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education

검색결과 4,957건 처리시간 0.032초

중소병원 간호사의 실무 경험에 따른 온라인 보수교육 요구도 조사 (Survey o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Requirements according to Practical Experience of Nurses at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 은영;강한솔;전미양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7-205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omparison analysis on requirements of online continuing education requirements according to practical experience of nurses 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Methods: Data had been collected with 236 nurses from May to June, 2015.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use of SPSS. Results: Among them, 45.8% participated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Nurses in beginning level required musculoskeletal diseases (20.9%), care for injuries and stomas (5.8%), and surgical disease and operation care (4.7%). Competent nurses required musculoskeletal diseases (19.7%), cerebrovascular diseases (9.9%), emergency care and CPR (8.5%), and medical nursing (8.5%). Skillful nurses required cerebrovascular diseases (13.9%), care for internal diseases (8.9%), and rehabilitation care (8.9%). Among the educational contents of diseases, the items tha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ractical experience were operation management ($x^2$=23.92, p<.001) and drug care ($x^2$=7.85, p=.020). Among continuing education methods, the items tha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ere video ($x^2$=16.81, p<.001), webtoon ($x^2$=8.96, p=.011), and test ($x^2$=10.56, p=.005). Among continuing education evaluation methods, the items tha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ere multiple-choices ($x^2$=9.43, p=.009) and OX ($x^2$=6.47, p=.039) based quizzes.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ifferentiate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practical experience of nurses.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운영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Middle Schools)

  • 이정;김경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3-55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reasearch is to supply the basic data to improve Home Economics curriculum. This research was intended for 190 home economics teachers who are teaching in Kwang-Ju and chun-n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the objects of Home economics, the most important objects were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family life and development of family numbers. It requires 4 or 5 hours a week to learn these objects. 2. The amount of curriculum was immense and the level of curriculum was higher than students’level. More intencifying field are in this order; sex education, propriety education, consumption life, occupation, and computer education. 3.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main stress was laid upon the application of action and learning content was focused on the matter set in the examination. 4. Theory and practical training classes were usually in the ratio of 7:3 and 8:2 in the current school classes. Ideal training classes are in the ration of 4:6, 5:5, 6:4, which showed that much weight was given to the practical exercises. 5. In practing subject matter, students tended to practice only main subject matter. The reason was primarily due to the lacks of equipments and faccilities, the limitation of training time for enterance examination and budgetary deficit. 6. Application of resorces was in the order of files, realia, samples, hanging chart, O.H.P and V.T.R. 7. The method of evaluation was mostly composed of paper and pens and practical evaluation when the practical evaluation was carrient out, in the case of necessity the standard of evaluation was made out.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 실과교과서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 삽화 분석 (Analysis of Illustration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actical Textbook 'Software Education')

  • 이재호;전상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317-325
    • /
    • 2022
  • 교과서에서 삽화는 개념을 쉽게 설명하고, 탐구과정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삽화를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제시해야 한다. 그런데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경우, 삽화 분석과 관련된 연구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6종의 실과 교과서 중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삽화를 종류, 기능, 용도 측면에서 분석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질 교과서 채택, 교육과정 연구, 차기 교과서 개발 등에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 6종의 실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모든 교과서가 페이지 당 1개 이상의 삽화를 사용하였고, 삽화의 종류는 화면캡쳐, 그림, 만화, 사진, 표, 도해 순, 삽화의 기능은 설명적 기능, 수행적 기능, 장식적 기능, 예시적 기능 순, 용도는 활동안내, 자료제공, 결과제시, 동기유발 순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웹 기반 실천적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cdot$학습 과정안 개발 -중학교 1학년 기술$\cdot$가정 과목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단원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Teaching Plans for Web-Based Practical Problem-Solving Lesson - focused on "Food nutrition and diet of adolescents" unit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of middle school -)

