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study based RME theor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가상조작 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학습이 초등학생의 공간감각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s Study based RME Theory with Virtual Operation Tools on Spatial Sense and Mathematical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 손태권;류성림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37-76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6학년 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을 분석하여 RME에 기반한 가상조작도구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공간감각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 도형 영역에서 가상조작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 학습이 일반적인 수학 학습보다 공간감각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는 평면적인 학습 환경에서 벗어나 RME 기반 3차원 가상조작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학생들의 공간감각을 기르는데 효과적인 방안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6학년 도형 영역에서 가상조작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특히 수학적 태도의 3가지 하위 요소인 수학교과에 대한 자아개념과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가상조작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학습이 자기주도적인 학습 습관을 길러주고 수업에 임하는 학습 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모둠 내에서 서로 협력하고 의사소통하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RME를 적용한 수학화 학습이 수학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5학년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Effects on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of Mathematising Learning with RME -Based on measurement region for fif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 백인수;최창우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23-34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RME를 적용한 수학화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해봄으로써 측정 영역에서의 수학화 학습이 수학적 사고 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이론을 분석하였으며 RME이론에 근거한 원리와 교수 학습 모형을 토대로 하여 수학화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측정 영역의 지도를 위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 S초등학교 5학년 학급 중 2개 반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처치 기간 동안 실험집단은 RME를 적용한 수학화 학습으로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교수 학습방법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RME를 적용한 수학화 학습은 학생들에게 수학적 사고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각 수학화 과정의 순환적인 반복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수학화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ceptualizing the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Approach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 Kwon, Oh-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2호
    • /
    • pp.159-170
    • /
    • 2002
  •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in differential equations has undergone important changes in favor of the visual and numerical aspects of the course primarily because of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Yet, research findings that have analyzed students' thinking and understanding in a reformed setting are still lacking. This paper discusses an ongoing developmental research effort to adapt the instructional design perspective of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RME)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differential equations at Ewha Womans University. The RME theory based on the design heuristic using context problems and modeling was developed for primary school mathematics. However,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a RME design for a differential equations course can be successfully adapted to the university level.

  • PDF

RME의 수학 학습 평가틀에 대한 고찰 -Jan de Lange의 수학 학습 평가틀을 중심으로- (Reflections on Framework for Mathematics Assessment in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Focusing on Jan de Lange's Framework-)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347-366
    • /
    • 2004
  • 본 연구는 최근 국제적인 수학 학습 평가의 틀을 제공하고 있는 Jan do Lange를 중심으로 RME의 수학 학습 평가틀을 살펴봄으로써, 제 7차 교육과정의 내실화를 위한 수학 학습 평가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RME의 철학과 Jan de Lange의 수학 학습 평가틀의 구성요소인 평가 목표, 피라미드, 맥락, 평가 유형과 채점 및 피드백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수학 학습 평가틀을 학급수준의 단원평가에 적용하고 있는 미국 교과서의 한 단원에 대한 평가 체계와 문항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수학 학습 평가를 위한 방향으로 국가수준의 수학 학습 평가틀의 구체화, 국가수준이나 학급수준의 수학 학습 평가틀의 일관성 추구, 교사와 예비교사의 수학 학습 평가 능력 신장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로서의 개발연구에 대한 고찰 (Reflections on Developmental Research as a Research Methodology)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353-374
    • /
    • 2005
  • 본 연구는 수학교육의 연구 방법론에 대한 많은 변화와 더불어 교과과정 개발의 과학적 접근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는 수학교육 연구 경향에 비추어, RME의 개발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좀더 발전적인 수학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RME 개발연구의 배경과 이론적 틀, 개발연구의 목표, 절차, 자료수집, 자료분석, 정당화 과정을 포함한 개발연구의 방법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수학 교과과정 개발의 개선을 위해 수학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반영한 교육과정 문서의 구성, 교과과정 개발 배경에 대한 충실한 보고, 교과과정 개발 절차 개정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 PDF

수학적 맥락 정보를 이용한 수업 환경에서의 학습자의 문제 해결 활동 (A Study of Students' Mathematical Context Information Accompanied Problem -Solving Activities)

  • 배민정;백석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44
    • /
    • 2003
  • 수학적 맥락 정보를 이용한 문제가 주어졌을 때, 학생들의 문제 해결 활동을 관찰하고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수학적 맥락 문제들은 Freudenthal의 수학 교육 이론과 RME에 따라 구성하였다. 그 결과, 개방된 형태의 맥락 문제가 보다 다양한 풀이를 산출해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는 스스로 형식적 수학을 재발명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그에 걸맞은 인지적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나름대로의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 PDF

수학적 직관을 키우는 게임 콘텐츠 개발 방법 연구 : 초등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Game Content Development Methodology for Mathematics Learning to Raise Mathematical Intuition: for Elementary Geometry Learning)

  • 김요섭;우탁;주희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95-110
    • /
    • 2013
  • 현재의 최신 교육과정은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학교에서 실제로 진행되고 있는 수학 교육은 창의성과 거리가 먼 주입식 교육으로 진행되어, 수학을 어렵게 여기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수학 교육'을 제안하였으며, 이에 게임을 활용한 수학 교육이 다방면에서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교육용 기능성게임들은 연역적 체계를 중시하는 현재의 수학 교육을 탈피하지 못하여, 창의성을 기른다는 목표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수학 교육용 기능성 게임들이 수학과목에 대한 목표와 수학 교수 학습이론을 깊이 고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수학교육이 지닌 주입식 교육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수학 교수 학습이론인 RME를 기반이론으로 하여 게임 요소를 활용한 수학적 직관 향상을 위한 초등 기하 교육용 게임 콘텐츠를 개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학화 경험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수학적 능력 및 수학화 분석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Abilities and Mathematization in the Mathematising Experience Instruction for Elementary Students)

  • 김윤진;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3호
    • /
    • pp.345-365
    • /
    • 2006
  • This study, to effectively teach the concepts, principle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2nd graders' learning of numbers and operations, offers realistic problem situation and focuses on the learning based on 'mathematiz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principles of RME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which is the mathematics education trend of Netherlands influenced by Freudenthal's theory. The instruction is applied to forty-one students of the 2nd grader for six weeks in twelve serie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athematising experience instruction for improving mathematical abilities, the group takes tests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Also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students' mathematising aspects through students' output at the instruction process is taken into account to evaluate the instruction's effects. The result shows that the mathematising experience instruction for improving mathematical abilities is proved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and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in learning numbers and operations after carrying out this instruction. Also the result indicates that students' mathematising aspects are mostly horizontal and vertical mathemat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