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der Trust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2초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부하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 Leader's Behavioral Integrity on Subordinates' Intention to Leave: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as Mediating Variables)

  • 문지영;이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210-8221
    • /
    • 2015
  • 본 연구는 리더의 특성 중 최근에 관심을 받고 있는 행동적 성실성(behavioral integrity)의 효과를 검토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과 부하직원의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부하들이 느끼는 리더에 대한 신뢰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 때, 신뢰를 단일차원이 아닌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의 두 개 차원으로 구분하여 이를 통해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들에 종사하는 357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준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후 본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안전 리더십과 리더 신뢰가 근로자 참여 및 안전 지식을 매개로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afety leadership and trust in leader on safety behavior mediated by workers' involvement and safety knowledge)

  • 임정훈;이형용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3호
    • /
    • pp.103-12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기업 내 근로자의 안전 행동과 관리자의 안전 리더십, 리더 신뢰, 근로자 참여, 안전 지식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요인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중대재해 예방에 기여하는 근로자의 안전 행동을 강화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산업재해가 발생하게 되면 기업 입장에서는 재해자를 대상으로 보상을 하는 직접비와 더불어 인적 손실, 물적 손실, 생산 손실, 시간 손실 등 간접비의 발생으로 막대한 손실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조업에 종사하는 생산, 기술, 노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관리자의 안전 리더십과 근로자의 리더 신뢰가 근로자 참여, 안전 지식을 매개로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SPSS 와 PLS를 이용하여서 제조업체 근로자 271명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안전 리더십과 리더 신뢰는 근로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근로자의 안전 지식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근로자의 안전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골프 지도자의 코칭행동이 지도자 신뢰 및 재등록 간의 인과 관계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Behavior of Golf Leaders and Leader Trust and Re-Registration)

  • 임영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20-232
    • /
    • 2022
  • 본 연구는 골프 분야에서 인적 서비스에 해당하는 골프 지도자의 코칭행동과 지도자 신뢰, 재등록 간에 일어나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2022년 2월 1일~3월 11일까지 223명을 유효표본으로 인과 관계 분석(SEM)을 실시하였다. 첫째, 코칭행동과 지도자 신뢰 간에 인과 관계가 성립되었고, 둘째, 지도자 신뢰와 재등록 간에 인과 관계가 성립되었다. 마지막으로 코칭행동과 재등록 간에 부분적으로 채택이 되었지만, 지도자 신뢰의 간접효과로 행동의 유효성을 존재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고객이 인식하는 코칭행동은 다양한 변수에 의해 영향력이 존재하며, 지도자 신뢰는 골프장 경영성과에도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나 변화하는 골프 시장에서 인적 서비스가 주목되어야 할 부분임을 강조하는바 기존 선행연구와 본 연구를 대입한 경영전략이 필요하다 사료 된다.

벤처기업 창업자의 리더십 영향력에 대한 마음챙김의 상호작용 효과 (Mindfulness' interaction effect of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 Leadership of Venture Firm)

  • 이일한;김정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881-1890
    • /
    • 2010
  • 벤처기업에 관한 연구는 주로 창업자의 특성 및 벤처기업의 성과에 대한 연구 등이 주를 이루어 왔지만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벤처기업 창업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자의 리더십과 마음챙김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48개 회사의 172명의 구성원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SPSS와 AMO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이 리더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카리스마, 개인배려, 지적자극 모두 리더신뢰에 영향력을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신뢰가 조직 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리더신뢰는 조직 냉소주의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리더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리더신뢰는 조직몰입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음챙김과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카리스마, 개인배려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나 지적자극과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Influence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 politics of social welfare facility employee to job attitudes - Focusing on mediator effect of leader trust-

  • Kweon, Seong-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31-137
    • /
    • 2018
  •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 politics of social welfare facility employee to job attitude,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it aims to suggest theoretic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survey targeting social workers working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Gwangju. 350 copies of survey were distributed,. 197 copies were retrieved and 176 copies were used in analysis after excluding 21 copies with insincere reponses.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through SPSS 20.0 for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below. This study analyzed the job exhaustion, turn over intention and causal relationship as the result variables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 politics of social workers, and analyzed the leader trust as mediating effect among the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perception of organization politics. As for the analysis result,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 politics of social workers improve job exhaustion and turn over intention, and leader trust was confirmed to have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윤리적 리더십과 종업원의 행동 간의 관계-종업원의 자기효능감과 리더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roles of employees' self-efficacy and trust in lea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employees' behaviors)