  • 김해선;이혜숙;김영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3-56
    • /
    • 2004
  •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기술 $\cdot$ 가정과 $\ulcorner$청소년의 영양과 식사$\lrcorner$단원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웹 기반 실천적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 $\cdot$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식생활 영역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영양, 식품자원, 식품 선택의 3개의 영역에서 비만 음식쓰레기. 가공식품. 유전자조작식품. 수입식품의 5개 학습 주제를 선정하여 교수 $\cdot$ 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웹 기반 실천적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한 교수 $\cdot$ 학습 과정안은 문제인식. 정보수집 및 평가, 대안 및 최선의 행동 선택, 행동하기, 그리고 행동평가의 5단계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보조 학습자료로 개별 학습지, 협동학습지, 비만도 검사, 애니메이션, 관련 사진자료, 모듈을 개발하여 함께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 $\cdot$학습 과정안은 현장 수업에서 직접 활용이 가능하여 가정과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가정교과의 소비자교육이 중학생의 소비자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consumer education through Home Economics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sumer competency)

  • 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과의 소비자교육이 중학생의 소비자역량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단일집단 사전·사후 유사 실험 설계를 사용하여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 1학년 7개 학급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가정교과에서 소비자교육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 대응표본 t검증, 다중회귀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신입생의 인지적 소비자역량은 100점 만점에 37.66으로 중간보다 낮았고, 실천적 소비자역량은 5점 만점에 3.26으로 중간보다 높았다. 인지적 소비자역량은 시민역량(M=39.97)이 거래역량(M=36.15)보다 높았고, 실천적 소비자역량은 거래역량(M=3.32)이 시민역량(M=3.16)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은 가정교과에서 소비자교육을 받고 난 후에, 인지적·실천적 소비자역량(거래, 시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가정과수업을 통한 소비자교육은 인지적인 측면에서는 구매의사 결정력과 소비자권리 주장력을 향상시키고, 실천적인 측면에서는 정보이해·활용력과 소비자권리 주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가정과교육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과 생활만족도도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중학생의 실천적 소비자역량(거래, 시민)은 가정과교육내용이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할수록, 인지적 소비자 시민역량이 높을수록, 소비자 거래 또는 시민 영역이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성별과 생활만족도, 인지적 소비자 거래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가정과수업을 통한 소비자교육은 중학생의 인지적 소비자역량과 실천적 소비자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해 소비자역량 척도, 소비자역량 연구, 가정과교육의 소비자역량 강화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현장실습 전 현장적응교육이 치위생과 재학생의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daptation Education on Performance Confidence and Practical Skill of Dental Hygiene Students before Field Practice)

  • 김명은;김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20-62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첫 현장실습을 시작하는 치위생과 재학생들에게 현장적응교육을 수행한 후 수행자신감과 실무능력의 향상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치위생과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15시간 동안 현장적응교육을 시행하였다. 교육 전·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행자신감을 조사하였고 교육 후 간접 및 직접 실기 평가를 통해 실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한 현장실습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교육 전후비교는 paired t-test, 현장적응교육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상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 현장실습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교육 수행 후 재학생의 수행자신감, 간접실무능력 및 직접실무능력은 교육 전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수행자신감, 간접/직접실무능력, 교육만족도과 현장실습만족도와의 연관성 분석 결과, 교육만족도가 현장실습만족도 중 '교육내용', '현장실습에 도움' 영역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이상의 결과에 따라 현장적응교육은 첫 현장실습의 적응력을 높이고 현장실습 만족도를 높이므로 향후 다양한 적응 교육을 개발하여 운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의 지방 섭취 저감화를 위한 교육 콘텐츠 및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s and Textbooks for the Education to Reduce Elementary Students' Fat Intake)

