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amnolipid biosurfactant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8초

An Efficiency Evaluation of Iron Concentrates Flotation Using Rhamnolipid Biosurfactant as a Frothing Reagent

  • Khoshdast, Hamid;Sam, Abbas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9-15
    • /
    • 2012
  • The effect of a rhamnolipid biosurfactant produced by a Pseudomonas aeruginosa MA01 strain on desulfurization of iron concentrates was studied. Surface tension measurement and frothing characterization indicated better surface activity and frothability of rhamnolipid compared to methyl isobutyl carbinol (MIBC) as an operating frother. Reverse flotation tests using rhamnolipid either as a sole frother or mixed with MIBC, showed that the desulfurization process is more efficient at pH 4.5 and high concentration of rhamnolipid in the presence of MIBC. However, under these conditions water recovery decreased due to the change in rhamnolipid aggregates morphology.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eemed promising to introduce the biosurfactant from Pseudomonas aeruginosa as a new frother.

유류오염토양에서 분리된 Pseudomonas aeroginosa를 이용한 생물계면활성제 glycolipid 생산

  • 임영경;오영숙;정욱진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97-500
    • /
    • 2000
  • 유류오염토양에서 분리한 유류분해균주 중 계면장력 저하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aeruginosa D2D2로 판명되었다. 탄소원으로 glucose와 olive oil을 각 1.5%씩 첨가하였을 때 표면장력이 27.9 dyne/cm로 표면장력 저하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냈다. 생산된 biosurfactant로 ethly acetate 추출하여 crude biosurfactant를 얻었으며, TLC 분석한 결과 glycolipid계열의 biosurfactant임을 확인하였다.

  • PDF

Biosurfactant Production from Novel Air Isolate NITT6L: Screening, Characterization and Optimization of Media

  • Vanavil, B.;Perumalsamy, M.;Rao, A. Seshagir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9호
    • /
    • pp.1229-1243
    • /
    • 2013
  • In this paper, an air isolate (NITT6L) has been screened based on hemolytic activity, emulsification activity, drop collapsing test, and oil displacement test, as well as lipase activity. It was found that strain NITT6L was able to reduce the surface tension of the medium from 61.5 to 39.83 mN/m and could form stable emulsions with tested vegetable oils. Morphological, biochemical, 16S rRNA sequencing analyses, and fatty acid methyl ester analysis using gas chromatography confirmed that the air isolate under study was Pseudomonas aeruginosa. Characterization of the biosurfactant using agar double diffusion assay revealed that the biosurfactant was anionic in nature, and CTAB-methylene blue assay and Molisch test revealed its glycolipid nature. The FT-IR spectrum confirmed that the crude biosurfactant was a rhamnolipid. Using unoptimized medium containing sucrose as the carbon source, the isolate was found to produce 0.3 mg/ml of rhamnolipid in batch cultivation (shake flask) at $37^{\circ}C$ and pH 7. Optimization of the medium components was carried out using design of experiments and the yield of rhamnolipid has been enhanced to 4.6 mg/ml in 72 h of fermentation.

생물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디이젤 오염토양세척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ediation of Diesel-Contaminated Soil by Biosurfactant- Enhanced Soil Washing)

  • 문혜준;임영경;김윤관;주춘성;방기연;정욱진;이승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2호
    • /
    • pp.13-2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 오염된 디이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토양세척 기술 중에서 적절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토양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유해 유기물질의 표면장력을 약화시켜 제거하는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 생분해성이 우수하고 2차 오염문제가 없는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였다. P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를 이용하여 생산된 생물계면활성제인 rhamnolipid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화학계면활성제와의 디이젤 세척효능을 비교분석하였다. 회분식, 연속식 세척실험 결과 디이젤 오염토양 초기농도 5,000ppm에서 계면활성제 1%, 세척시간 24시간 경과 후 본 연구에서 생산된 rhamnolipid의 세척효율이 모두 약 95%로 사용된 계면활성제 중에서 가장 우수한 세척효율을 보였다. 화학계면활성제들은 대부분 50∼80% 미만의 세척효율을 나타내었으며, HLB값이 8에서 15사이에서의 화학계면활성제의 경우 75%이상의 분해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HLB값이 8이하이거나 15이상에서는 60%이하의 낮은 디이젤 분해효율을 나타내었다.

