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self-concept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학교 무용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의 신체적 자기 개념과 대인관계 만족 및 사회성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ociality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Elementary School Dance Education Activities)

  • 우정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23-230
    • /
    • 2019
  • 본 연구는 무용교육활동에 참여하는 초등학생들 250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기개념, 대인관계만족, 그리고 사회성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IBM SPSS 21.0과 IBM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첫째, 신체적 자기개념이 대인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은 대인관계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 자기개념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은 사회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만족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대인관계만족은 사회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들이 바람직한 신체적 자기개념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대인관계 질이나 만족, 그리고 사회성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천연아로마가 중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The Study of the Effects of Natural Aroma Essential Oil on Self-concept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영선;차영숙;이금비;최용선;이한춘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730-736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romatherapist with analysis of the effect of natural aroma essential oil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Methods. In total, 20 students were recruited to answer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pre and post.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questions about general self-concept, class self-concept, achievement self-concept, ability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family self-concept, emotional self-concept, physical self-concept. The natural aroma essential oil program was operational in a 90-minute once a week for ten weeks. Results. As a result, the score of emotional self-concept(t=-2.60, p<.05) is higher than pre the experiment post experiment. Conclusions. This study is to get a basic data of natural aroma should be applied to improve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의 개념분석 (The concept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 최정안;최명애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6권1호
    • /
    • pp.17-3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pt of physical activity. The method was based on the steps of concept analysis by Walker and Avant(1988).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Upon the concept analysis, physical activity is defined as a series of bodily movements which is performed voluntarily by individual. The defining attributes of physical activity were a series of bodily movements, energy expenditure, goal-directedness, and self-control of the body. The antecedents of physical activity were neuromusculoskeletal functi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And the consequences of physical activity were improvement of physical function, induction of fatigue, and need(physiopsychosocial) satisfac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the concept of physical activity using the Hybrid model. In addition, considering personal characteristics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facilitating factors of physical activity.

  • PDF

신체적 자기개념과 여가스포츠 참여수준이 여가스포츠 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Leisure Sport Participation Level on Leisure Sport Satisfaction)

  • 박재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15-222
    • /
    • 2015
  • 이 연구는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여가스포츠 참여만족도 및 여가스포츠 참여수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한 대학교 4곳에 재학 중이면서 여가스포츠에 참여중인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00명을 표집 하였다. 질문문항의 일괄적인 처리 혹은 무응답, 오기입등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어지는 47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5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AMO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자기개념은 여가스포츠 참여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스포츠 참여수준은 여가스포츠 참여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자기개념과 여가스포츠 참여만족의 관계에서 여가스포츠 참여수준의 유의한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체력 및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raditional Play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physical Self-Concept of Children)

  • 김원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98-208
    • /
    • 2010
  • 본 연구는 5세 유아 4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주2회 10주간 전통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유아의 기초체력 향상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체력 변화에 있어서 하위 요인 중 근력, 민첩성, 순발력, 유연성 등이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 변화에 있어서 하위 요인 중 외모, 운동 유능감, 체력 등이 통제 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 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 요인에 있어서는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는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전통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여성의 수영경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따른 수영복 선택기준과 구매만족도 (Selection Criteria and Swimsuit Purchase Satisfaction of Female Consumers According to Swimming Experiences and Physical Self-concepts)

  • 정노라;황춘섭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015-1028
    • /
    • 2013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swimming experiences, swimsuit selection criteria, swimsuit purchase satisfaction level, and the physical self-concept of female consumers. This study was based on a 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a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5 through July 20, 2012, and the sample consisted of 330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resid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ANOVA, Duncan'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individual self-concepts on health, sports competence, and fitness were influenced by swimming experiences. There was a tendency for those with a longer period of swimming experience to have a higher level of brand consideration as a swimsuit selection criterion; in addition, they showed a higher satisfaction level with swimsuits. Individual physical self-concept influenced the consideration given to each swimsuit selection criterion as well as swimsuit purchase satisfaction level. The findings of the study reflect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swimming experiences as a criterion for swimsuit market segmentation. Attention to the quality of swimsuits as well as to the physical self-concept of consumers are required for marketing activities.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and Physical Self-Concept on Ego-Resilienc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조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77-884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전라남도 M대학의 간호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에 유의한 양의 상관(r=.480, p<.001, r=.426, p<.001)이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안정감(β=0.352, p<.001), 신체적자기개념(β=0.236, p<.001)이었고, 설명력은 26%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자기개념을 높여 줄 필요가 있다. 그 방안으로는 간호대학생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가이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학업만이 아닌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과 시설의 제공이 필요하다.

일 지역 중년기 여성의 자아개념과 갱년기 증상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Self Concept and Climacteric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 김정애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8-86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oncept and the climacteric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Metho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123 women between 40 and 59 years of age living in P-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anaire. It included a self concept scale and climacteric symptom scale. With spss/pc(+),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 1 The mean score for self concept was $108.73{\pm}16.24$. 2.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self concept of middle-aged women most were 'health state' and 'marriage satisfaction'.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1 level. 3. The mean score for climacteric symptoms was 3.13. Of psychophysic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e scores for psychophysical symptoms were the highest. 4.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 concept and climacteric symptoms (r=-.333, p=.000).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ositive self concept can reduce climacteric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 PDF

카지노 시큐리티 종사자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 효능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Change and Physic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of Casino Security Employees)

  • 전용태;오중일
    • 시큐리티연구
    • /
    • 제21호
    • /
    • pp.95-120
    • /
    • 2009
  • 본 연구는 카지노 시큐리티 종사자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전국 카지노 17개업체중 시큐리티 관련업무 3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8개의 업체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시큐리티 종사자 3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업체를 선정한 이유는 30명 이하의 영세한 업체에서 조직구성 및 직무체계와 환경이 대체적으로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제한적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편의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하여 대상을 표집 하였으며, 선정된 연구대상자는 본 연구의 취지 및 설문조사 교육을 받은 조사원을 통해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설문지를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에 따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조사 자료의 결과를 처리하기 위하여 Window SPSS 1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하위 척도별 내적 일관성 계수(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다.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factor analysis)을 이용하였으며. 요인회전방법으로 직각회전방식(varimax rotation)을 이용하였다. 초기 고유값(Eigen value) 1.0을 요인 추출의 준거로 삼았다. 운동변화단계에 있어 성별, 근무형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운동 변화단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X^2$을 실시하였다.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운동변화단계를 독립변수로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수로 하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집단간의 평균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체적 자기개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신체적 자기개념을 독립변수로 하고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multipi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Enter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카지노 시큐리티 종사자들의 운동행동변화단계는 성별과 근무형태에 따라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운동행동변화단계에서 유지단계로 이행 할수록 신체적 자기 개념과 자기효능감을 지각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 중, 신체활동과 체지방에 대한 정도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PDF

의복과 자기이미지 (Clothing and Self-Image)

  • 정인희;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07-217
    • /
    • 1996
  • Self is well·expressed by clothing, so self-image can be an effective variable for conducting clothing·behavior studies. But there ate some problems in clothing and self-image researches. This paper will be a clue to discuss these problem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otion of self-image is compared with self-concept, and according to this work, self concept comprehends the evaluative properties in addition to self-image illustration. In tai.; part, the problem in translating the terminologies, 'self-concept' and 'self-image', are also discussed. (2) The aspects of self-image are explored, thus physical and social-psychological aspects are determined. (3) Two sub-dimensions of self-image ate recommended relating to clothing researches: actual versus ideal and intrinsic versus phenomenal. (4) Some comments for future studies ate added.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other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and self-image in clothing depar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