  • 김유경;김주영;차명화;이경애;이성숙;이경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8-16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children's fat intake and to establish healthy dietary lifestyles. To achieve these goals, we searched,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fat education, based on which the research personnel-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in nutrition and child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discussed to figure out major topics, objectives, and detailed contents and activities appropriate for fat intake reduction. We also organized an advisory committee composed of 15 professionals in related fields to discuss the adequacy and validity of the specific contents. Finally, we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contents and developed children'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Considering the different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of junior and senior elementary students we developed two different textbooks for each of them which are easy to read and understand, fun to play with lots of activities, and designed to practice into daily life. The contents cover three major topics-the concept of lipid, lipid in food, lipid in life and are composed of 6 units in total. To help teachers understand and and to instruct, teacher's guidebooks contain an overview of the education, specific information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each class. We developed these education materials with the aim of lowering children's fat consumption and eventually promoting their health welfare; hopefully we expect these materials would be useful for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field.

학교 식생활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효율적 추진 방안 (Educational Meanings and Effective Practical Plans of School Dietary Life Education)

  • 전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7-135
    • /
    • 2010
  • 이 연구는 학교교육에서의 식생활교육의 본질과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식생활교육이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교육이라는 시스템 속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소통하여야 하는가를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관심과 맥락이다. 이 연구에서 다룬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식생활육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인간의 삶에서 먹는다는 것의 의미, 식생활을 교육한다는 것의 의미, 학교 식생활교육의 의의와 책무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학교 식생활교육을 재조명하기 위해 사회, 학습자, 교과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즉, 식생활과 관련된 사회적 현상과 변화,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특성, 실과와 가정과교육과정에서의 식생활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학교 식생활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 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학교 식생활교육의 지향점, 구조, 요소들에 대해 해석하고, 학교 식생활교육의 교육적 철학과 배경, 학교 식생활교육의 내용 체계와 구조, 교수학습방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학교 식생활교육의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학교 식생활교육의 목표와 내용설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탐색하고, 교육과정에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며, 식생활교육을 담당할 초등교사와 가정과교사의 교육 강화, 시설설비의 확충,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수 학습자료의 마련, 다양한 주체들 간의 유기적 협력과 네트�p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 PDF

시민단체와 공공기관의 사회환경교육 현황 -담당자의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를 통하여- (A Comparative Study on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Status between Civil Organizations and Public Organizations)

  • 허정림;최경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4권1호
    • /
    • pp.56-6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current status of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between civil and public organization. This study utilized a survey methodology, The surve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nd it has 4 subscales. The subjects consisted of 28 persons who are in char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civil organizations and 31 persons in public organizations. Descriptive statistics provided frequencies and percents for all demographic variables and item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firstly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support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y that prioritizes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civil and public organizations. Secondly, both civil and public organizations should make continuing efforts for better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nd come up with practical ways to improve ability and quality of the staffs in the civil and public organizations by providing systematic reeducation programs and practical guidelines that would be applied to their daily lives.

  • PDF

어린이의 나트륨 섭취 저감화를 위한 교육 콘텐츠 및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s and Textbooks for the Education to Reduce Elementary Students' Natrium Intake)

  • 조명기;이경혜;이경애;이성숙;김유경;허은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6호
    • /
    • pp.567-576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sodium (Na) intake and to establish healthy dietary lifestyles of children. To achieve these goals, we searched,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Na education, based on which the research personnel-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in nutrition and child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scussed to figure out major topics, objectives, and detailed contents and activities appropriate for Na intake reduction. Also a survey was done on the sodium intake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ementary students. We also organized an advisory committee composed of 15 professionals in related fields to discuss the adequacy and validity of the specific contents. Finally, we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contents and developed children'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Considering the different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of junior and senior elementary students, we developed two different textbooks for each of them which are easy to read and understand, fun to play with lots of activities, and designed to practice into daily life. The contents cover three major topics-the concept of Na, Na in food, Na in life and are composed of 6 units in total. To help teachers understand and instruct, teacher's guidebook contains an overview of the education, specific information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each class. We developed these education materials with the aim of lowering children's Na consumption and eventually promoting their health welfare; hopefully we expect these materials would be useful for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