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n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of Mathematising Learning with RME -Based on measurement region for fif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RME를 적용한 수학화 학습이 수학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5학년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 백인수 (대구성지초등학교) ;
  • 최창우 (대구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 Received : 2015.07.08
  • Accepted : 2015.08.20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establish and apply a program created with RME for mathematising instruction and learning and identify how it influences on the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in the field. In order to deal with this study inquiries, related theories have been analyzed establishing a program for mathematising instruction and learning method based on a model of them and RME theory principles and re-organizing education courses for instruction on the fields concerned. Study subjects were limited to two classes consisting of fifth graders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Daegu and divided them in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 group was given a mathematising learning method applied with RME, while a control group had a class with regular methods of learning and instruction during the period of experiment. As a summary of aforementioned results of the study, mathematising learning method applied with RME had an effect on improv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for students and also on promoting mathematising outcome through a repetitive experience in each procedure obtained on a regular basis.

본 연구의 목적은 RME를 적용한 수학화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해봄으로써 측정 영역에서의 수학화 학습이 수학적 사고 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이론을 분석하였으며 RME이론에 근거한 원리와 교수 학습 모형을 토대로 하여 수학화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측정 영역의 지도를 위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 S초등학교 5학년 학급 중 2개 반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처치 기간 동안 실험집단은 RME를 적용한 수학화 학습으로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교수 학습방법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RME를 적용한 수학화 학습은 학생들에게 수학적 사고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각 수학화 과정의 순환적인 반복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수학화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유진(2007). 현실적 맥락을 활용한 수학화 학습이 아동의 수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5학년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윤진(2005). 초등학생의 수학적 능력 향상을 위한 수학화 경험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은하(2011). 수학적 사고유형에 따른 서술형 평가문항과 평가기준 개발: 수학II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박영훈(2005). 맥락기반 수학프로그램인 'Mathematics in Context'의 학교적용 효과성 연구. 열린교육연구, 14(2), 23-40.
  5. 박준석(2010). 실생활 수학교육(RME)에 근거한 수학화 학습이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우정호(2000).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 출반부.
  7. 유미현, 강흥규(2009). Freudental의 수학화 이론에 근거한 제7차 초등수학 교과서 5-가 단계 넓이 단원의 재구성.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1), 115-140.
  8. 최선아(2002). 실제적 맥락의 문제 상황을 활용한 분수 학습의 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황선형(2010). RME이론에 기초한 측정영역의 학습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Fredenthal, H.(1978). Weeding and Sowing: Preface to a Science of Mathematical Education, D. Reidel Publishing Company.
  11. Fre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any.
  12. Treffers, A. (1987). Three dimension: A model of goal and theory description in mathematics education-The Wiscobas project.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