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 like activity

검색결과 574건 처리시간 0.036초

홍삼의 법제유황 처리가 당뇨쥐의 혈중지질 및 대사지표물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with Processed Sulfur Extracts on Serum Lipids Concentration and Metabolic Variables in Diabetic Rats)

  • 한현정;김혜자;정명수;조화은;최윤희;이기남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9-98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processed sulfur with red ginseng on streptozotocin(STZ) induced diabetic rats for expansion of processed sulfur internal application. Methods : We prepared red ginseng with non processed sulfur extracts(GS), red ginseng with processed sulfur I extracts(GPS I) and red ginseng with processed sulfur II extracts(GPS II).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about contents of crdue saponin, antioxidant activity,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effects of STZ induced diabetic rats. Results : Contents of crude saponin increased by processed sulfur, and GPS II was shown highest contents in crude saponin and sulfur compared with another groups.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GPS II was shown highest activity compared with GS and GPS I, SOD-like activity showed same tendency as electron donating ability at 1 $mg/m\ell$ concentration. Inhibitory activity of $\alpha$-glucosidase was approximately same level in acarbose and GPS II. Blood glucose level of GPS II group was decreased 18.34% compared with DC(diabetes control) group and maintained stability range in glucose level. but GS and GPS I showed high level compared to GPS II. Serum triglycerides concentration also showed lowest level in GPS II. The activity of ALT, AST and ALP was shown high level in diabetic induced groups, and lowest level in GPS II. Creatinine was shown non-significantly difference in each groups and GPS II was shown lowest level in BU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rocessed sulfur with red ginseng have improvement effects on diabetes and internal application of processed sulfur with red ginseng have no specific toxicity in liver and kidney.

고로쇠 수피 초고압 추출물의 항암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y of Acer mono by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 정명훈;김승섭;하지혜;김영;이학주;강하영;박성진;이현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243-125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초고압 공정을 통하여 기존의 일반 열수추출공정과 비교함으로써 초고압 공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증진 및 항암활성 증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기존의 추출공정과 비교하여 높은 압력 하에서 추출수율이 증가한 것은 시료의 세포막이 비가역적으로 분해되어 막 투과성이 증가되어 물질 이동이 용이하게 되어 용매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 보다 많은 성분이 세포 밖으로 쉽게 용출되어 나오는 결과라고 추정된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네 가지의 추출물 중 15분간 초고압 처리한 추출물의 활성이 1.0 mg/mL의 농도에서 94.5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또한 BHA의 93.24%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SOD 유사활성 결과를 살펴보면 15분간 초고압 처리를 한 추출물의 활성이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으로 비교한 BHA의 활성보다 높았고, 열수추출의 활성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인간의 정상 폐 세포인 HEL299를 이용한 세포 독성은 초음파 공정을 15분간 처리한 추출물 1.0 mg/mL의 농도에서 20.12%로, 일반 열수 추출물의 24.53%보다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초고압 공정을 통한 세포독성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간 정상 신장 세포인 HEK293을 이용한 세포 독성실험에서도 1.0 mg/mL의 농도에서 초고압 처리를 15분 동안 한 추출물이 23.54%를 나타내어 일반 열수 추출물보다 약 3% 낮은 독성을 보였다. 암세포 억제활성 측정은 AGS, A549, MCF-7, Hep3B, Caco-2의 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위의 4가지 암세포에서 1.0 mg/mL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높은 암세포 억제 활성을 보였고, 암세포의 생육활성에 대한 정상 세포의 세포독성의 비로 나타낸 선택적사멸도는 1.0 mg/mL의 농도에서 4 정도로 나타났으며, 초고압 공정에 의한 추출물의 사멸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기존의 일반 열수 추출에 비해 초고압 공정을 통한 추출물의 수율향상 및 세포독성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초고압에 의한 고로쇠 수피 표면조직의 파괴와 성분 변화로 인한 유용물질 및 신물질의 대량 용출과 함께 독성물질이 파괴되거나 변성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 된다. 또한 항산화 활성 및 항암활성 증진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고로쇠나무의 항산화제 및 항암 신소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초고압 공정에 의해 용출된 성분의 분리 및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포제방법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추출물의 항염 및 미백활성에 관한 연구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Extracts by Oriental Conversion Methods)

