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teachers Teacher

검색결과 786건 처리시간 0.024초

미래 과학교육에 대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인식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Science Education of Future)

  • 나지연;장병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1호
    • /
    • pp.85-9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science education of future by using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 and open-end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reflecting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for science education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However, few respondents indicated that student-centered equipment or a free and creative classroom environment would be provided. Second, they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changes in teacher's activiti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facilities and equipment, but most of the other teachers' activities were thought to be similar to those of current teachers. Third,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ought that a variety of new technologies would be used in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teachers would mainly teach high-technology, IT technology, science knowledge, and newly discovered science concepts. In addition, we foun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mages were more 'teacher-centered' than 'student-centered'. These results show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re expected to utilize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actively in science education in 2030 and that it will lead to chang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teachers' activities,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they viewed acquisition of science concept as an important goal of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and had different points of view from the current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and scholars' emphasis on educational research for the future.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조사 (A Survey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titudes towards Science Teaching)

  • 윤혜경;나지연;박헌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3호
    • /
    • pp.193-20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titudes towards science teaching using 'Dimensions of Attitude Toward the Teaching of Science (DAS)'. After confirming the factors and reliabilities of the translated questionnaire by pilot test (N=68), the survey was administered online at on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N=527). The pre-service teachers generally thought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s important and did not believe gender difference in students and in teachers. Science education majors than other majors, males than females, and those who completed high school science track than humanity track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cience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 The extent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completion had a little effect on the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teaching.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화학전공 예비교사들의 이해 및 화학교사 양성교육에 대한 인식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Chemistry Major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Properties of Dilute Solutions and Perception 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 이송연;김성혜;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787-798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화학교육을 전공하는 4명의 예비교사들과 화학을 전공한 2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화학II 교과서에 제시된 "묽은 용액의 성질" 단원에 관련된 개념의 이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 중에 고등학교 화학II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예비교사들이 많지 않았으며, 묽은 용액의 성질에 관련된 오개념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나타났다. 그리고 사범대학에서 화학교육을 전공한 예비교사들의 이해수준과 비사범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한 예비교사들의 이해수준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대학과 상관없이 그들의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실천적 지식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수학 예비교사의 가상 수업 시연의 특징 및 동료 예비교사의 평가 (Analysis on the peer assessment results and the attributes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virtual instruction)

  • 김선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4호
    • /
    • pp.465-481
    • /
    • 2013
  • In this study, 27 pre-service teachers presented virtual mathematics instruction to develop his/her own teaching practice ability. I found several attributes in their virtual mathematics instruction such as connecting contents, asking justification, encouraging students' communication, representing variously, and using ICT etc. These will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mathematics class. When peer pre-service teachers assess presenter's instruction quantitatively,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sults between expert and pre-servic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didn't find the elements of student self assessment or group assessment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at the virtual instruction. When they assess peers' virtual instruction qualitatively, the results are specific or new ones compared with the quantitative assessment elements. Thus I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the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virtual instruction in the view of teacher education.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력 분석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Factors and Teacher Efficacy)

  • 고정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41-346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격유형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G지역의 3,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228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유형 중 외향성과 교사효능감이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경증은 교사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교사효능감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25%의 설명력을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중 외향성이 교사효능감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유형 중 외향성이 강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나 교사효능감 증진에 외향적인 성격이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외향적인 특성을 함양하기 위한 예비유아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초등수학 교사교육의 현장연계성 강화를 위한 예비교사-현직교사 협력적 과제 개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ollaboration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

  • 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405-421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 교사교육의 현장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협력을 시도하였다.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협력이 예비교사교육의 실질적인 대안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사례와 효과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직교사와 예비교사가 협력하여 수학 수업 과제를 개발하는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역할을 분석하여 협력의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는 과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거나 수학적 내용을 고려하였다. 각 주체는 학생과 내용의 상호작용 측면을 직접적으로 고려하지는 않았지만, 각자의 역할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면서 과제가 개선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관 수업 분석을 통해 알아본 예비 과학 교사의 비형식 교육에 대한 인식 (Discourse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in Science Museums and Its Implication for Teacher Education)

  • 장현숙;이현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3호
    • /
    • pp.211-220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nformal learning by adopting a discourse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Mortimer and Scott(2003). The guiding research questions were: (1) What are some general patterns of the discourse occurring in science museums between a teacher and a student? (2) In what ways do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informal learning and teacher's role in informal settings? The 7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of them shepherd an elementary student around the museum and implemented their own instruction using a pre-planed lesson plan. Results indicated that even though the teachers had learned som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teaming in their college courses, they tended to implement their traditional view of science teaming into the instruction and the view affected them to set up their teaching purposes and contents, and to select communicative approach, patterns of discourse and ways of intervention.

  • PDF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Analysis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Student-Teacher Practice)

  • 강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80-59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들이 교육실습 중 겪는 어려움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범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56명의 중등 예비 과학 교사들은 교육실습 동안의 일화에 대해 기록하도록 요구받았다.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은 수업지도와 관련해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흥미 유발과 주의 집중, 적절한 발문 구성,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하는 것 등이 특히 어려웠던 것으로 응답했다. 실험 지도와 관련해 예비 과학교사들은 실험 수업 중 학생들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에 대해 노력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생활지도와 관련해 상담 시간이 부족했고 상담 내용이나 수준이 불만족스러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더욱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실습의 이행 뿐만 아니라 피드백을 통해 꾸준히 개선시켜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사 전문성 계발 기준에 기초해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보다 체계화할 필요성이 있다.

실습과 반성을 통한 수학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Improving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Assessment Competence through Practice and Reflection)

  • 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277-292
    • /
    • 2012
  •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학생 평가 전문성은 평가방법을 선택하고,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평가를 실시하여 채점하고,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고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경험하고, 그것을 반성할 때 신장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평가 과정 전반을 경험하는 실습과 학습 일지를 통한 반성을 경험하게 하여 이들의 평가 전문성 신장이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학습일지는 예비교사의 평가 관련 지식, 학생과 교사의 이중적 입장, 평가 실행의 영역에서 분석되었고, 그 결과 이 세 가지 영역은 상호작용하며 예비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각각의 영역은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을 구성하는 요소가 되었다. 그리고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양적으로 확인한 결과,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의 평균 점수가 신장되었다.

  • PDF

예비보육교사의 행동특성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on Self-Efficac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설희정;문혁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6호
    • /
    • pp.113-123
    • /
    • 2013
  • This investigation studied 1)the correlations amo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nd 2)the mediating effects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on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240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S-center for nursery teacher education or I-center for nursery teacher education in the Incheon a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were examined by showing correlations. Second, we found that in terms of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type D and type S show self-efficacy; they also have a direct impact on the social support indirectly affected through. Thus, social support can be seen as hav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