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Q방법론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28초

Q방법론을 활용한 20~30대 마라톤 동호회 활동 참가자의 마라톤 활동에 대한 융합적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Marathon Participants' Convergence Recognition about attending Marathon Activities in their 20s and 30s Using the Q Methodology)

  • 유영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73-8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20~30대 마라톤 동호회 활동 참가자들의 동호회 활동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인간의 주관적 태도나 가치를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고, 수도권에서 마라톤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20~30대의 젊은 마라토너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총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의미부여형으로, 신체활동과 고통 극복 그리고 런너스 하이를 경험하는 등 마라톤 활동의 본질에 의미를 두고 있다. 제2유형은 여가형으로, 일상에서 벗어나 여러 사람들과 마라톤이라는 공통의 취미를 즐기고 개인적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 제3유형은 동호회형으로, 다양한 특성을 가진 동호회원들과 관계를 맺고 동호회 활동을 통한 즐거운 축제를 즐기며 성취감과 개인의 건강 그리고 삶을 관리하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의 주관성에 따라 마라톤의 의미가 몇 개로 유형화됨을 알 수 있고, 이는 젊은이들의 스포츠 문화의 경향을 이해하는 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공계 졸업생의 좋은 대학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Analysis of Subjectivity on Good Universiti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

  • 홍성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45-457
    • /
    • 2022
  • 학생 중심을 표방하는 대학이 늘고 있으나, 학생들이 생각하는 좋은 대학이 어떠한 모습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 연구는 좋은 대학의 여러 특성 중 학생에 따라 어떤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간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연구방법인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이공계열 졸업생의 좋은 대학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로 학생들의 교육 경험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Q 방법론의 연구절차에 따라서 선행 연구와 대학의 질 관리 기준에 기초하여 29개의 진술문을 개발하고, 사회진출에 성공한 이공계열 졸업생 16명에게 진술문을 Q 표본 배열표에 맞게 분류하도록 하였다. 진술문의 선호도에 따라 참여자들은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학생 경험 중심형인 제1유형은 학생이 교내외 다양한 활동과 경험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고 지원하는 대학을 좋은 대학이라 인식했다. 대학 성과 중심형인 제2유형은 취업률, 연구성과, 입학 성적과 같은 지표를 보고 좋은 대학을 판단했다. 교육 활동 중심형인 제3유형은 대학을 하나의 공동체로 인식하며 교수와 학습의 질을 중요하게 여겼다. 이 연구는 학생의 입장에서 좋은 대학에 대한 상대적인 인식 차이를 분석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의 질 관리와 개선을 위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국가 이미지와 브랜드에 관한 유형화 연구: Q방법론 적용을 중심으로 (Typology Study on Brand and National Image: Focus on Q-methodology Application)

  • 이제영;최영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8권
    • /
    • pp.7-39
    • /
    • 2007
  • 이 논문에서는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기업인 삼성의 브랜드가치를 평가해보고, 글로벌 기업이 되기까지의 과정과 삼성의 국가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글로벌 기업이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국가가 자국의 글로벌 기업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심층 설문평가를 통해 분석하고, 나아가 국가와 기업 간의 상호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아울러 이전의 설문조사 방식에서 면밀히 분석하지 않고 간과하기 쉬운 개인의 사고나 느낌 같은 주관적 행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도입하여 좀 더 다각적인 방향에서 분석을 꾀하였다. 결과적으로, 21세기 디지털 시대에서의 글로벌 기업의 성장은 곧 한국 브랜드 가치의 성장이며, 나아가 세계로 전진할 수 있는 국내 글로벌 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원산지효과를 전해줄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음을 직시할 수 있었다. 이를 뒷받침해주는 분석으로 Q결과에서는 크게 3가지 유형, 즉 첫째, 제1유형(N=10)은 국내 주도적 유형(Nation-Leading Type), 둘째, 제2유형(N=6)은 국제적 우위 유형(International Superiority Type), 셋째, 제3유형(N=4)은 전형적인 영향 유형(Typical Influence Type) 등으로 분류되었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삼성이라는 글로벌 기업의 브랜드 가치와 국가 이미지에 있어서 '후광효과'와 '원산지효과'에 적정한 국내외적 파급 역량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해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 PDF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주관적 인식유형 : Q방법론의 활용 (The Social Workers' Subjective Perception Type on the School Violence of Adolescents : Application of Q-Methodology)

  • 정현태;염동문;임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384-398
    • /
    • 2016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학교사회복지사들이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Q방법론을 적용하여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관련된 31개의 Q표본을 선정하여 33명의 학교사회복지사들에게 분류표를 작성한 결과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제1유형은 '비전문적인식 부모 개선형', 제2유형은 '소극적인식 책임 모호형', 제3유형은 '전문적인식 책임 부재형'으로 명명되었다. 이러한 유형은 전반적으로 학교사회복지사들은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전문가로서 직접적인 개입을 원하나 현실적인 개입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향후 청소년들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학교에서는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유형화를 통한 예방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Pre-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the Track and Field Practical Skill Test of Examination System for Appointing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 Yu, Young-Seo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27-135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 육상실기평가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간 내면의 감정, 의견, 인식 등을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3가지 유형이 탐색되었고, 각 유형은 전문시설지원요구형과 전문기술지도요구형 그리고 평가방법개선요구형으로 명명되었다. 결론으로, 중등체육교원 임용고사 육상실기평가를 준비하는데 있어 예비체육교사들은 전문시설의 지원과 전문기술을 지도받을 수 있는 기회의 제공 그리고 평가 방법과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사전 안내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Q-방법론을 활용한 문학치료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 (Types of literary therapy's subjective perceptions utilized by Q-methodology)