  • 성경아;김미혜;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21-43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신소재 개발을 위해 한의약적 포제법을 적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을 제조하고 포제방법에 따른 항염 및 미백활성을 평가하였다. 모든 실험은 생(生), 1회 초법(炒法), 2회 초법(炒法), 3회 초법(炒法), 증법(蒸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를 이용하였다. 각 포제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의 용매별 (80% 에탄올, 50%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추출물에 대한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각각 85.5, 22.4, 37.0 및 19.4%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후의 실험은 항산화 활성이 가장 큰 8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포제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과 포제법을 적용하지 않은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500{\mu}g/mL$ 농도에서 포제법을 적용한 3회 초법 및 증법은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활성이 각각 62.9 및 55.9%를 나타냈다. Lipopolysaccharide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포제법을 적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양성 대조군보다 포제법을 적용하지 않은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38.0%), 1회 초법(41.0%), 2회 초법(69.8%), 3회 초법(70.1%), 증법(78.5%) 순으로 염증 매개물질인 $NO{\cdot}$ 생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세포 내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저해 활성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포제하지 않은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은 $500{\mu}g/mL$ 농도에서 ${\alpha}$-MSH만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멜라닌 생합성을 90.7%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들은 항염이나 미백활성이 있는 화장품 소재 개발에 포제법을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삼나무와 편백나무 정유의 미백 및 항산화 효능 평가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 김선홍;이수연;홍창영;곽기섭;여환명;이전제;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4호
    • /
    • pp.291-302
    • /
    • 2011
  • 본 연구는 삼나무와 편백나무 정유의 tyrosinase 저해 활성과 DPPH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소거 활성, SOD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을 구명하여 정유의 미백 및 항산화 효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삼나무와 편백나무 정유의 미백 및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 건조 중 발생하는 nVOCs의 부가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삼나무 및 편백나무 잎의 정유는 수증기 증류법으로 24시간 추출하였고, 목부는 고온 열처리기를 이용하여 80, 100, $120^{\circ}C$의 온도조건에서 열기 건조하여 건조 중 목부로부터 발생하는 부산물인 천연 휘발성 유기화합물(nVOCs, Natural Volatile Organic Compounds)을 응축액의 형태로 추출하였다. 삼나무 잎의 정유가 편백나무 잎의 정유 보다 미백 및 항산화 활성에서 모두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건조 시 발생한 nVOCs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미백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항산화 활성은 $120^{\circ}C$에서 발생한 삼나무 nVOCs에서만 나타났다.

배암차즈기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alvia plebeia R. Br.)

  • 임진아;윤보원;백승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3-188
    • /
    • 2007
  •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 메탄을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항산화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배암차즈기 메탄을 추출물의 전자공여능(RC$_{50}$)은 51.10 ${\mu}$g/ml로 나타났고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0.92mg/ml)을 첨가하였을때 62.11%로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력은 추출물 (0.2mg/ml)을 첨가하여 지질과산화물을 측정한 결과 배양시간 1, 2, 4일 경과후 각각 72.86%, 77.18%, 78.32% 감소율을 보임으로써 효과적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은 gallic acid equivalents (GAE)로 측정되었고, 202.35${\pm}$ 1.26 GAE ${\mu}$ extract으로 조사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복합 생약추출물(0.2mg/ml)을 첨가하였을 때 pH 1.2조건에서 44.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배암차즈기 메탄을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냄으로써 기능성 식품 소재 및 식품 첨가물로써 사용가능 하리라 사료된다.

