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ology Study on Brand and National Image: Focus on Q-methodology Application

국가 이미지와 브랜드에 관한 유형화 연구: Q방법론 적용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7.05.14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rend & paradigm of national image ; to review process to be global corporate ; to evaluate brand value of SAMSUNG. Researcher made a study with SWOT analysis and depth survey interview about Interaction and influence between national image and global corporate. The result reveal five type that divided '1 ; Nation-Leading Type(n=10)', '2 ; International Superiority Type(n=6)', '3 ; Typical Influence Type(n=4)'. It found that is very different type. In conclusion, it was ascertained a proposition about 'growth of global corporate is in accord with development of brand value in Korea' through this study. Above all, in this article, the result of this works was provide a momentum ; it is the diverse effects to the global corporat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이 논문에서는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기업인 삼성의 브랜드가치를 평가해보고, 글로벌 기업이 되기까지의 과정과 삼성의 국가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글로벌 기업이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국가가 자국의 글로벌 기업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심층 설문평가를 통해 분석하고, 나아가 국가와 기업 간의 상호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아울러 이전의 설문조사 방식에서 면밀히 분석하지 않고 간과하기 쉬운 개인의 사고나 느낌 같은 주관적 행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도입하여 좀 더 다각적인 방향에서 분석을 꾀하였다. 결과적으로, 21세기 디지털 시대에서의 글로벌 기업의 성장은 곧 한국 브랜드 가치의 성장이며, 나아가 세계로 전진할 수 있는 국내 글로벌 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원산지효과를 전해줄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음을 직시할 수 있었다. 이를 뒷받침해주는 분석으로 Q결과에서는 크게 3가지 유형, 즉 첫째, 제1유형(N=10)은 국내 주도적 유형(Nation-Leading Type), 둘째, 제2유형(N=6)은 국제적 우위 유형(International Superiority Type), 셋째, 제3유형(N=4)은 전형적인 영향 유형(Typical Influence Type) 등으로 분류되었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삼성이라는 글로벌 기업의 브랜드 가치와 국가 이미지에 있어서 '후광효과'와 '원산지효과'에 적정한 국내외적 파급 역량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해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