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Image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3초

Landsat Mss Data를 이용한 서울시 산림패취의 패턴 변화분석 (Analysis of the Change in Pattern of Seoul Forest Patch to have used Landsat MSS Data)

  • 이종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0-250
    • /
    • 1998
  • This study is to have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forest landscape pattern of Seoul for 18 years by grasping it through satellite image data on the forest area in Seoul where a rapid change according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s going on. On the basis of Landsat MSS data- satellite image data, this writer analyzed the change in the number and size of patch and the mean edge length of each forest land, and the index of patch shape by each year from a landscape -ecological point of 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attern change of the forest patch of Seoul, the highest patch fragmentation area is the forest of the Yangchon-gu district where is decreasing it forest area by 654ha, 511ha, 495ha, 402ha each year from its total size of 742ha in 1979. Second, the change tendency shows that the average forest size decreased at 552.58ha in 1983, 435.03ha in 1988, 396.23ha in 1992, and 379.96ha in 1996. And analysis showed that even in the number of patches, the forest fragmentation phenomenon was presenting by the increase of development disturbance. Third, the mean edge by year was longest at 23,385m in 1979, but it is decreasing continuously. This shows the regular and artificial uniformity of forest landscape by disturbance-effect increase of the built-up development and shows low portion against edge effect by the time-series change like 1979>1983>198>1992>1996. Finally, in the analysis of a shape index indicated by ratio of size and edge, total averages were 2.56, 2.33, 2.17, 2.14, 2.14 each year, so that it is considered that the disturbance and ecological health status against forest landscape can be grasped according to being examined as 1979>1983>1988>1992, 1996 by the time-series change of the landscape.

  • PDF

부곡온천과 기노사끼온천 관광지 가로경관 비교분석 - 색채 분석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Street Landscape of Bugok Hot Spring and Kinosaki Hot Spring - Focused on Color Analysis -)

  • 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24-31
    • /
    • 2006
  • The tourism sites and attractions of South Korea in many ways have little specialties in their image due to the local development plan's uniformed way of designing and improving landscape. The lack of specialties in tourist sites and attractions have caused displeasure from the local residents, as the sites don't characterize the locals as attractively and appealingly as is the potential. There have been no research or studies on the scenic effect on tourism or resort development thus producing an urgent call for local authorities to develop planned landscapes of local sites. This study compares Bugok Onchon (hot spring), whose image hardly differentiates itself from the others, with Kinosaki Onsen (hot spring). Bugok Hot Spring, which is the case study of this report, has recorded a steady decline of visitors due to a result of uniformed development planning. In the case of Kinosaki Hot Spring, scenery development, however, has made a breakthrough in tourist increase despite its no-so-easily-accessible location. The study assumes that scenery effects changes in promoting local tourism, thus analyzing and comparing the two hot springs to unearth critical factors in tourist site development, as well as viewing the present state of Bugok Hot Spring for further study. Furthermore, the study provides tourist site developers with a guideline of the two comparative Hot Spring cases. Investigations and analyses are mainly focused on color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making underlying images of tourist sites, and the comparison of Bugok Hot Spring with Kinosaki Hot Suing. Bugok Hot Spring shows the influences of accent colors as well as a variety of color combinations and similarities of color tones. Kinosaki Hot Spring shows a combination of naturally-generated colors its own scenic beauty by trimming the landscape.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hot springs, Bugok (boulevard) uncovers a typical case of Korean local landscape planning, even with the well-known tourist attraction 'Bugok-Hawaii', and calls upon a new, serious landscape-improvement plan to increase visitors.

농어업유산의 경관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항목 분석 (An Analysis on the Measurement Items to Assess the Landscape Valu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 최우영;민병욱
    • 농촌계획
    • /
    • 제20권4호
    • /
    • pp.89-9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 to define what measurement items in terms of subjective consideration and preference can be used to assess the landscape values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and second, to understand the perceptive patterns particularly how landscape experts weigh up the importance of the each measurement item. In order to extract the measurement items,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including research documents as well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y reports. A survey targeting the experts was conducted to ask their opinions on the importance of the selected items. For the analysis, SPSS 20.0 for Windows was used to carry out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arithmetic mean and frequency distribution,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ing. The results are: the importance value of the landscape values in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was 4.1494; the ratio value that the experts perceived the importance was 87.2%; and the average of the importance value of the analyzed items was 3.71. All the items have more than 3.00. Ten factor groups were summarized and defined whose total explanation power was 67.86%. The factor groups were named as lyricism, authenticity, environmentally-friendliness, durability, recognizability, regionality, visibility, value of sightseeing, social image, and universalit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andscape values are, in order of importance, recognizability, authenticity, visibility, universality, durability, and nativen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however, environmentally-friendliness, regionality, value of sightseeing, and social image were not as important.

