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onship ability

검색결과 2,059건 처리시간 0.026초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과의 융합 관계 (Convergence relationship of Self-esteem, Empathy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dental hygiene students)

  • 이성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7-9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과의 융합 관계를 파악하고자 전북지역 치위생과 35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oftware program 22.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대인관계능력은 건강상태(p=0.005)와 전공만족도(p=0.00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600, p<0.01).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주는 융합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이었으며(p<0.001) 설명력은 38.0%였다. 따라서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치위생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직 인식 영향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 Perception of Nursing Student)

  • 유영선;공경란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4-24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rsing profession percep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with a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305 nursing students in U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30 to June 15, 2019.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terpersonal trust (F=5.42, p<.001), empathy ability (F=3.13, p=.015),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F=3.64, p=.006) and nursing profession perception (F=11.95, p<.001) on the major satisfaction. The level of interpersonal trust (r=.21, p<.001), empathy ability (r=.27, p<.001)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r=.28,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rofession perception. Also empathy ability (r=.11, p=.047),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r=.49, p<.001) with interpersonal trust and correlation of empathy ability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r=.32,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nursing profession perception were grade, major satisfaction, empathy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ese factors were responsible for 21.3%.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ducational programs are necessary to raise the nursing perception of nursing students and reduce the turnover of nurses.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Teacher-Young Child Relationship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 우희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5-165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teacher-young child relationship and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A survey was conducted on a random sample of 252 young children aged 3-5 years attending a nursery in Gwang-ju, Korea. Based on the data, Person's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teacher-young child relationship and self-esteem on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the young children.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teacher-young child relationship (intimacy) and self-esteem as well as self-regulation ability.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among the teacher-young child relationship (conflict, dependence) and self-esteem as well as self-regulation ability. Second,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young child relationship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e results suggest that self-esteem may affect the self-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as a mediating response to the teacher-young child relationship.

간호대학생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외모만족도,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Body-Image, and Self-Estee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김효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2-7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body-image, and self-estee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designed a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he subjects were 753 nursing students of three nursing colleges.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collected from April 1 to May 31, 2011.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WIN (ver.12.0). Results: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ccording to gender, economic status and physical health status. Th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body-image and self-esteem.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showed physical health status, body-image and self-esteem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ese three predictors accounted for 37% of the varia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Conclusion: Physical health status, body-image and self-esteem were the predictors influe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erefore,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유아의 언어능력, 정서조절이 또래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갈등 관계의 조절 및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 among Child'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Victimization: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Role of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 이원미;권연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252-1264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among child'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victimization. The participants were 152 children(77 boys, 75 girls) and 14 preschool teachers. Th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 child's emotional regulation, peer victimiza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Child's language ability was assessed by researcher using PRES(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ed that peer victimization was related to child's language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Hierarchical ag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of child's receptive language ability and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predicated peer victimization. Child's language ability, whose demonstrated a lower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with peer victimization. In addition, the association between a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 victimiz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유아의 활동성 기질과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어머니-유아 관계,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Child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 서은희;이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2호
    • /
    • pp.27-4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child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236 mothers and 15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children, who were 5 years old in kindergartens or childcare faciliti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key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hildren's activity temperament exerted negative influence over their behavioral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ability. Secondly, it was found that an affectionat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was proven to have some moderating effect, thu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a child. Anyway,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the rejection in mother-child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a child. Thirdly, it was found that both intimacy and conflict in teacher-child relationships had no moderating effects when it cam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young children.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능력 (Ego resilience,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채명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95-103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과 청주 소재의 간호대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2일부터 12월 11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SPSS WIN 18.0을 이용한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자아탄력성,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은 중간수준 이상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학년, 입학 동기, 대학생활 만족도, 간호학 전공 만족도, 동아리 활동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공감능력은 학년, 대학생활 만족도, 간호학 전공 만족도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은 학년, 건강상태, 대학생활 만족도, 간호학 전공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능력의 영향요인은 자아탄력성 (${\beta}=.488$, p<.001), 공감능력 (${\beta}=.378$, p<.001)으로 나타났고,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47.2%였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탄력성을 유의한 변수로 규명한 것은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과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 효율적인 관리와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사군자 기질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 차이 (Difference of Sagunja Temperament type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 정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85-395
    • /
    • 2017
  • 본 연구는 사군자 기질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간의 차이 연구이다. 부산 소재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기질 유형은 국화, 난초, 매화, 대나무 기질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군자 기질 유형별 의사소통 능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나무 기질의 의사소통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매화, 난초, 국화 기질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군자기질 유형에 따른 대인관계 능력은 자기노출하기, 대인갈등 다루기를 제외한 '처음관계 맺기'와 '타인 불쾌감 주장하기', '정서적지지 및 조언하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본 연구는 사군자기질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한국인 정서에 맞는 사군자기질을 접목하여 우리 전통을 다양한 측면에서 재해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 양현주;변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557-564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 2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평균 2.62±0.62점, 대인관계능력 평균 3.74±0.62점, 대학생활적응 평균 3.38±0.58점이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지각된 스트레스(r=-.478, p<.001)와 부적상관관계, 대인관계능력(r=.617,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이 부분매개효과(β=.629, p<.001)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지각된 스트레스를 줄이고 대인관계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대인관계 능력, 대인관계 만족도 및 스트레스와 학과만족도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tress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최미현;이혜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60-16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대인관계 능력, 대인관계 만족도 및 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고, 학과만족도와의 관련성 규명을 통하여 대학 생활 적응에 필요한 긍정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치위생과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대인관계 능력, 대인관계 만족도, 스트레스, 학과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시행한 결과, 대인관계 능력은 학과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 스트레스는 학과만족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치위생과 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과 이해도, 대인관계 능력이 학과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주어 치위생과 학생의 학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대인관계 능력과 학과 이해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일반화에 제한이 있으나, 학과만족도와 관련된 요인에 대한 보완자료로 의의가 있으며, 학생들의 학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대인관계능력 및 학과 관련 정보제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