  • 박정혜;최경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6호
    • /
    • pp.1465-1477
    • /
    • 2015
  • 우리나라에서 문학치료는 독서치료, 저널치료, 글쓰기치료, 시치료, 통합문학치료, 심상 시치료 등의 여러 말로 범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개인의 경험이나 지각에 따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는 추상성이 높은 개념을 객관화하는데 유용한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여, 문학치료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문학치료의 주관적 인식 유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다음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즉, 제1유형은 '일반화 추구형'이며, 제2유형은 '치료자 중시형', 제3유형은 '통합 강조형', 제4유형은 '문학치료 극대화형'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 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병리적 상황을 타파하기 위한 문화 예술치료의 선두주자로 문학치료가 담당할 수 있는 일을 모색해 나감에 있어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Q방법론을 적용한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의 이용자 유형 연구 및 모빌리티 서비스 UX 디자인 전략 (User Types of Shared Mobility Services and UX Design Strategies: an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 홍승혜;변영시;이정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568-580
    • /
    • 2019
  • MaaS의 영향력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공유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시장 선점을 위해서 현재 초기 확산단계에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 이용자의 인식과 경험을 파악하고, 향후 확장될 시장의 잠재 소비자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주관성 연구방법인 Q 방법론을 사용하여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자 유형을 분류하고 UX(User experience)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제품 및 서비스 특성과 이용자의 개인적 특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41개 구성하고, 잠재 사용자와 실사용자를 포함하는 30명의 P샘플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QUANL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1)효율적인 이동 우선형(Mobility Efficiency), (2)경계하는 안전추구형(Safety First), (3)합리적인 여가활용형(Rational Utilization), (4)호기심 많은 재미추구형(Sheer Riding Pleasure)의 네 가지 심성 모형이 도출되었다.

언론인들의 과학보도 장벽 유형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Typology Study on Journalists' Barriers to Science Reporting: Focusing on Q methodology)

  • 김진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9권
    • /
    • pp.99-121
    • /
    • 2010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해서 과학전문기자들의 다양한 과학보도 장벽들을 살펴보고 이를 유형화하였으며 유형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언론인들의 과학보도 장벽 유형은 총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유형 I(N = 8)은 과학보도행태의 장벽 유형, 유형 II(N = 3)는 제도적 조직적 장벽유형, 유형 III (N= 5)은 상황적 장벽 유형, 유형 IV(N = 3)는 과학지식의 장벽 유형이었다. 유형 I은 현재 언론계에서 행해지고 있는 잘못된 과학보도행태에 장벽을 느끼는 유형으로써 과학보도에 있어서 특종경쟁이나 속보경쟁, 선정적, 긍정적, 진보적 프레임이 과학기사의 정확성을 해치는 주요 원인으로 생각한다. 유형 II에서는 과학보도의 질 향상은 개인적 차원보다는 조직적 차원에서 먼저 행해져야하고 보도 시스템이 제도적으로 조직적으로 변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형 III은 과학적 연구결과의 오류가능성이라는 과학의 상황적 장벽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시간이나 기회가 없음에 장벽을 느끼는 유형이다. 유형 IV는 언론인들이 과학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함을 느끼는 과학지식 장벽 유형으로 파악되었다.

  • PDF

에스닉(Ethnic) 레스토랑 이용고객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 연구 (A Study on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Ethnic Restaurant Customers)

  • 김학주;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46-557
    • /
    • 2019
  • 본 연구는 에스닉 레스토랑 이용 고객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서울지역 이태원 중심의 에스닉 레스토랑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에스닉 레스토랑에 관한 주관적 구조를 유형화 하며, 유형들 간의 특성을 기술하고 분석하여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형분석 결과, 총 5가지로 도출되었다. 제 1유형(N=4) : 에스닉 푸드 선호형 (Ethnic Food Preferred Type), 제 2유형(N=5) : 본토 맛 추구형(Mainland flavor Seeking Type), 제 3유형(N=3) : 식재료 위생 중점형(Food Material Sanitary Concentration), 제 4유형(N=6) : 레스토랑의 서비스 선호형(Restaurant Service preference Type), 제 5유형(N=2) : 분위기 감성 추구형(Mood sensibility Type)으로 각각의 유형마다 다양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에스닉 레스토랑에 관한 연구에서는 많은 문헌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과 분석기법으로 수정 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구체적이며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외식업체 빅 블러(Big Blur)현상과 키오스크(Kiosk)도입에 따른 이용고객의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Customers Using the Big Blur Phenomenon and Kiosk Introduction)

  • 김찬우;신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68-279
    • /
    • 2019
  • 본 연구는 외식업체 빅 블러 현상과 키오스크 도입에 따른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서울지역 외식경영학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5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제 1유형(N=6) : 빠른 결재와 다양한 주문 선호 형 (Fast payment and various order preference types), 제 2유형(N=6) : 적립 할인 혜택 선호 형 (Earning discount benefits preference type), 제 3유형(N=3) : 간편 주문 선호 형 (Simple order preference type), 제 4유형(N=2) : 직원 서비스 선호 형 (Employee service preference type), 제 5유형(N=3) : 안전 결재 선호 형 (Safety payment preference type)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외식업체 빅 블러 현상에 관한 연구에서는 많은 문헌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과 분석기법으로 수정 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보다 구체적이며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