자연장의 유형별 시각적 이미지 분석 (Visual Image Analysis on the Types of Natural Funeral)

  • 김철재;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5-88
    • /
    • 2014
  • 본 연구는 자연장의 유형 분류를 통해 유형별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 선호 이미지에 대한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시민 5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중에 장례전문가 224명이 포함돼 있다. 서울, 대전, 전주,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이 주로 설문에 응답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자연장지의 시설을 장지시설과 추모시설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시설을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중 장지시설을 수목형, 정원형, 화초형, 잔디형, 산골형으로 분류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장지시설에서는 물리적 요인, 외형적 요인, 균형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가장 선호하는 장지시설 유형은 수목형으로 나왔고, 그 다음으로 화초형, 정원형, 잔디형, 산골형의 순서로 나왔다. 셋째, 각 유형별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이미지 요인의 평균값을 기본으로 지각도로 그려 제시하였다. 넷째, 자연장의 일반적 특성별 이미지 요인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검증을 한 결과, 장지시설의 경우 전체적으로 물리적 요인에서는 성별, 연령별, 학력별, 유형별, 외형적 요인에서는 성별, 종교별, 집단별, 유형별, 균형적 요인에서는 성별, 학력별, 유형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각 요인에서 평가가 높게 나왔고, 연령별로 보면 물리적 요인에서 전반적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평가가 높아지는 경향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각 시설에서 도출된 이미지 요인이 해당시설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지시설에서는 5가지 유형 모두 물리적 요인, 외형적 요인, 균형적 요인이 시설 선호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조경시설의 이미지 요인이 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인과 전문가 집단 사이에 그 차이가 있는지 집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장지시설의 경우, 정원형에서 외형적 요인에서 유의적인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고, 기타 이미지 요인에서는 유의적인 조절효과를 찾을 수가 없었다. 또한 본 연구는 자연장지의 장지시설의 형태별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아직 태동기에 있는 자연장이 아직은 학술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발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른 한 편으로 자연장지 표준 경관 이미지 분석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전통적 장사 이념을 지켜 나가며 새로운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장사문화를 발전시켜 나감으로서 국민들이 자연장을 선택할 수 있는 합리적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낙수장 디자인에 내재하는 조경적 특성과 그 형성 배경 (Landscape Characteristic and Its Background of the Fallingwater Design by Frank Lloyd Wright)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0-100
    • /
    • 1999
  • The Fallingwater, one of Wright's best designs, is known as a good example of "Organic Architecture". Its landscape characteristics ar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landscape, adaptable siting, composition of spatial and visual structure, floating spaceness, interlocking of water and house, dramatic approach, and vernacular material use. This characteristics had begun from the Prairie architecture, but also had influenced by the culture and art of the Far East. He was open to foreign cultures. Staying in Japan for years, he had travelled China, too. In this process, he might be exposed to Korean art and culture which were under Japan at that time. Comparing the front image of the Songkwang Temple to that of the Fallingwater, their compositions between architecture, water, and landscape are so similar to each other. They are also close to each other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Therefore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Fallingwater design are more similar to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an Japanese ones. Therefore we are going to suggest the hypothesis that Wright is influenced by Korean landscape design in the design of the Fallingwater. Considering his impact upon the design world, it will be significant if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design is placed behind his design of the great architecture.hitecture.

  • PDF

실내조경에 있어서 식물의 시각량이 시각선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Ratio of Greenery on the Visual Preference in interior Landscape)

  • 이남현;방광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2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optimum level of the Ratio of Greenery within the frame of vision in the interior landscape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visual character and preference of the interior landscape. The concept of the RG was defined as the ratio of projected area of plants higher than 1.2M against background wall from eye level. 5 photography of Interior landscape space -- 10,20,30,40 and 50% of the RG-- were constructed by computer graphic techinques. Likert scale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ere used to analyse visual character and preference of the interior landscape spac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 1. Factors that compose of the image of the interior landscape have been found to be the "evaluation ", "complexity". The mean value of semantic differential sca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G. When the RG was 20~30%, "Harmony" and "stability" was strongly recognized than the other factors and the interior landscape made the interior space natural and intimate. But at the RG 40!50%, users felt "stuffy" and "too complex" by many plants, so it was not efficient the Interior Landscape. 2. The visual prefer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RG. The mean value of the visual preference was increased as the RG was higher, it was the highest at the RG 30%. But over the RG 30%, the preference level was declined. 3.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optimum level of RG in the Interior Landscape is 30%.at the optimum level of RG in the Interior Landscape is 30%.

