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ve Convergence Analysis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31초

An improved sparsity-aware normalized least-mean-square scheme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 Anand, Kumar;Prashant Kumar
    • ETRI Journal
    • /
    • 제45권3호
    • /
    • pp.379-393
    • /
    • 2023
  • Underwater communication (UWC) is widely used in coastal surveillance and early warning systems. Precise channel estimation is vital for efficient and reliable UWC. The sparse direct-adaptive filtering algorithms have become popular in UWC. Herein, we present an improved adaptive convex-combination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sparse structures using a reweighted normalized leastmean-square (RNLMS) algorithm. Moreover, to make RNLMS algorithm independent of the reweighted l1-norm parameter, a modified sparsity-aware adaptive zero-attracting RNLMS (AZA-RNLMS) algorithm is introduced to ensure accurate modeling. In addition, we present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is algorithm to evaluate the convergence speed and accuracy. Furthermore, we derive an excess mean-square-error expression that proves that the AZA-RNLMS algorithm performs better for the harsh underwater channel. The measured data from the experimental channel of SPACE08 is used for simulation, and results are presen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The simulation results confirm that the proposed algorithm for underwater channel estimation performs better than the earlier schemes.

암호화된 동영상 비식별화율의 정량적 분석 방법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for Encrypted Video)

  • 김덕한;김영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93-195
    • /
    • 2023
  • 최근 다양한 동영상 미디어 콘텐츠가 늘어나면서 민감한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 또한 높아졌다. 이에 따라 다양한 동영상 비식별화 기법이 연구되었고, 그중에서 동영상 암호화 기술은 별도로 원본 동영상을 보관하지 않아도 복호화를 통해 원본 동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계속해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많은 동영상 암호화 연구에서는 암호화된 동영상의 비식별성을 입증하기 위해 기존의 이미지 암호화 연구에서 사용되던 평가 지표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표들은 암호화된 동영상의 비식별성을 입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암호화된 동영상이 전체 구간에서 비식별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지표들을 가중 합산하여 동영상의 모든 프레임에 대해 측정하고 이를 그래프로 표현하여 분석한다. 이 방법을 통해 암호화된 동영상에서 비식별화가 정상적으로 적용되지 않은 부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건설안전사고 빅데이터 분석 (Big Data Analytics of Construction Safety Incidents Using Text Mining)

  • 서정욱;송지훈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581-590
    • /
    • 2024
  • This study aims to extract key topics through text mining of incident records (incident history, post-incident measures, preventive measures) from construction safety accident case data available on the public data portal. It also seeks to provide fundamental insights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manuals for disaster prevention by identifying correlations between these topics. After pre-processing the input data, we used the LDA-based topic modeling technique to derive the main topics. Consequently, we obtained five topics related to incident history, and four topics each related to post-incident measures and preventive measures. Although no dominant patterns emerged from the topic pattern analysis, the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provides quantitative information on the follow-up actions related to the incident history, thereby suggest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preventive decision-making system through the linkage between accident history and subsequent measures for reccurrence prevention.

구강상피세포의 배양환경의 차이에 의한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유전자 발현의 융복합 분석 (The Convergence Analysis of Microarray-Based Gene Expression by Difference of Culture Environment in Human Oral Epithelial Cells)

  • 손화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81-89
    • /
    • 2019
  • 이 연구는 HPV 16 E6/E7 도입 불멸화 구강상피세포의 배양 미세환경과 세포 분화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배양환경을 변화시켜서 IHOK-EF 세포와 IHOK-EFKGM 세포를 얻었고, 이들 세포의 특성변화를 세포증식분석, 면역형광분석 및 마이크로어레이와 실시간 정량 PCR분석으로 알아보았다. IHOK-EF 세포는 상피세포의 특성을 상실하고 간엽세포의 특성을 획득하였고, 마이크로어레이 분석결과, 분화억제 유전자인 ID2, IL6, TWIST1이 과발현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초기의 배양환경으로 회복되었을 때, 특별히, ID2와 IL6에서 유전자발현의 복귀를 나타내면서 세포의 특성이 부분적으로 회복되었다. 이 연구는 세포의 특성을 결정하는 연구에서 배양 미세환경의 변화에 따른 세포의 생존을 위한 적응양상을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이며, 향후, 암세포의 미세환경변화에 따른 생존연구에 적용하여 질병에 대한 치료적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Global Transcriptome Profiling of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under in planta Growth and in vitro Culture Conditions

  • Lee, So Eui;Gupta, Ravi;Jayaramaiah, Ramesha H.;Lee, Seo Hyun;Wang, Yiming;Park, Sang-Ryeol;Kim, Sun T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5호
    • /
    • pp.458-466
    • /
    • 2017
  •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Xoo), the causative agent of bacterial blight, is a major threat to rice productivity. Here, we performed RNA-Seq based transcriptomic analysis of Xoo transcripts isolated under in planta growth (on both susceptible and resistant hosts) and in vitro culture conditions. Our in planta extraction method resulted in successful enrichment of Xoo cells and provided RNA samples of high quality. A total of 4,619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were identified between in planta and in vitro growth conditions. The majority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dentified under in planta growth conditions were related to the nutrient transport, protease activity, stress tolerance, and pathogenicity. Among them, over 1,300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were determined to be secretory, including 184 putative type III effectors that may be involved in Xoo pathogenicity. Expression pattern of some of these identified genes were further validated by semi-quantitative RT-PC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a transcriptome overview of Xoo under in planta and in vitro growth conditions with a focus on its pathogenic processes, deepening our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and pathogenicity of Xoo.