  • 김영형;김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71-81
    • /
    • 2016
  •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행동(일탈행동과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과 윤리적 리더십과 종업원의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과 리더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4개의 가설을 개발하고 개발된 가설은 단순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윤리적 리더십은 종업원의 일탈행동에는 부(-)의 영향을 그리고 자기 주도성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업원의 자기 효능감과 리더에 대한 신뢰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과 미래 연구 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갈등의 경험이 개인-조직 적합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xperienced Conflict on Person-Organization Fit and Turnover Intention)

  • 이정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25-333
    • /
    • 2019
  • 본 연구는 팀 구성원이 지각하는 갈등이 개인-조직의 적합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유의미한 시사점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지각된 개인-조직 적합성이 갈등과 이직의도를 매개하는지, 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신뢰가 갈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실증자료의 분석 결과, 팀 내 갈등은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 목표 가치 적합은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성격적합은 통계적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개인-조직 적합성은 갈등과 이직의도를 매개하였으며, 리더에 대한 신뢰는 개인-조직 적합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팀 구성원의 지각된 갈등, 개인-조직 적합성, 이직의도와의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기존 연구와의 차별화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 of Leadership Types of Managers Perceived by ICT Organization Members on Leadership Trust and Job Satisfaction

  • Kim, Moon 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2호
    • /
    • pp.212-223
    • /
    • 2020
  • We study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trust and job satisfaction on the leadership style of managers recognized by ICT organization members. To this end, the research hypothesis established by using SPSS23.0 for the survey results of 230 ICT organization members was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1 person leadership type (individual consideration: H1-1, intellectual stimulation: H1-2, charisma: H1-3, conditional compensation: H1-4, exceptional reward: H1-5)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der trust. The results were obtained. Second, the hypothesis 2 manager's leadership type (individual consideration: H21-1, intellectual stimulation: H2-2, charisma: H2-3, conditional compensation: 2-4, expected compensation: H2-5) is based on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mpact relationship, all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it acted as a positive factor i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leader of the hypothesis 3-member organizational member.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started based on the trust of actual leaders. Fourth, the role of leadership trust was partially confirmed between leadership type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ICT organizational members, the importance of exerting competency on the leadership type of managers and trusting the leaders on the characteristics consistent with IC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as emphasized.

국내 진출 다국적기업 자회사 종사자들의 조직동일시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that influenc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mong employees who work for foreign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Korea)

  • 김정훈;신덕정
    • 무역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5-75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factors that influenc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f employees who work for foreign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Korea. First, we test whether employee perceptions on leader-member exchange, trust in CEO, and career growth opportunity can influence their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second, we also investigate moderation effects of employee perception on subsidiary level factors such as co-operation between the subsidiary and its HQ, firm reputation of the subsidiary, and opportunity to work overseas. 391 survey results from 350 subsidiari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Korea has been collected for this study. We found that leader-member exchange, trust in CEO and career growth opport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f employees who work for foreign subsidiari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Korea. We also found partial support for the moderation effects of HQ-subsidiary interrelationship and opportunity to work overse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ors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With this in mind, I hope this help to reconsider competitiveness of global companies in Korea by increasing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민간경호·경비원의 갈등관리가 리더신뢰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licit Management of Private Security Guard on Trust for Leader and Turnover Intention)

  • 김은정;박영민;고병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51-160
    • /
    • 2011
  • 본 연구는 민간 경호 경비원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라 민간 경호 경비원들이 인식하는 갈등 관리가 리더신뢰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민간경비 종사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갈등관리 방안 유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0년 서울 경찰청에 등록된 민간경비회사에 다니는 경호 경비원을 대상으로 선정한 후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 설문한 총250명 중 234명의 표본을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210 명이다. 입력된 자료는 SPSS WIN 17.0 Version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설문지의 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alpha}$값이 0.838~0.859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첫째 민간경호 경비원의 갈등관리 하위요인인 통합 타협 은혜는 리더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둘째 민간경호 경비원의 갈등관리의 하위요인인 통합 타협 은혜 지배는 이직의사에 부적영향을 미치며, 셋째 리더신뢰는 이직의사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