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Learners' Preference for Subject Area of SW Education Content

SW 교육 콘텐츠의 주제 영역에 대한 연구 동향과 학습자 선호 분석

  • Received : 2016.12.20
  • Accepted : 2017.01.18
  • Published : 2017.0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the learners' preference for subject area of SW education content. First, we analyzed trends in the subject areas of various SW education contents in recent research literature, textbooks, and textbooks. Based on this, we defined six subject areas as storytelling, game, media art, educational learning contents, simulation. Also, we analyzed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reason of SW implementation theme selection, selection method, and preference theme. As a result, the students were mainly influenced by their interests and teachers in the reason of topic selection, and they showed higher preference in game and storytelling subject area.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reflected in balanced SW education contents design according to learner level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SW 교육을 위한 SW 교육 콘텐츠의 주제 영역에 따른 연구 동향과 학습자의 선호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최근 연구된 연구 문헌들과 교과서 및 교재들에 나타난 다양한 SW 교육 콘텐츠의 주제 영역을 분석하여 최근 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 게임, 미디어 아트, 교육학습 콘텐츠, 시뮬레이션, 실생활 중심 콘텐츠의 6가지 주제 영역으로 분류하여 정의하였으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SW 구현 주제 선정 이유, 선정 방법, 선호 주제를 기준으로 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학생들은 주제 선정 이유에 있어서는 주로 자신의 흥미와 교수자의 영향을 받으며 게임과 스토리텔링 주제 영역에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학습자 수준에 따라 균형 있는 SW 교육 콘텐츠 설계에 반영될 것을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미래부 (2016). SW 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 교육부.미래부 보도자료, 2016.7.21.http://www.msip.go.kr/web/msipContents/contentsView.do?cateId=mssw311&ar tId=1270998
  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6). 소프트웨어와 함께하는 창의력 여행-초등학교. 세종: 교육부.
  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6). 소프트웨어와 함께하는 창의력 여행-중학교. 세종: 교육부.
  4. 교육부 (2015). 실과 (기술. 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 호 [별책 10]. 세종: 교육부.
  5. 류희찬, 류제천 (1993). BASIC 프로그래밍 학습이 국민학생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학연구, 3(2), 69-77.
  6. 백영균, 우인상 (1994). LOGO 프로그래밍의 수.업방법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연구. 교육공학연구, 9(1), 73-90.
  7. Wing, J. M. (2008).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A: mathematical,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366(1881), 3717-3725. https://doi.org/10.1098/rsta.2008.0118
  8. 이철현 (2015).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SW 영역 개발 방향 탐색.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20-140.
  9. Resnick, M., Maloney, J., Monroy-Hernaandez, A., Rusk, N., Eastmond, E., Brennan, K., & Kafai, Y. (2009). Scratch: programming for all. Communications of the ACM, 52(11), 60-67. https://doi.org/10.1145/1592761.1592779
  10. B.R. Na, and D.H. Koo,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for Digital Storytelling," 2010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Summer Conference, pp. 19-25. 2010.
  11. 박정호 (2014). 디지털 스토리텔링기반 프로그래밍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9(5), 119-128. https://doi.org/10.9708/jksci.2014.19.5.119
  12. 구정모, 박정호, 송정범, 배영권, 안성훈, & 이태욱 (2009). 문제중심 스토리텔링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습동기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2(1), 23-32.
  13. 구덕회 (2014). 초등 교과교육: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기반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교육, 25(1), 245-260.
  14. 임화경, 이길연 (2012).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 3D 애니메이션 제작을 통한 교육효과.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3(3), 459-467.
  15. 엄기순, 이원규. (2014). 애니메이션 창작을 통한 프로그래밍 수업 방안-오픈 소스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세싱) 를 활용하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8(2), 41-44.
  16. 김민지. (2014). 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성과 소프트웨어로서의 예술. 한국과학예술포럼, 17, 57-57.
  17. 신재훈, 김종훈 (2001). 게임 프로그램 이해를 통한 "프로그래밍" 학습.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8(1B), 661-663.
  18. 강신천, 김의정, 김경현(2006), 정보영재를 위한 게임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 교재의 개발, 한국영재학회, 16(1), pp.61-79
  19. 홍성권, 최정원, & 이영준. (2014). 초등학생의 게임 프로그래밍 경험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30(3), 197-215.
  20. 신갑천, & 허경. (2011). 스크래치 EPL 을 활용한 라인트레이서 시뮬레이션교육 프로그램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4), 533-542.
  21. 김석철, & 한준탁. (2010). 정보 과학 기술: 타자 및 언어 학습을 위한 한/영 단어 맞추기 게임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4(1), 257-262.
  22. 정고미라 (2003). 에듀 게임의 유형 및 향후 전망, 게임 산업저널.
  23. 전수련, 남동수, 이태욱 (2011). 초등 정보영재의 알고리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실생활 중심의 컨텐츠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2), 225-228.
  24. 김병조, 전용주, 김지현, & 김태영. (2016). 초등정보융합영재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 수업콘텐츠 개발 및 적용. 교원교육, 32(1), 159-186.
  25. 전성균, & 이영준. (2016). 학습 활동 주제별 프로그래밍 교육 효과 메타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2), 21-29.
  26. 박종선, 송영욱, & 김범기. (2011). 초등학생들이 선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43-152.
  27. 김수환, 임선명, & 송상수. (2015). Track 3 소프트웨어교육: 한국형 온라인 SW 교육 플랫폼 개발을 위한 사용자 로그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9(2), 6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