흰쥐 정소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정자변화의 영상처리에 의한 정량분석 (The quantitative analysis by the image processing of sperm changes according to the radiation irradiation of white rat testicle)

  • 나수경;김성인;이언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433-438
    • /
    • 2014
  • 본 연구는 흰쥐의 정소에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정소세포 및 정자의 변화를 현미경학적으로 얻은 영상을 기초로 영상처리에 의한 정량분석을 통하여 정자의 변화에 대한 결과를 정량화함으로써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는 8주 수령의 흰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6 MV의 X선을 1회 2 Gy를 전신 조사하였다. 총 30 마리의 흰쥐를 대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을 조사 즉시, 조사 2시간, 4시간, 8시간, 24시간 후에 각 실험군 마다 5마리의 정소를 각각 적출하였다. 적출 후 Periodic acid Schiff 염색을 시행하여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에서의 정소세포와 정자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24시간까지, 정소세포수와 정자수가 점차 감소하는 것을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Homologous Express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3SS-Dependent Secretion of TAP-Tagged XoAvrBs2 in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Induced by Rice Leaf Extract

  • Kim, S.H.;Lee, S.E.;Hong, M.K.;Song, N.H.;Yoon, B.;Viet, P.T.;Ahn, Y.J.;Lee, B.M.;Jung, J.W.;Kim, K.P.;Han, Y.S.;Kim, J.G.;Kang, L.W.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7호
    • /
    • pp.679-685
    • /
    • 2011
  •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Xoo) produces a putative effector, XoAvrBs2. We expressed XoAvrBs2 homologously in Xoo with a TAP-tag at the C-terminus to enable quantitative analysis of protein expression and secretion. Addition of rice leaf extracts from both Xoo-sensitive and Xoo-resistant rice cultivars to the Xoo cells induced expression of the XoAvrBs2 gene at the transcriptional and translational levels, and also stimulated a remarkable amount of XoAvrBs2 secretion into the medium. In a T3SS-defective Xoo mutant strain, secretion of the TAPtagged XoAvrBs2 was blocked. Thus, we elucidated the transcriptional and translational expressions of the XoAvrBs2 gene in Xoo was induced in vitro by the interaction with rice and the induced secretion of XoAvrBs2 was T3SSdependent. It is the first report to measure the homologous expression and secretion of XoAvrBs2 in vitro by rice leaf extract. Our system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effector protein expression and secretion could be generally used for the study of host-pathogen interactions.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Tea Culture Therapy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of Juvenile Probationers)

  • 김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479-490
    • /
    • 2014
  •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대표적인 특성으로 비행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낮은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적용을 통해 청소년들이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자기효능감에 어떤 변화과정을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양적 분석 및 질적 분석을 병행한 통합적 접근방식이 실행되었다.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에서 체계적 관찰을 통해 이루어진 질적 분석 결과, 청소년들의 태도와 적극적 참여 정도 부분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양적 분석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Automatic Segmentation of Substantia Nigra on Nigrosome and Neuromelanin Sensitive MR Images

  • Kang, Junghwa;Kim, Hyeonha;Kim, Eunjin;Kim, Eunbi;Lee, Hyebin;Shin, Na-young;Nam, Yoonho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5권3호
    • /
    • pp.156-163
    • /
    • 2021
  • Recently, neuromelanin and nigrosome imaging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evaluate the substantia nigra in Parkinson's diseas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potential benefits of quantitative analysis of neuromelanin and nigrosome images in the substantia nigra, although visual assessments have been performed to evaluate structures in most stud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using deep learning based automatic region segmentation technique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ubstantia nigra. The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as trained to automatically segment substantia nigra regions on 3D nigrosome and neuromelanin sensitive MR images obtained from 30 subjects. With a 5-fold cross-validation, the mean calculated dice similarity coefficient between manual and deep learning was 0.70 ± 0.11. Although calculated dice similarity coefficients were relatively low due to empirically drawn margins, selected slices were overlapped for more than two slices of all subject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method could provide reliable localization of substantia nigra regions on neuromelanin and nigrosome sensitive MR images.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학제적 융합 가능성 도출 연구 (Exploration on Possibility of the Disciplinary Convergence of the User Studies and the Research in Practice)

  • 이지연;감미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9-155
    • /
    • 2018
  • 본 연구는 실증적 데이터의 검토 및 분석을 통해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특징을 발견하고,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융합 가능성을 논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용자연구의 개척 및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용연구 분야 중 UX 연구를 선택하여 비교하였고, 이용자연구 영역과 UX 영역의 주제어 및 분야별 중복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국내 이용자연구 3,370개 논문과 국내 UX 연구 2,413개 논문, 국외 이용자연구 3,875개 논문과 국외 UX 연구 2,515개 논문을 수집하였고, 단순 출현빈도를 포함한 계량정보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맵핑 및 순위 선정, 시기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의 이용자연구와 UX 연구 중복도는 국외보다 낮은 편이었고, 분야 간 협업의 활발성이 중복도와 연관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시기별 분석을 통해 이용자연구와 UX 연구간 중복되는 키워드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기에, 향후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 간의 융합이 활발히 일어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