Heme 산화효소 발현 유도체로서 Isoflavone-Free 검은콩 펩타이드의 항고혈압 활성 (Antihypertensive Effects of Novel Isoflavone-Free Black Soy Peptide Mixture as HO-1 Inducer)

  • 신미경;권용현;안창원;신동석;박수현;최보화;홍순선;강주희;박창신
    • 약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91-197
    • /
    • 2012
  • We previously reported that the novel isoflavone-free peptide mixture (black soybean peptide, BSP) had several beneficial effects like antiobesity and hypotriglyceridemic effect. However, there are no reports for BSP on anti-hypertensive activity. BSP induced heme oxygenase-1 (HO-1) in HUVECs, thus investigated the HO-1-induced activity in HUVECs and the anti-hypertensive effects in SHR animal model. BSP significantly induced HO-1 expression both at transcriptional and protein levels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as measured by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pectively. These inductions were abolished by pretreatment of N-acetyl-cystein (NAC, 1~10 mM), but not by employing Tempol, a superoxide dismutase (SOD) mimetic (1~5 mM). As expected, enzymatic activity (~2 fold) determined by bilirubin formation assay and cGMP concentration (~6 fol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SP-treated cells. Based on the numerous evidences on the beneficial effects of HO-1 and our results, we investigated in vivo effects of BSP on the antihypertensive activity. The administration of BSP (1% in drinking water) significantly decreased mean blood pressure (BP) (from $218.6{\pm}6.99$ to $190.0{\pm}3.42$ mm Hg, p<0.01). This result indicates that BSP is strong inducer of HO-1 expression, which may be triggered by oxidative stress, and has anti-hypertensive activity.

유산균 발효를 통한 매자나무 수피부의 항산화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k of Berberis koreana Palibin by Lactic Acid Fermentation)

  • 하지혜;;서용창;최운용;김지선;김행훈;안주희;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21-428
    • /
    • 2010
  • The bark of Berberis koreana Palibin was fermented by Bifidobacterium longum B6 and Lactobacillus paracasei at $37^{\circ}C$ for 72 hour, then extracted by water solvent at $100^{\circ}C$ for 180 min. Total ph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mproved by fermentation process, compared to 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The barks of B. koreana Palibin extracts by B. longum B6 (FE-B.L.) and by L. paracasei (FE-L.P.) showed 17% and 16% cytotoxicity on human normal cell lines(HEK293) at 1.0 mg/$m{\ell}$ of the highest concentration, respectively, which was about 3~5% lower than 20% from normal extracts (N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FE-B.L. and FE-L.P. were about 73% and 75.9% higher than 56.8% of NE. The highest inhibitory potency on xathine 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were also measured as 31.9% and 61.9% by adding FE-L.P. of 1.0 mg/$m{\ell}$. On tyrosinase inhibition test, the FE-L.P. showed highest activity as 75.9% at 1.0 mg/$m{\ell}$. Generally, FE-L.P.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as well as higher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possibly due to high contents of total pholyphenol and flavonoid. In general, fermentation of barks of B. koreana Palibin has relatively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normal extracts. Specifically, the extracts fermented by L. paracasei showed higher activities than that from B. longum B6.

각종 약용 식물 첨가가 전통 인삼주의 품질 특성과 생리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Plant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raditional Ginseng Wine)

