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Rc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18초

압출 성형 인삼의 항산화 활성 증강 효과 (Effect of the Extruded Ginseng on Antioxidant Activity)

  • 김성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02-408
    • /
    • 2007
  • 최근 식품 및 천연 물질로부터 항산화 작용이 있는 생리 활성 물질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양권에서 전통적으로 자양강장을 목적으로 많이 사용해온 인삼을 압출 성형 기술에 의해 가공한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고 감압 농축한 에탄올엑기스와 이를 에테르를 이용하여 지방 성분을 제거한 후 수포화 부탄올 처리한 부탄올 분획과 물 분획을 얻었다. 인삼과 압출 성형 인삼의 부탄올 층을 각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인삼 사포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압출성형 인삼이 대조 인삼에 비해 ginsenoside Rg1의 경우 약 2.2배, Re의 경우 약 2.3배, Rc의 경우 약 1.2배, Rb2의 경우 약 1.3배, Rd의 경우 약 2.2배의 사포닌 함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ORAC 방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실험 결과, 압출 성형 인삼의 경우 인삼 중의 여러 유효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80% 에탄올 추출분 획과 일반적으로 사포닌 성분을 많이 함유한 부탄올 분획은 물론이고, 사포닌 함량이 거의 없는 수층 분획 모두에서 대조 인삼의 분획들에 비해 유의성 있는 증가 (0.05

  • PDF

ORAC Assay 에 의한 인삼의 항산화 활성 연구 (Determination of the Antioxidant Capacity of Korean Ginseng Using an ORAC Assay)

  • 김성환;김영목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93-401
    • /
    • 2007
  • 인삼의 여러 생리 활성 가운데 항산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백삼(6 년근), 백삼(5 년근), 피부백삼(5 년근), 피부백삼 (4 년근) 의 80% 에탄올 엑기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수포화 부탄올 분획, 물 분획을 얻은 후 LC/Mass 를 사용하여 사포닌 함량을 조사하고 기존의 여러 가지 항산화 작용 측정 방법들의 오류를 없애고 더욱 정확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대처 방안으로 선정된 ORAC Assay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인삼 중 사포닌은 ginsenoside Rg 1 과 Rb1 이 주요 성분으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Rc, Rb2, Re 등이 뒤를 이었고, 그밖에도 Rd, Rg3, Rh1가 널리 분포하고 있었다. 피부백삼 5 년근의 경우 에탄올 엑기스와 수포화 부탄올 분획에서 다른 인삼 분획에 비해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나 실험의 한계상 인삼 재배기간과 인삼 종류별 각각의 분획에 대한 사포닌 함량 비교는 어려웠다. 인삼의 각 분획별 항산화 활성은 80% 에탄올 엑기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수포화 부탄올 분획, 물 분획 모두에서 나타났고 비교적 전체 유기 용매 분획의 값이 비슷하였으며, 수층 분획이 다소 낮은 활성을 보였다. 검체 인삼들의 각 용매추출 분획 상호간의 유의성 비교에서는 모든 인삼 검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만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5). 인삼 중 항산화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층으로 이행되는 폴리페놀 계통 성분이나 일부 비극성의 사포닌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모든 분획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들 외에 산성 다당체, 당 단백질, 수용성 다당류 등 다른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왜생삼 (Panax trifolius L.)의 사포닌과 프라보노이드의 화학적 연구 및 오가과에 속하는 유연종과의 성분 비교연구 (A Chemical Study of the Saponins and Flavonoids of Dwarf Ginseng (Panax trifolius L.) and Its Comparison to Related Species in the Araliaceae)