당지질계 미생물 계면활성제에 관한 연구(제 1 보) Pseudomonas sp. 13에 의한 Rhamnolipid의 생성에 있어 배지의 최적효과 (Studies on the Glycolipid Biosurfactant(1) The Optimum Effect of Medium of Rhamnolipid by Pseudomonas sp. 13)

  • 이선주;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4권1호
    • /
    • pp.41-45
    • /
    • 1993
  • Rescently we are interested in the biosurfactant. Biosurfactant have a low toxcity and easily biodegradable compound. Pseudomonas sp. 13 was isolated from soil. This microorganism produced biosurfactant that consists of glycolipid R-1 and R-2. A time course study of fermentation indicated that the appearance of glycolipid in the fermentation broth the commencement of the stationary phase with the respect to biomass. The effect of variation of the media components such as amount of glucose, nitrogen, phosphate and metal ions has been investigated. The following values found to be optimum for biosurfactant production (glucose, $20g/{\ell}$; carbon to nitrogen ratio, 40; carbon to phosphate, 18; $FeSO_4{\cdot}7H_2O\;20mg/{\ell}$).

  • PDF

Rhamnolipid B에 의한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과 역병의 억제효과 (Suppression Effect of Gray Mold and Late Blight on Tomato Plants by Rhamnolipid B)

  • 안지예;박명수;김슬기;최경자;장경수;최용호;최재을;김인선;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22-229
    • /
    • 2009
  • 기계유가 심하게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고 항균활성과 살충활성을 보이는 Pseudomonas sp. SG3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 길항세균은 시험한 8개의 식물병원곰팡이 모두에 대하여 균사생육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in vivo assay에서는 SG3 액체 배양액 처리시 벼도열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붉은녹병, 보리 흰가루병 및 고추 탄저병에 강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액체배양액으로부터 ethyl acetate 추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preparative HPLC 등을 통하여 한 개의 항균물질을 분리하였다. 질량분석과 핵자기공명분석을 통해 분리한 물질의 구조를 동정한 결과 rhamnolipid B로 동정되었다. Rhamnolipid B는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과 토마토 역병에 높은 방제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토마토 잿빛곰팡이병균인 B. cinerea의 균사 생장과 토마토 역병균인 P. infestans의 유주자 발아 및 균사 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Rhamnolipid B를 생산하는 Pseudomonas sp. SG3는 토마토에서 발생하는 식물병을 방제하는 새로운 생물방제제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물계면활성제를 이용한 Phenanthrene의 생물학적 처리 (Enhanced Bioremediation of Phenanthrene Using Biosurfactant)

  • 신경희;김경웅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5호
    • /
    • pp.375-38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생물계면활성제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용액의 pH 변화가 phenanthrene의 용해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수용액 시스템에서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PAHs-분해균주가 phenanthrene을 분해할 경우 이러한 용해도의 변화가 분해균주의 활성과 전체 분해율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 rhamnolipid와 비이온계 합성계면활성제 tween 80의 phenanthrene에 대한 solubilization capacity를 조사하기 위한 회분식 실험의 결과 MSR (Molar Solubilization Ratio)은 각각 0.0425와 0.1449로 나타났으며, 생물계면활성제 첨가로 인한 phenanthrene olubilization 기작이 평형에 도달하기 위한 시간은 24시간 정도로 나타났다. 임계마이셀 농도의 약 4.3배에 해당하는 240ppm의 생물계면활성제를 첨가하였을 경우, 증류수만을 첨가하였을 경우 용해도보다 약 9배 이상 phenanthrene의 용해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생물계면활성제의 pH 변화가 phenanthrene solubility에 주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장 높은 용해도를 나타낸 pH는 240ppm과 2000ppm의 생물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경우 모두 pH 범위 4.5-5.5로 나타났다. 이는 rhamnolipid의 친수성 부분의 음전하 세기가 pH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생물계면 활성제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pH의 변화가 phenanthrene 분해균주인 CRE7의 생장률과 분해능에 주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최대 비성장률은 pH 6에서 나타났지만, pH 5-7 범위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러한 비성장률의 차이가 분해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높은 비성장률은 결과적으로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졌다. 생물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경우, 생물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결과에 비교해 볼 때, pH 4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비성장률이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며, 전체 분해율도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생물계면활성제의 첨가로 인해 pH 5에서의 비성장률은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약 1.5배 증가하였으며, 이는 생물계면활성제가 phenanthrene의 용해도를 pH 5에서 약 5배이상 증가시킨 것과 비교하여 볼 때, 그 증가폭이 적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생물계면활성제의 첨가로 인해 마이셀 구조안으로 용해되어진 phenanthrene 의 경우 분해균주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분해되기 어렵다는 것을 말해주며, pH에 따라 나타나는 서로 다른 구조의 phenanthrene-rhamnolipid의 집합체는 생물학적 이용도 또한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Pseudomonas aeruginosa JRT-4에 의해 생산된 Biosurfactant의 계면활성 및 환경적 특성 (Surface-activit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 Produced by Pseudomonas aeruginosa JRT-4)

