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al Value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112초

가치명료화 기법을 활용한 공직윤리 교육 콘텐츠 개발 방향 (A Way to Develop Contents for Officials Ethics Education using Value Clarification)

  • 박균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15-423
    • /
    • 2019
  • 이 연구는 가치명료화 기법을 활용한 공직윤리 교육 콘텐츠 개발의 기본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데 주안을 두었다. 가치명료화 기법은 도덕성의 다양한 측면인 도덕적 감수성,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동기화, 도덕적 실천력 중에서 도덕적 판단 역량을 길러주는 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가치명료화 기법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공직윤리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과 그 평가 방안 등을 개략적으로 제시한다. 이 연구는 콘텐츠 모형을 제시하는 데 주안을 두기 때문에 자체 검증 결과를 제시하지 하지는 않는다. 향후 연구에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도덕 판단에서 나타나는 도덕-인습 구분에 대한 논쟁과 함의 (A critical review and implications of the moral-conventional distinction in moral judgment)

  • 설선혜;이승민
    • 인지과학
    • /
    • 제29권2호
    • /
    • pp.137-160
    • /
    • 2018
  • 본 논문은 도덕 판단에서 나타나는 도덕-인습 구분에 관한 최근의 논쟁들을 개관하고 그 함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전통적인 도덕 판단에 대한 연구들은 규범 위반에 대한 판단에서 타인의 규범 위반 행위에 대한 평가와 함께 위반한 규범의 도덕-인습 차원에서의 분류를 함께 고려해왔다. Kohlberg와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을 발전시킨 Turiel(1983)은 도덕 원칙이 인습과 명확하게 구별된다고 보고 도덕-인습 구분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도덕은 보살핌과 정의의 영역에 특수하며, 보편성/객관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전통적인 도덕 심리학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져 왔으나 최근 들어 지속적인 도전을 받아왔다. 본 논문에서는 도덕-인습 구분 기준에 대한 비판을 도덕 감정 이론(moral sentimentalism)과 도덕 지역주의(moral parochialism), 도덕 다원주의(moral pluralism)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도덕 감정 이론은 도덕 판단에서 정서의 역할을 강조하며 도덕과 인습이 정서-비정서 차원의 연속선상에 혼재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도덕 지역주의는 인류학과 비교문화 심리학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규범 위반 행위가 집단의 유지와 집단 내 개인의 존속에 의미가 있는 경우에만 규범 위반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처벌 의사가 강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도덕 위반에 대한 판단도 인습에 대한 판단만큼이나 상대적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도덕 다원주의에서는 문화와 개인차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도덕적 직관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살핌과 정의의 차원만 도덕에 해당한다는 가정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들은 기존의 합리주의적 도덕 발달 이론에서 가정하였던 도덕-인습의 구분이 사람들이 실제로 규범 위반을 판단하는 양상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하며 체계적인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간호사의 윤리적의사결정 자신감 영향요인에 대한 융합적연구 (Converged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Perceived Ethical Confidence in Nurses)

  • 임미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75-8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의 윤리적의사결정 자신감, 인성, 간호전문직관 및 도덕적 민감성 정도를 분석하고, 윤리적의사결정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융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 S시 소재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74명으로, 연구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들의 윤리적의사결정 자신감 정도는 중간정도이었으며, 인성, 간호전문직관, 도덕적 민감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윤리적의사결정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성(${\beta}=.350$, p<.001), 간호전문직관(${\beta}=.172$, p<.001), 도덕적 민감성(${\beta}=.134$, p<.001)임을 확인하였고, 이들의 설명력은 25%이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윤리적의사결정 자신감 향상을 위해서 임상현장에서 인성, 간호전문직관 및 도덕적 민감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족(彝族)과 한족(漢族)의 문화접변(文化接變) 양상(樣相) 연구(硏究) - 운남성(雲南省) 이족(彝族)의 정신문화(精神文化)를 중심으로 (The study Yi-Zu and Han-Zu's moral culture. - with focus on the Yun-Nan's Yi-Zu moral culture)

  • 김덕삼
    • 비교문화연구
    • /
    • 제26권
    • /
    • pp.353-377
    • /
    • 2012
  • This treatise studies on how ideology and value of Chinese minority race undergo change according to social, political transition that the Chinese minority race has experienced for a long time and I also have tried to elucidate how these kinds of their experiences have been effected upon their own life, even it is part of my basic subjects for my study. Hence I would give weigh to focus on contemplating proces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rather than predictive discussion of how their pursuing value will be transformed. For my ebullient study, I'm willing to make Yi-Zu's moral culture become axis of my treatise, and capitalize on not only how Han-Zu's ideological philosopies have been disseminated, but also how acculturation have been taken place in Yi-Zu's moral culture system. Yi-Zu has the longest history and the greatest their own population, even the largest residence of various Chinese minority races. And Yun-Nan is the historical place where not only various Chinese minority races have lived, but also acculturation between Chinese majority, Han-Zu and them have been begotten. Above all, I would delve into traditional religion to understand Yi-Zu's moral culture as was already mentioned that it is my axis of treatise. Furthermore, I deliberated on how Taoism have been infiltrated Yi-Zu's moral culture, also how Han-Zu's ideological philosophies have been permeated Yi-Zu's, and what is more how to help themselves still remained in Yi-Zu's. Through my such these efforts, I analyze the aspect of embracing of Han-Zu's moral culture by Yi-Zu's and some facts of vicissitudes about it.