  • Lee Taikwang M.;Marderosian Ara Der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141-146
    • /
    • 1988
  • 북미가 원산지인 왜생삼(Panax trifolius L.)은 인삼속(오가과)에 속하며 카나다 남부에서 북미에 걸쳐 서식한다. 왜생삼 잎에서 4종류의 프라보느이드와 5종류의 진세노사이드로 확인된 총 9종류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2종류의 진세노사이드로 확인된 총 9종류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2종류의 프라보노이드는 kaempferol-3,7-dirhamnoside와 kaempferol-3-gluco-7rhamnoside로 각각 확인되었다. 4종류의 진세노사이드는 각각 notoginsenoside-Fe, ginsenoside-Rd, ginsenoside-Rc와 ginsenoside-$Rb_3$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왜생삼의 ginsenoside 공통된 골격구조는 (20S)-protopanaxadiol인 것으로 밝혀졌다. 프라보노이드와 진세노사드의 동정은 왜생삼의 뿌리, 줄기, 잎, 꽃과 열매에서 추출하여 2차원 박층 그로마토그라피(2D-TLC)와 고압 액체크로마토그라피(HPLC)로 하였다. 왜생삼과 근연종인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및 미국삼(Panx quinquefolium L.)의 뿌리, 줄기, 잎, 꽃과 열매에서 추출한 프라보노이드와 진세노시드의 정량은 고압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만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화합물 1,3과 4로 명명한 kaempferol 유도체인 프라보노이드 3가지는 왜생삼의 뿌리에 $10.8\%,\;2.8\%$$8.4\%$가 각기 함유되어 있었으나 고려인삼과 미국삼에서는 함유되어 있지 않았다. 오가과 인삼속식물 뿌리에서 프라보노이드가 확인, 동정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

  • PDF

유기농 인삼과 관행 인삼의 토양화학성 및 진세노이드 함량 비교 (Comparison of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under Organic and Conventional Cultivation Systems)

  • 모황성;임진수;유진;박기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09-522
    • /
    • 2015
  • 유기농 인삼 재배는 소비자들의 안정적인 농산물의 요구에 따라 급증한다. 반면에 유기농과 관행 인삼재배의 토양 무기성분 및 인삼의 진세노사이드함량 차이에 관한 연구는 아직 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양화학성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비교해 관행인삼과 유기농인삼의 차이를 구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질산태 질소, 가용성인산, 치환성 칼륨함량은 유기농재배와 관행재배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비록 유의성 있게 차이는 없었지만 총 진세노사이드함량 뿐만 아니라 대부분 개별 진세노사이드는 관행재배 인삼보다 유기농재배 인삼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유기농 인삼은 관행인삼에 비해 PT계열의 사포닌 보다 PD계열의 사포닌 함량이 더 높았다. 질산태 질소는 Ginsenoside $Rb_2$, Rd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유효인산함량은 $Rb_1$, Rc, PD/PT비율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삼의 Ginsenosdie 성분들을 증가시키려면 질산태 질소과 인삼함량을 줄이고 유기물함량을 높여야 한다.

무선조종 헬리콥터를 이용한 소규모 인공 습지의 식생피복율 변화 모니터링 (Monitoring the Vegetation Coverage Rate of Small Artificial Wetland Using Radio Controlled Helicopter)

