생들은 주제 선정 이유에 있어서는 주로 자신의 흥미와 교수자의 영향을 받으며 게임과 스토리텔링 주제 영역에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학습자 수준에 따라 균형 있는 SW 교육 콘텐츠 설계에 반영될 것을 기대한다.

초등SW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Effects of SW-STEAM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A Meta-Analysis)

  • 배윤주;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47-258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초등SW융합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SW융합교육 관련 29편의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시행하였고, 총 60개의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R프로그램을 활용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W융합교육의 전체효과크기는 .35의 중간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SW융합교육의 효과크기는 인지적, 정의적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W융합교육의 효과에 있어 조절변인들 모두 연구간 효과크기의 차이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초등SW융합교육이 학습효과를 증진시킨다는 통합적 결론을 도출하고 초등SW융합교육 설계 및 실행시 고려해야할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초·중등 SW교육의 평가요소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factors for SW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박주연;김종혜;김석희;이현숙;김수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7-59
    • /
    • 2017
  • SW교육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을 가진 창의 융합 인재양성에 있다. SW교육 내용과 방법은 다양하여 획일적인 평가로는 학생들이 배운 내용에 대한 적합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학습 내용에 맞는 적합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SW교육의 핵심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기준이 될 평가요소가 개발된다면 현장에서 SW교육 평가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 중등학교에서의 SW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평가요소를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서 SW교육의 평가내용 및 평가방법을 개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FGI를 통한 현장적합성 검토, 전문가 협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적 영역의 평가요소는 Computational Materials & Outputs(CMO), Computational Concepts(CC), Computational Practices(CP)의 세 영역, 17개의 키워드로, 정의적 영역의 평가요소는 가치, 태도, 컴퓨팅 사고력 효능감, 흥미의 네 영역, 13개 세부영역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SW교육 평가요소는 교육 현장에서 실행될 SW교육 내용에 맞는 평가내용을 개발하기 위한 준거틀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활용한 초등교사의 SW교육 관심도 및 실행수준 분석 (An Investigation of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about SW Education Based on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 김진솔;이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75-8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SW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수준을 관심중심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을 통해 분석하여 SW교육의 지속적인 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직 초등학교 교사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교사의 SW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0단계(지각)부터 2단계(개인) 측면의 관심이 높은 초기 관심 단계를 보이고 있었다. 현재 SW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는 현장에서 SW교육을 단기적으로 시행하는 것에 집중하는 기계적 실행과 일상화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행하고 있지 않은 교사의 과반수는 SW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의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성별, 교직경력, SW연수경험, SW교수경험에 따라 교사의 SW교육 관심단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담당학년, SW연수경험, SW교수경험에 따라 SW교육 실행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의 SW교육 관심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교사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SW교육 제공 및 교수경험 확대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