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evaluation factors for SW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초·중등 SW교육의 평가요소 개발

  • Received : 2017.10.24
  • Accepted : 2017.11.27
  • Published : 2017.11.30

Abstract

The Goal of SW education is to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nt human resources with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The content and methods of SW education are diverse, and it is difficult for the students to properly evaluate what they have learned. In order to appropriately evaluate the learning contents, SW education evaluations should be able to easily evaluate the core content of the SW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ystematic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develop evaluation factor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W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 field suitability review through FGI, an expert consultation, and a Delphi survey. As a result, the metrics of the cognitive domain were developed with 17 keywords in three categories: Computational Materials & Outputs (CMO), Computational Concepts (CC), and Computational Practices (CP). Also, metrics of the affective domain were developed with 13 sub-areas in four categories: value, attitude, computational thinking efficacy, and interest. The SW education evaluation factor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ramework to develop the evaluation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of education.

SW교육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을 가진 창의 융합 인재양성에 있다. SW교육 내용과 방법은 다양하여 획일적인 평가로는 학생들이 배운 내용에 대한 적합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학습 내용에 맞는 적합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SW교육의 핵심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기준이 될 평가요소가 개발된다면 현장에서 SW교육 평가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 중등학교에서의 SW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평가요소를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서 SW교육의 평가내용 및 평가방법을 개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FGI를 통한 현장적합성 검토, 전문가 협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적 영역의 평가요소는 Computational Materials & Outputs(CMO), Computational Concepts(CC), Computational Practices(CP)의 세 영역, 17개의 키워드로, 정의적 영역의 평가요소는 가치, 태도, 컴퓨팅 사고력 효능감, 흥미의 네 영역, 13개 세부영역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SW교육 평가요소는 교육 현장에서 실행될 SW교육 내용에 맞는 평가내용을 개발하기 위한 준거틀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형신(2014).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 계발을 위한 수업 설계 및 평가 루브릭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1). 57-64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1.57
  2. 교육부(2015).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3. 교육부(2017). '17년도 SW교육 연구․선도학교 1200개 선정 결과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4. 장영록 외. (2015). 초중등 ICT-SW교육 강화를 위한 실천방안 기획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5. 이영준,백성혜,신재홍,유헌창,정인기,안상진,최정원,전성균(201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6. 김민자, 유길상, 김현철(2016). 비전공자 프로그래밍 수업 창의적 산출물의 컴퓨팅 사고력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2), 1-12.
  7. 전수진, 한선관(2016).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 평가를 위한 서술형 수행평가도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3), 255-262.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3.255
  8. 안성훈 (2016). 초․중학교 SW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평가지표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4), 11-20.
  9. 이인숙,한승연 (2010). u-러닝 연구학교 효과성 평가 지표 개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6(2), 145-176.
  10. Wing, J. M. (2008).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366, 3717-3725. https://doi.org/10.1098/rsta.2008.0118
  11. 최숙영 (2015).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1). 53-62.
  12.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annu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eeting, Vancouver, BC, Canada.
  13. Snow, E. (2015). Supporting Computer Science Teaching, Learning & Adoption Through Evidence-Centered Assessment. 2015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KAIE) Winter Conference.
  14. Moreno-Leon, J., Robles, G., & Roman-Gonzalez, M. (2016). Comparing computational thinking development assessment scores with software complexity metrics. In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Conference (EDUCON), 2016 IEEE (in press). IEEE.
  15. 김수환 (2015). Computational Thinking 개념 평가를 위한 스크래치 코드 분석 시스템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6). 13-22.
  16. 김병수 (2014). 계산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PPS기반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 박사학위 논문, 제주대학교.
  17. 양병석, 길현형, 김윤명 (2016). 효과적인 초․중고 SW온라인 교육체계 연구, 레파지토리와 평가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정책연구 15-진흥-055.
  18.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실과, 정보. 교육부.
  19. CSTA & ISTE (2011).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K-12 Education. 2015. 7. 14일 검색 http://csta.acm.org/Curriculum/sub/CurrFiles/CompThinkingFlyer.pdf.
  2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교육정보화 효과성 분석 연구-정의적 영역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 2005-2.
  21. Okoli, C., & Pawlowski, S. D. (2004). The Delphi method as a research tool: an example, design considerations and applications. Information & Management, 42, 15-29. https://doi.org/10.1016/j.im.2003.11.002
  22. Dajani, J. S., Sincoff, M. Z., & Talley, W. K. (1979). Stability and agreement criteria for the termination of Delphi studies.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3(1), pp.83-90. https://doi.org/10.1016/0040-1625(79)90007-6
  23.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pp.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