  • 이춘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1-8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small RC(radio controlled) helicopter and single lens reflect camera as SFAP(Small Format Aerial Photography) aquisition system to monitor the vegetation coverage of wetland. The system used to take pictures of small artificial wetland were a common optical camera(Nikon F80 with manual lens whose focal length was 28mm) attached to the bottom of a RC helicopter with a 50 cubic inch size glow engine. Three hundreds pictures were taken at the altitude of 50m above the ground, from 23rd June to 7th September 2005. Four from the images were selected and scanned to digital images whose dimension were 2048${\times}$1357 pixels. Those images were processed and rectified with GCP(Ground Control Poins) and digital map, and then classified by the supervised- classification module of image processing program PG-steamer Version 2.2.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final images processed had very high spatial resolution so that the objects bigger than 30mm like lotus(Nelumbo nucifera), rock and deck were easily identified. 2. The dominant plants of the monitoring site were Monochoria ragianlis, Typha latifolia, Beckmannia syzigachne etc. Because those species have narrow and long leaves and form irregular biomass, the individuals were hardly identifiable, but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were easily identifiable depending on the color difference. 3. The area covered by vegetation was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first month of monitoring. At the beginning of the monitoring 23th June 2005, The rate of area covered by vegetation were only 34%, but after 27 and 60 days it increased to 74%, and the 86% respectively.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인삼(人蔘)의 근(根) 엽(葉) 및 경(莖)의 saponin 및 sapogenin화합물(化合物) 동정(同定) (Identification of Saponin and Sapogenin in Root, Leaf and Stem of Ginseng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 최강주;김석창;김만욱;남기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40-344
    • /
    • 1987
  • 인삼(人蔘)의 근(根) 및 지상부(地上部) 사포닌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로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인삼근(人蔘根)에 함유된 사포닌 중 $ginsenoside-Re,\;-Rg_1,\;-Rc,\;-Rf,\;-Rb_2$$-Rb_1$ 은 각각 엽(葉)과 경(莖)에서도 동정(同定)되었으며 이외에도 엽(葉)에서 10개과 경(莖)에서 9개의 unknown spot를 동정(同定)할 수 있었다. 또한 부위별(部位別) 총(總)사포닌을 50% 초산으로 온화한 조건에서 산(酸) 가수분해(加水分解)하여 생성(生成)된 prosapogenin의 조사결과(調査結果), panaxadiol계 사포닌 및 ginsenoside-Re의 산(酸)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인 $ginsenoside-Rg_3$$ginsenoside-Rg_2$가 각각 동정(同定)되었다. 한편 근(根), 엽(葉) 및 경(莖)의 총사포닌을 황산 가수분해(加水分解)하여 sapogenin 조사결과, 근(根)에서는 panaxadiol, panax atriol 및 oleanolic acid가 검출되었고, 엽(葉)과 경(莖)에서는 panaxatriol 및 panaxadiol만이 동정(同定)되었다.

  • PDF

UMTS용 수신기를 위한 저 전력 CMOS 연속-시간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 (A Low-Power CMOS Continuous-Time Sigma-Delta Modulator for UMTS Receivers)

  • 임진업;최중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4권8호
    • /
    • pp.65-7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UMTS용 수신기를 위한 저 전력 CMOS 연속-시간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에 대해 논한다. 저 전력 동작수행을 위한 연속 시간 모듈레이터의 루프 필터는 선형성이 우수하고, 튜닝 회로가 비교적 간단한 active-RC 필터로 구성하였다. 본 모듈레이터의 구조는 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해 24의 OSR (Oversampling Ratio)의 3차 4비트 단일 루프로 구성하였고, 초과 루프 지연 시간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반주기 지연 제환 경로를 추가하였다. 제작한 회로의 SNR, SNDR, Dynamic range는 각각 71dB, 65dB, 74dB로 측정되었다. 설계한 연속-시간 시그마-델타 모듈레이터는 0.18-um CMOS 표준공정으로 제작하였고, 1.8V의 단일 전원 전압에서 15mW의 전력을 소모한다.

Metabolite Analysis of Panax ginseng C. A. Meyer by HPLC According to Root Age

  • Shin, Yoo-Su;Lee, Min-Jeong;Bang, Kyong-Hwan;Kim, Seon-Young;Lee, Sung-Sik;Hyun, Dong-Yoon;An, Tae-Jin;Cha, Seon-Woo;Seong, Nak-Su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636-640
    • /
    • 200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ajor metabolite patterns of aged Panax ginseng C.A. Meyer roots, the ginsenoside contents for white ginseng roots of various ages were compared. The 1-year to 6-year old root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then the methanol-soluble metabolite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metabolite contents of the 1-year and 2-year roots, including the ginsenosides and minor components, were not different, but the $Rg_1$, Re, and Rc ginsenoside contents between the 2-year and 3-year roo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Rg_1$ and Rc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1-year to 2-year roots, and R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3-year root age. Rd increased slightly until the 2-year age and decreased from the 3-year age. Based on the ginsenoside distributions and contents at various root ages, we have suggested 2 biogenesis schemes using the ginsenosides that have been isolated from the roots of P. ginseng so far.