  • 이은나;이대형;김신범;이승환;김나미;이종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102-108
    • /
    • 2007
  • 고부가가치를 가진 전통 인삼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각종 약용식물들의 첨가가 인삼주의 품질과 생리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전통 인삼주 제조용 최적효모를 선발하기 위하여 2종류의 시판 알코올발효효모와 청주제조용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인삼주를 제조한 결과 시판효모인 Fermivin으로 발효시킨 전통 인삼주가 에탄올 함량이 17.0%로 비교적 높았고 기호도도 제일 우수하였다. 또한 각종 약용식물첨가가 전통 인삼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시판효모인 Fermivin을 0.4%, 시판곡자와 정제효소를 각각 g당 36sp씩 2:1의 비율로 혼합하여 담금한 주모에 1% 인삼과 0.5%의 하수오와 갈근을 첨가하여 $25^{\circ}C$에서 20일간 발효시킨 인삼주가 에탄올함량이 16.8%로 제일 높았고 기호도도 제일 우수하였다. 최적 발효일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발효 중 생리기능성의 변화와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발효 20일에 항고혈압활성을 나타내는 안지오텐신전환 효소 (ACE)저해활성이 78.9%로 높았고 기호도도 제일 우수하였다. 그러나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은 발효 15일에 8.2%, 20일에 9.2%를 보였을 뿐 여타의 생리기능성은 없거나 매우 미약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항고혈압활성이 우수한 고급 전통 인삼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시판곡자와 정제효소를 각각 g당 36sp씩 2:1로 혼합하여 증자미와 물과 시판효모인 Fermivin 0.4%와 인삼 1%로 1차 담금하여 $25^{\circ}C$에서 4일간 발효시킨 후 갈근과 하수오를 각각 0.5%첨가하여 다시 $25^{\circ}C$에서 16일간 발효시키는 것이 제일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7가지 한약재 처방전에 대한 항산화·항균·항암활성에 대한 연구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Seven Traditional Herb-combined Remedies)

  • 이문희;이재왕;박철;한민호;홍수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6-415
    • /
    • 2015
  • 본 연구에서, 우리는 동의보감에서 옹저에 대한 한약재 처방전인 길경탕(GGT), 대황목단탕(DHMDT), 사간탕(SGT), 소청룡탕(SCRT), 시호청간탕(SHCGT), 십육미류기음(SYMYKE) 과 황흑산(HHS)에 대한 항산화능과 항암과 항균활성에 대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길경탕 < 십육미류기음 < 소청룡탕 < 시호청간탕 < 대황목단탕 < 사간탕 < 황흑산의 순서대로 함량이 풍부하였다. 이들 중 황흑산은 SOD 유사활성, 환원력과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의 소거능이 가장 뛰어났다. 흥미롭게도, 이들 시료의 총페놀 함량과 그들의 항산화능과의 상관도는 높게 나타났다. 모든 시료에서 인간대장세포인 HCT-116에서 항암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황흑산은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낸 길경탕보다도 7배 높은 항암활성을 보였다. 또한, 대장균인 Escherichia coli와 위염을 발생시키는 Helicobacter pylori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시행한 결과 사간탕, 소청룡탕, 십육미류기음과 황흑산에서 항균활성이 보였다.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약재 처방전은 항산화와 생리활성물질의 소재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R.) 수피의 화장품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runus Sargentii R.)

  • 박정미;이진영;박태순;현석준;김한혁;조영제;권오준;손애량;김동석;안봉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70-78
    • /
    • 2008
  • 산벚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것으로, 수피인 화피의 radical 소거능과 항염증 효과가 보고되고 있어, 이를 이용하여 화장품 원료로 이용하고자 생리활성을 검증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에탄올추출물 500 ppm에서 92%의 효능을 보여 열수추출물 59% 보다 우수하였고, SOD 유사활성의 경우 열수추출물 1,000 ppm에서 에탄올추출물의 경우는 50%의 활성능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500 ppm의 농도에서 열수추출물의 경우 40%,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60%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지방산패 억제능 측정의 경우 $Cu^{2+}$에 의한 저해 효과는 열수추출물보다 에탄올추출물의 효과가 높았으며, $Fe^{2+}$에 의한 저해 효과는 열수와 에탄올추출물 모두 500 ppm에서 80% 이상의 저해능을 보였다. 피부미백과 관련된 tyrosinase 저해능의 경우 1,000 ppm에서 열수추출물의 경우는 26%,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20%의 저해능을 보였다. 항염증과 관련된 hyaluronidase 저해능의 경우 500ppm에서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96%의 효능을 보였다. 산벚나무 수피추출물의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및 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저해환형성을 관찰한 결과 열수추출물보다 에탄올추출물의 효능이 더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