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 Issues in Korean Moral Education and Eastern Moral Education

도덕교육의 쟁점과 동양윤리교육

  • 고대혁 (경인교대 윤리교육학과)
  • Received : 2009.06.25
  • Accepted : 2009.09.23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emphasizes moral education than any other country or culture. Education is recognized as practical task for self-realization and self-transcendence in traditional Confucian community. This study starts from two questions. First, how moral education in Korea from late in the 19th, when the modernized schooling started, to now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soci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Second, what is the main issue of moral education in the progress of Korean education after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reflecting and reviewing these issues by context of Eastern moral education. After late in the 19th century, moral education in Korea is divided into three types: "Education for loyalty and filial piety and Moral cultivation", "Citizenship education and Education for anti-communism", and "Mor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mainly insists these types of moral education distort the sprit by political interests rather than inherit and develop sprit or basic value of moral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discusses characteristic of moral education and way to improve based on important two issues in Korean society; "Nationalism in moral education" and "Western biased education" Making individual's free will into group consciousness in accordance with political power group's interests rather than developing moral community based on each one's character building, nationalism in moral education deepens self-alienation. Western biased education makes self-negation as it considers western as core, and Korea and other traditional ideas as side. This study emphasizes reanalysis Eastern moral education and need effort for understanding of Eastern moral education to overcome Western biased education in Korean moral education.

우리 문화는 다른 어떤 국가나 문화보다도 학교교육에서 도덕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 전통문화에서 교육은 인간의 자기완성과 초월(초범입성(超凡入聖))을 위한 실천적 과업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는 다음 두 가지 문제의 식에서 출발한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도덕교육은 19세기 후반 근대적인 학교 교육의 출범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당대의 사회 정치적 상황에 따라 어떤 형태로 유형화될 수 있는가? 둘째, 해방이후 한국 교육의 전개 과정에 나타난 도덕교육의 주요 쟁점은 무엇인가? 특히 본 연구는 이들 쟁점을 동양 윤리 교육의 맥락에서 반성하고 검토하는 논의를 본 연구의 주요 관심사로 삼고 있다. 19세기 후반 이후 우리나라 도덕교육은 "충효교육과 수신교육", "민주시민교육과 반공교육", "도덕교육과 인성교육"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도덕교육의 유형은 우리 근대사의 사회정치적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한국사회에서 도덕교육의 유형은 전통 도덕교육의 정신이나 기본 가치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보다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그 정신을 일정한 형태로 왜곡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주장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주요한 두 가지 쟁점, 곧 "국가 중심주의"와 "서양 중심주의"를 중심으로 도덕교육의 특징과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국가중심주의는 개인의 인격 함양에 기초한 공동체 건설보다는 국가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구성원들의 의지를 집단화함으로써 개인들로 하여금 "자기 소외"를 심화하게 하였고, 서양 중심주의는 서양을 중심부로 한국이나 기타 전통과 사상을 주변부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한국인들에게 "자기부정" 의식을 강화하여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쟁점, 특히 한국 도덕교육에서 "서양 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양윤리교육에 대한 재해석과 이해를 위한 노력이 무엇보다 요청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경인교육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