The Inhibition of Epileptogenesis During Status Epilepticus by Ginsenosides of Korean Red Ginseng and Ginseng Cell Culture (Dan25)

  • N.E., Chepurnova;Park, Jin-Kyu;O.M., Redkozubova;A.A., Pravdukhina;K.R., Abbasova;E.V., Buzinova;A.A., Mirina;D.A., Chepurnova;A.A., Dubina;U.A., Pirogov;M., De Curtis;L., Uva;S.A., Chepurnov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159-174
    • /
    • 2007
  • Pharmacology of Korean Red ginseng gives us unique possibility to develop new class of antiepileptic drugs today and to improve one's biological activity. The chemical structures of ginsenosides (GS) have some principal differences from well-known antiepileptic new generation drugs. The antiepileptic effect of GS was also demonstrated in all models of epilepsy in rats (young and adult), which have studied, in all models of epilepsy including status epilepticus (SE), induced by lithium - pilocarpine. In our experiments in rats new evidences on protective effects were exerted as a result of premedication by GS. Pre-treatment of several GS could induce decrease of the seizures severity and brain structural damage (by MRI), neuronal degeneration in hippocampus. Wave nature of severity of motor seizures during convulsive SE was observed during lithium-pilocarpine model of SE in rats (the first increase of seizures was 30 min after the beginning of SE and the second - 90 min after. The efficacy of treatment on SE by ginsenoside as expected was observed after no less 3 weeks by daily GS i.p. administration. It is blocked SE or significantly decrease the severity of seizures during SE. The implication of presented data is that combination of ginsenosides from Korean Red ginseng and ginseng cell culture Dan25 that could be applied for prevention of epileptical status development. However, a development of optimal ratio of different ginsenosides $(Rb_1$ Rc, Rg, Rf,) should consummate in the new antiepileptic drug development.

Increase in the Contents of Ginsenosides in Raw Ginseng Roots in Response to Exposure to 450 and 470 nm Light from Light-Emitting Diodes

  • Park, Sang-Un;Ahn, Deok-Jong;Jeon, Hyeon-Jeong;Kwon, Tae-Ryong;Lim, Hyoun-Sub;Choi, Bo-Seong;Baek, Kwang-Hyun;Bae, Han-H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198-204
    • /
    • 2012
  • An light-emitting diode (LED)-based light source was used as a monochromatic light source to determine the responses of raw ginseng roots (Panax ginseng Meyer) to specific emission spectra with respect to the production of ginsenosides. The ginsenoside content in the ginseng roots changed in response to the LED light treatments at $25^{\circ}C$ relative to the levels in the control roots that were treated in the dark or at $4^{\circ}C$ for 7 d. Ginseng roots were exposed to LEDs with four different peak emission wavelengths, 380, 450, 470, and 660 nm, in closed compart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4^{\circ}C$-treated roots, roots that were treated with 450 and 470 nm light showed a significantly increased production of ginsenosides (p<0.05), with increases of 64.9% and 74.1%,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he ginsenosides $Rb_2$, Rc, and $Rg_1$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he 450 and 470 nm-treated root samples. The ratio of protopanaxadiol ginsenosides ($Rb_1$, $Rb_2$, Rc, and Rd) to protopanaxatriol ginsenosides ($Rb_1$, $Rb_2$, Re, and Rf)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he 450 and 470 nm-treated root samples than in the control $4^{\circ}C$-treated roots.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demonstrates the increase and conversion of ginsenosides in raw ginseng roots in response to exposure to LED l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