The Impact of Market Discipline on Charter Value of Commercial Banks: Empirical Evidence from Pakistan Stock Exchange

  • AKHTAR, Muhammad Naveed;SALEEM, San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4호
    • /
    • pp.249-261
    • /
    • 2021
  • To tranquilize the devastating impact of unnecessary risk-taking behavior of banks towards the economy for maximizing their profits that usually arises due to widely known 'moral-hazard' problem originating from market competition and intensified by bank's limited liability, the banking system is strongly monitored across all countries of the world. The goal of controlling would become more feasible if there exist some self-discipline and motivations which could safeguard the banks' charter value through the mechanism of market discipline. Therefore, our study is aimed to scrutinize the relation between market discipline and charter value of local commercial banks that are registered on the Pakistan Stock Exchange by analyzing a balanced panel data from the year 2007 to 2019. Deposit growth, interbank deposits, and subordinate debt are taken as proxies to measure market discipline whereas Tobin's Q theory is applied for calculating the charter value. Generalized Least Square Regression with Fixed Effect Model is used for evaluation. The outcomes reveal that in the existence of control variables, all proxies of market disciplin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ank charter value. Our research has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monitoring and supervising financial intermediaries for their stability and soundness by offsetting the complications of moral-hazard in the financial systems.

도덕교육의 쟁점과 동양윤리교육 (Main Issues in Korean Moral Education and Eastern Moral Education)

  • 고대혁
    • 동양고전연구
    • /
    • 제36호
    • /
    • pp.333-374
    • /
    • 2009
  • 우리 문화는 다른 어떤 국가나 문화보다도 학교교육에서 도덕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 전통문화에서 교육은 인간의 자기완성과 초월(초범입성(超凡入聖))을 위한 실천적 과업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는 다음 두 가지 문제의 식에서 출발한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도덕교육은 19세기 후반 근대적인 학교 교육의 출범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당대의 사회 정치적 상황에 따라 어떤 형태로 유형화될 수 있는가? 둘째, 해방이후 한국 교육의 전개 과정에 나타난 도덕교육의 주요 쟁점은 무엇인가? 특히 본 연구는 이들 쟁점을 동양 윤리 교육의 맥락에서 반성하고 검토하는 논의를 본 연구의 주요 관심사로 삼고 있다. 19세기 후반 이후 우리나라 도덕교육은 "충효교육과 수신교육", "민주시민교육과 반공교육", "도덕교육과 인성교육"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도덕교육의 유형은 우리 근대사의 사회정치적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한국사회에서 도덕교육의 유형은 전통 도덕교육의 정신이나 기본 가치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보다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그 정신을 일정한 형태로 왜곡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주장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주요한 두 가지 쟁점, 곧 "국가 중심주의"와 "서양 중심주의"를 중심으로 도덕교육의 특징과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국가중심주의는 개인의 인격 함양에 기초한 공동체 건설보다는 국가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구성원들의 의지를 집단화함으로써 개인들로 하여금 "자기 소외"를 심화하게 하였고, 서양 중심주의는 서양을 중심부로 한국이나 기타 전통과 사상을 주변부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한국인들에게 "자기부정" 의식을 강화하여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쟁점, 특히 한국 도덕교육에서 "서양 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양윤리교육에 대한 재해석과 이해를 위한 노력이 무엇보다 요청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맹자의 성선과 감성 지능 (Xìng shàn(性善)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Mencius)

  • 이경무
    • 철학연구
    • /
    • 제129권
    • /
    • pp.141-166
    • /
    • 2014
  • 맹자 성선설은 인간 존재의 심리 특질을 나타내는 '성'과 도덕 가치나 도덕 행위를 나타내는 '선'을 하나로 결합하고 있다. 때문에 성선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인간 심성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과 도덕규범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이 동시에 요청되는 바, 바로 여기에서 성선에 대한 도덕 심리학적 접근의 필요성이 정당화된다. 그러나 도덕 심리학의 이론들은, 하나같이 도덕성을 인간 심성의 다른 요소에 부속되거나 다른 요소에 의해 부차적으로 갖추어진 것으로 본다. 반면 맹자는 선험적 도덕성과 선험적 도덕규범을 하나로 결합하여 성선을 주장하면서, 도덕성이나 도덕규범의 근거나 단서를 사단지심으로 예증하고, 도덕 행위의 실천 근거를 양능 양지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맹자 성선설을 도덕 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도덕 심리학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그것은 첫째로 성선설이 인간을 덕성 주체로 보고 도덕성이나 도덕규범이 인간 심성에 본유한 것으로 보면서 그 근거나 단서를 도덕 감정에서 찾는다는 점에서 도덕성과 도덕규범을 중심 문제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둘째로 양능 양지는 도덕 행위의 실천이라는 점에서 보면, 어쩌면 도덕 지능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기원이 혈연적 도덕 정감에 있는 만큼, 도덕 지능으로서의 감성 지능을 규명할 수 있어야 한다.

