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Contents in Middle School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3초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Research Trends of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Overseas)

  • 박선영;김원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3호
    • /
    • pp.285-308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how researches on mathematics education are being conducted currently in Korea and overseas and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researches on mathematics education from a broader view. Although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understand trends in researches on mathematics education, there have been few in depth studies on research trends in overseas or for comparison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trends. Thus,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181 domestic articles between 2005 and 2009 in the journals and and 201 overseas articles in the journals and according to year, research area, research contents, school level, research method, and key words using the PME classification system with some modification. Through these analysis, we examined research trends on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and oversea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 learning process' was a spotlight area both at home and overseas, and 'realistic mathematics' and 'social cultural subjects' were not covered much either at home or overseas. 'Mathematical communication' occupied a very small portion in Korea but was a highly interesting area in overseas research. Second, research contents of interest were different between Korea and overseas. Research on general area was the mainstream. But geometry and statistics were mainly studied in Korea and algebra and analysis in overseas. Third, research related to middle school was twice more than that related to high school in Korea, But, research related to middle school was the same as high school in overseas. Fourth,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absolute majority both at home and overseas, and philosophical didactical analysis was used only in Korea. Fifth, the order of key words were problem solving - teacher - curriculum - creativity - textbook in Korea, but teacher - teaching - semiotic - affective factor - proo f- problem solving - technology in overseas.

교수요목기 초급중학교 수학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전개 방식 분석 - '직선'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Analysis on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ublished in the Syllabus Period Centered on the Concept 'Straight Line')

  • 도종훈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95-108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광복 이후 우리나라 현대 수학교과서의 출발점라고 할 수 있는 교수요목 기 수학교과서의 내용 구성과 그 전개 방식을 '직선'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로부터 60여년이 지난 현행 수학교과서와 비교하여 시사점을 논의한다.

한국과 독일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을 통한 함수 내용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Function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nd Germany)

  • 허난;안은경;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2호
    • /
    • pp.323-343
    • /
    • 2011
  • 2011 교육과정 개정 시안연구에서는 중학교 수준의 함수는 현실 세계의 상황을 이해하는 도구로서 초점을 맞추고, 중학교에서의 함수를 토대로 고등학교 함수에서 여러 영역을 통합하는 아이디어로서의 대응의 관점에서 정의된 형식화된 함수 개념으로 확장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에 국제적 표준 교육과정과도 발맞추기 위하여 다른 나라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고에서는 독일에서의 함수 도입과 교수학습 측면에서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독일의 여러 학교 형태 중 우리나라의 교육제도와 비슷한 학교 형태인 게잠트슐레(Gesamtschule, 종합학교)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우리나라의 교과서와 비교 분석하였다. 함수영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교과서의 구조적인 부분인 체제와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독일 교과서에서는 함수 개념 도입과 내용 전개 방식, 그래프의 지도 방식 등에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는 차이점을 보였다. 이는 우리나라의 개정 교육 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에 참고가 될 만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성에 관한 학생 의견 조사 연구 (The Study on the Students' Opinion about the Content Relevance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 이대현;임재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4호
    • /
    • pp.509-52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the content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that are implemented for 3-10 grade students in Korea. To satisfy the purpose of the study, we conducted a nationwide questionnaire to get opinions from students on the relevance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4,1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4,571 middle school students, and 1,653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Many students feel that the quantity is relevant, so the requirement of reduction in quantity is a little. Also secondary students feel that mathematics is difficult and this condition becomes more serious in proportion as grade. Finally we noticed the difference between sexes, grades, and tracks of studying in every question.

  • PDF

중학교 수학교과의 온라인 게임형 콘텐츠 개발 (Game Based Online Contents Development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 조은순;김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248-256
    • /
    • 2007
  • 본 연구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급속히 관심이 확산되고 있는 게임형 콘텐츠를 중학교 수학교과에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 설계 전략을 수립하여 이를 기반으로 콘텐츠로 개발한 후 적용을 통해 현장 적용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교과 학습을 위한 게임형 콘텐츠 설계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 콘텐츠로 개발한 후 운영상의 고려할 점들이 무엇인지를 실제 수업 현장에서 분석하였다. 중학교 수학교과용 게임형 콘텐츠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 기존 사례조사, 분석, 관련 사이트 검색, 전문가 회의 및 학교 현장 전문 교사진 검토 및 적용 테스트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용 게임형 콘텐츠의 설계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실제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콘텐츠를 실제 중학 수학교과에 적용하여 현장적용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추출하여 최종 수정하였다. 연구결과, 게임형 콘텐츠는 학습자들의 흥미유발과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향후 다른 교과와 다양한 학습자 그룹으로 확산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결과는 향후 중학교 온라인 게임형 콘텐츠, 특히 수학교과의 현장 적용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수학 교과서와 미국 CMP 교과서의 비교.분석 - 중학교의 방정식과 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and U.S.A.'s CMP textbooks -focused on equation and function in middle school-)