  • 황경아;이정래;김상종;김윤석;안호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9-165
    • /
    • 1999
  • Pseudomonas aeruginosa JRT-4 strain was used as a biosurfactant-producing microorganism in this study. It was one of the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sewage sludge, the main and branch streams of Han river. The surface tension of the culture broth of P. aeruginosa JRT-4 decreased to 30mN/m. The crude biosurfactant was obtained from the culture broth by acid precipitation, solvent extraction, evaporation, and freeze drying. The CMC value of the crude biosurfactant was 0.006%(w/v). From analysis of the chemical structure of biosurfactant, it was determined as rhamnolipid 1 and 3 structures by FAB mass spectrometer. In the washing test for artificially contaminated textiles, the biosurfactant showed better bleachness than the two chemically synthesized surfactant, LAS and SLES. Finally, the biodegradation and ecotoxidolorical tests showed that the biosurfactant was readily biodegradable in the environment and a mild material for microorganisms and green algae.

  • PDF

Pseudomonas aeruginosa YPJ-80에 의한 생물계면활성제 생산에 미치는 pH 및 온도의 영향과 생물계면활성제의 분리 (Effect of pH and Temperature on the Production of Biosurfactant by Pseudomonas aeruginosa YPJ-80 and Its Separation)

  • 박창호;손창규;김성훈;안도균
    • KSBB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511-517
    • /
    • 1998
  • Temperature and pH conditions were studied for an effective biosurfactant production by Pseudomonas aeruginosa YPJ-80. Efficient methods of biosurfactant separation were also investigated. pH-uncontrolled experiments at 35$^{\circ}C$ and an initial pH of 8 resulted in the best cell growth (3.6 g/L) and biosurfactant production (0.073 g biosurfactant/g cell). Biosurfactant separation was most efficient using solvent extraction with chloroform/methanol (2:1 vol%) followed by acidification using 1N HCl.

  • PDF

당 지질계 미생물 계면활성제에 관한 연구(제2보);Pseudomonas sp. 13에 의한 Rhamnolipid의 생성 및 분리 (Studies on the Glycolipid Biosurfactant(2);The Rhamnolipid Production and Isolation by Pseudomonas sp. 13)

  • 이선주;남기대;박흥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7-163
    • /
    • 1992
  • A microorganism, isolated from soil and designated Pseudomonas sp13, produced two kinds of rhamnolipid in the medium containing glucose as carbon source. There were both rhamnolipid contain L-rhamnose and ${\beta}$-hydroxydecanoic acid. Coumpound A and B elucted chloroform-methanol mixed solution of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and recrystallized from a mixture of ether and n-hexane.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se products reveled that compound A is L-rhamnopyranosyl-${\beta}$-hydroxydecanoyl-${\beta}$-hydroxydecanoic acid and compound B is L-rhamnopyranosyl-L-rhamnopyranosyl-${\beta}$-hydroxydecanoyl-${\beta}$-hydroxydecanoic ac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