영화 <사도> 관객의 '자아' (Movie Audience's Ego)

  • 김길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33-243
    • /
    • 2016
  • 영화 <사도>는 사도세자의 비극적 가정사에 공감하는 관객의 감수성, 사회적 기표에 대한 관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관객은 사도세자의 비극을 보며 아버지와 아들의 상이한 정서적 감정, 전통의 이상과 가치의 상징인 아버지의 주체와 이를 파괴하려는 저항적 주체간의 상반된 의식이 마음속에서 충돌할 때 본래적 '나'로 회귀할 것인지 아니면 자동적 사회적 행동으로서 이를 봉합할 수 있는 무의식적 위선 혹은 의식화된 감정을 따를 것인지 고민한다. 관객은 전통적 사회의 상징인 아버지의 권위와 위엄을 지향하면서도 사도세자의 비극을 보며 '나'의 존재론적 철학적 가치를 중시하는 양가적 태도, 도덕적 가치관을 내 보인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기표와 그에 대한 '나'의 저항 그리고 '나'의 광기를 살펴보는 가운데 도덕의 가치와 기준에 관한 관객의 사유를 살펴보고, 또한 과거의 도덕은 항상 도전에 직면할 수밖에 없고, 현재 역시 미래에 의해 전복될지도 모르는 도덕의 가치에 안위하고 있기에 관객이 최상의 것이기를 원하고 믿었던 도덕, 질서, 법의 체계는 언제나 미완성이고 변화무쌍한 것임을 말하고자 한다.

행위자의 화(火)가 한국 대학생의 도덕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nger on Moral judgment: With focus on college students)

  • 조자의;한성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
    • /
    • pp.47-75
    • /
    • 2008
  • 본 논문은 주로 인지적 발달과 도덕적 정서를 중심으로 기존의 도덕적 판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을 토대로 정서의 역할을 확대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행위자의 화가 사건판단과 행위자 평가를 관대하게 하고 판단자의 정서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다양한 도덕적 영역에서 '화'가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정서 처치는 피험자 간 변인으로 다양한 도덕적 영역은 피험자 내 변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행위자가 화가 나 있었다는 점이 판단자로 하여금 사건의 도덕적 허용성과 일반성을 높게 평가하게 하였다. 그러나 대인 관계적 윤리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행위자가 화가 났다는 점은 행위자에 대한 평가를 관대하게 하였다. 행위자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처벌 평가에서 사건 판단과 동일하게 대인관계 윤리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행위자가 화가 난 상태라는 점은 모든 영역에서 판단자의 공감을 높였고, 행위자에 대한 화를 낮췄다. 행위자의 화와 판단자의 도덕적 정서인 화의 상관 분석 결과 부모에게 욕한 행위만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부모에게 욕한 행위자의 화는 판단자의 대상에 대한 화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즉 다른 영역과 달리 행위자의 화가 판단자의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유아의 도덕성 발달과 가족요인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Family Factors and the Mor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 황혜원
    • 아동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5-49
    • /
    • 2003
  • 아동의 도덕성 발달이 가정환경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이미 여러 선행연구에 의해 밝혀진 바이다. 하지만 아동은 유아기 때부터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정의와 공평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도덕적 판단, 즉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결정을 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들은 편의상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6, 7세 유아의 도덕성 발달이 어떤 가족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러 가족요인들 중에서 본 연구는 가정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어머니의 가치관과 종교, 그리고 가정환경의 질에 초점을 두었다. 6,7세 아동과 어머니 41쌍이 조사 관찰되었다. 아동의 도덕성 발달은 Moral Development Scale Interview에 의해, 어머니의 가치관은 Schaefer and Edgerton Rank-Order of Parental Values에 의해, 가정환경의 질은 Home Observation for the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Preschool Version)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correlation, t-test, multiple regression, path analysis가 사용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가정환경의 질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증명 하였다. 즉, 어머니가 유아에게 지지적이고 자극적인 가정환경을 제공할수록 유아는 Moral Development Scale Interview에서 더 높은 접수를 받았다. 다중회귀분석에서도 가정환경의 질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을 예측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어머니의 교육정도와 가정의 소득정도가 가정환경의 질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