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omplicit Management of Private Security Guard on Trust for Leader and Turnover Intention

민간경호·경비원의 갈등관리가 리더신뢰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1.06.09
  • Accepted : 2011.06.2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ethod for an effective conflict management to private security workers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complicit management that recognized by private security, guard on trust for leader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complicit management type of private security, guard. The subjects was sampled by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after selecting security, guard who work in private guard company registered in the Police Department in Seoul in 2010. Respondents of this study was sampled a total of 250 people and collected the sample of 234 people, and the number of cases used in the final analysis was 210 people. The entered data was processed by using SPSSWIN 17.0 Version to appl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was Cronbach's ${\alpha}$ value of 0.838~0.859. First, combination, compromise, and grace the sub factors of the conflict management of private security, guard affect on trust for leader. Second, compromise, grace, and rule the sub factors of the conflict management of private security, guard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trust to leader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본 연구는 민간 경호 경비원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라 민간 경호 경비원들이 인식하는 갈등 관리가 리더신뢰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민간경비 종사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갈등관리 방안 유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0년 서울 경찰청에 등록된 민간경비회사에 다니는 경호 경비원을 대상으로 선정한 후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 설문한 총250명 중 234명의 표본을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210 명이다. 입력된 자료는 SPSS WIN 17.0 Version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설문지의 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alpha}$값이 0.838~0.859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첫째 민간경호 경비원의 갈등관리 하위요인인 통합 타협 은혜는 리더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둘째 민간경호 경비원의 갈등관리의 하위요인인 통합 타협 은혜 지배는 이직의사에 부적영향을 미치며, 셋째 리더신뢰는 이직의사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Bedeian, A.G., Armenakis, A.A. (1981). "A path-analytic study of the consequences of role conflict and ambigu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24, pp.417-424. https://doi.org/10.2307/255852
  2. Diffie-Couch, P. (1984). "Building a feeling of trust in the company." Supervisory Management, Vol.31, pp.6.
  3. Hammock, G.S., Richardson, D.R (1991). "Aggression as one response to conflict."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22, pp.298-311.
  4. Thomas, K.W., Schmidt, W.H. (1976). "A survey managerial interests with respect to conflic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19, No.2, pp. 315-318. https://doi.org/10.2307/255781
  5. 김경식, 김찬선, 이광렬, 김평수 (2009). "시큐리티 요원의 여가관 분석" 한국콘댄츠학회지, Vol.9, No.1, pp.27-38.
  6. 김범성 (2005). "경영자의 갈등관리유형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2, No.4. pp.65-84.
  7. 김선경, 김영국 (2010). "프랜차이즈 본부의 권력행사가 가맹점의 갈등해결유형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호텔경영학연구, Vol.19, No. 1. pp.121-135.
  8. 박영만, 김은정, 정주섭, 강호정 (2010). "민간경호경비 조직의 갈등관리 방식과 조직성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지,Vol. 10, No.9, pp.375-386.
  9. 박영진 (2006).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10. 박현호 (2003). 조직 행동론. 박영사, 서울.
  11. 이병무 (2009). 호댈업 중간관리자의 갈등관리유형이 리더신뢰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12. 유청렬, 이경희 (2003). "조직갈등이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 Vol.6, pp.67-95.
  13. 정대용, 이원행, 김춘광 (2009). "민간경비업체 상사의 리더십이 경비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대회, Vol.2009, pp.l-15.
  14. 정세종 (2005). 경찰 조직내 갈등관리 방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이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15. 정용주 (2006a). 갈등관리 유형이 리더신뢰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16. 정용주 (2006b). "호댈지배인의 갈등관리 유형이 리더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No.23, pp.177-196.
  17. 천만봉 (2009). "국제기업의 조직갈등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