  • 추재임;이종학;김원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1호
    • /
    • pp.43-6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textbooks by comparison between Korea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U.S.A.'s CMP textbooks. After comparing and analysing how the contents are composed focusing on the equations and functions and how the contents are presented according to 'Project 2061' mathematical textbook analytical framework, and how the contents ere different in terms of the mathematical connectivity, the research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compared to Korean textbooks, the CMP textbooks clearly present learners' behavior goals in a detailed way, and emphasize communication and connectivity. Second, Korean textbooks focus on explaining concepts and 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ir concepts and discussion questions are briefly introduced. But all the textbooks contain a lot of problems required to be solved with algorithms. On the other hand, CMP textbooks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find the necessary concepts on their own, through problem solving processes, after presenting various real-life problem situations.

중학교 수학 교과서 문제의 인지적 영역 분석 (Cognitive Domain of Problems in Korea Mathematics Textbooks)

  • 이지혜;허유진;신민경;허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451-465
    • /
    • 2019
  • Textbooks are official materials so that these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teaching materials in school. The teacher constructs the less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to achieve the learning goal. Thus, textbooks play an important role because the quality of the contents in textbooks affects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gnitive domain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knowledge, understanding,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of 'Values and Expression' in the mathematics textbook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reflecting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e also looked at cognitive levels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nderstanding was dominant in 'Values and Expression'. Also, although the problem of requiring a higher level of cognition is increasing as the unit finishes, there are still a high percentage of low level of problems.

수학교실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 탐색 : 중학교 통계 단원 시나리오 개발을 중심으로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atistic scenarios)

  • 최인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49-174
    • /
    • 2022
  • 본 연구는 수학교실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에서의 AI 활용 영역을 조사하여 수학교실에서 AI를 활용한 수학교육의 방향을 전망해 보고, 중학교 통계 단원에서 AI를 활용한 시나리오 개발을 통해 수학 수업에 AI를 도입하였을 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분절적으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AI와 에듀테크(EduTech) 기술들이 수학교실에서 어떻게 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중학교 통계 단원에서 시나리오 개발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이후 본 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수학교실에서 유의미한 AI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각 및 각도 지도 내용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eaching Contents for Angle and Measure of an Angl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between Korea and Japan)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1호
    • /
    • pp.35-4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각 및 각도 지도 내용을 비교했다. 이러한 비교로부터 다음 다섯 가지를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에 따른 교과서에서의 각 및 각도 지도 내용 개선을 위한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첫째, 각의 정의 방식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각을 정의할 때 이외에는 반직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없고, 각을 정의하는 방식과 직각을 정의하는 방식은 일관되지 않는다. 둘째, 평면도형의 이동에서 돌리기를 $90^{\circ}$, $180^{\circ}$, $270^{\circ}$, $360^{\circ}$와 관련짓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둘을 관련시키는 것은 5학년에서 점대칭도형을 취급하는 것과도 연결된다. 셋째, 각의 크기 비교에서 '각의 크기가 같다'를 취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각의 크기를 비교하면서 두 각을 겹쳐보는 활동을 해 보는 것으로 가능하다. 넷째, 회전각의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회전각으로서의 $360^{\circ}$를 취급하는 것은 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이 $360^{\circ}$임을 설명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다섯째,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연계될 필요가 있다. '평각'은 중학교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정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을 구하는 것도 중학교에서 취급해야 하는 내용이다.

학교수학에서의 함수 개념 지도 방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nstruction of function concept in school mathematics)

  • 강윤수;정성현;강덕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381-403
    • /
    • 1998
  • As a researcher engaged in the mathematical education, mathematics teachers are interested in instructional methods. While it is unlikely that the viewpoints of individual mathematics teachers are reflected in making decisions on instructional purposes and instructional contents, a good many parts of instructional methods on mathematical facts are decided by individual teachers. This means that the role of mathematics teachers is given much weight in the mathematical education. Therefore, the mathematics teachers must not be excluded in all parts of the study of mathematical education. We studied the instructional methods of function concept, a central topic in school mathematics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 First,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correspondence-centered, middle, dependence centered) viewpoints about the essence of function concept. And we should that which of them should be the viewpoint of instruction of function concept in school mathematics. Second, we investigated the questions regarding the process of function instruction in school mathematics and presented alternative instruction methods of function concept to solve the questions. Third, we postulated the importance of polynomial function, relating college mathematics in order to present the reason why the polynomial function is importantly treated in functional instruction of school mathema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