  • PDF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 주변 경관이미지 및 선호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and Visual Preference for the Seongpanak Districtat at the Mt. Hallasan)

  • 김세천;허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4-140
    • /
    • 2007
  • 본 연구는 자연성 정도를 달리한 산악조망경관에 있어 각 공간별 형태적 특성이 지니고 있는 이미지 및 시각 선호도를 구명하여 차후 공원관리 및 설계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 상에서 촬영한 사진자료를 평가매체로 하여 자연도에 따른 이미지와 선호도를 조사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호도 평가치는 자연성 정도 및 포장의 재료특성 등의 영향으로 정상부로 향할수록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변 이미지 평가는 아름답고 매력 있으며, 깨끗한 이미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인자분석 결과 4개의 인자군은 각각 ${\ulcorner}$경관매력도인자${\lrcorner}$, ${\ulcorner}$공간스케일인자${\lrcorner}$, ${\ulcorner}$자연성인자${\lrcorner}$, ${\ulcorner}$지형지세 인자${\lrcorner}$라고 명명 분류되었으며 전체 변량중 이들 인자군의 설명력은 57.6%이었다. 자연도와 명명 인자별 관계에서 각 공간별 인자점수의 평균치 변화 결과 자연도가 증가하면 할수록 경관매력도차원의 인자점수 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미적 인 감각과 시설물의 수에 상관성이 있을 것이란 판단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시각선호도 모형 분석 결과 경관매력도차원의 인자가 시각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심공원 이용 후 평가를 통한 이용 만족도와 이미지 평가 - 대구 2·28기념중앙공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n Use Satisfaction and Image Evaluation of User through Post Occupancy Evaluation in Urban Park - On the 2·28 Memorial Park in Daegu -)

  • 구민아;엄붕훈;한예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1-20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공원 중에서도 도시화와 환경문제에 있어 가장 중심에 있는 도심공원인 대구 2.28기념중앙공원을 대상으로 공원 이용 후 평가를 통해 이용자 만족도,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집단별 특성에 관해 분석한 것이다. 이는 추후 공원관리뿐 아니라, 공원설계, 환경 적합성 예측, 정책 및 프로그램 효율성 분석을 위한 자료를 마련하는 목적으로 한다. 조사 시기와 방법은 2016년 5월 11일에서 26까지 15일간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실시되었다.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이용행태분석, 만족도, 이미지평가 설문항목을 도출하여 SPSS를 통해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항목들이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인과관계의 요인들이 추출되었고, 만족도와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2.28기념중앙공원은 대부분 항목에서 이용 만족도와 이미지 평가치가 높게 평가되어 높은 만족도와 선호도를 보였다. 평가결과, 추후 도심공원계획과 설계에 있어서는 만족도와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된 녹지수경 요인과 정돈성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고, 도심공원의 특성상 공원 이용자들도 도심 환경문제를 느끼고 있기에 평가치가 낮은 소음도(3.92), 식물수종(4.09), 공기의 질(4.10), 조용한(4.22)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음 완화와 녹음 확보 등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태양열시설이 전통사찰의 경관경험에 미치는 영향 - 통도사 진입경관을 중심으로 - (Impact of Solar Energe Facility on the Landscape Experience of Traditional Temple - Focused on the Entrance Way of Tongdosa -)

  • 이영경;김정은;이서율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4-121
    • /
    • 2010
  • 전통사찰은 아름다운 경관 안에 문화적 가치가 있는 건조물이 조화를 이루는 역사적 장소로서, 수행과 기도, 그리고 포교가 진행되는 숨 쉬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강한 장소성과 독특한 가치가 있는 곳이다. 문화유산으로서의 전통사찰의 가치와 장소성 보존은 사찰경관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관조성에 필요한 전통적인 건축물은 에너지 효율성이 매우 낮아 전통사찰 관리에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특히 산중 사찰의 경우에는 겨울철 난방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과 비용이 매우 높아,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신재생 에너지원 이용을 통한 에너지 효율성 향상은 변화하는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전통사찰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전통사찰의 경관을 훼손하면 자칫 사찰의 장소성을 훼손하고 더 나아가 문화유산으로서의 사찰의 가치를 저하시킬 우려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사찰에 설치된 신재생에너지(태양열) 시설물이 사찰의 경관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사찰의 가치와 장소성 보존을 위한 경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찰 통도사의 진입경관을 연구대상경관으로 설정하고 사찰의 경관경험을 파악할 수 있는 경관이미지와 사찰 정체성, 경관만족도, 경관개선 필요성 등을 설문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에는 대학 학부학생 180명이 참여하였다. 중요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태양열시설의 도입 시 필요한 경관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태양열시설의 설치는 사찰의 경관경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산림지역에 설치, 식물을 이용한 차폐)이 요구된다. 둘째, 사찰경관의 관리는 심미성과 사찰 정체성 확보를 중심으로 하며, 개방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심미성은 조화성, 전통성, 자연성, 흥미성의 조성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이와 함께 인공구조물의 비율과 규모, 그리고 형태적 특성에 대한 전략과 세부지침을 마련한다면 전통사찰의 장소성과 가치를 보존 및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ow to Keep the Sustainability of the Landscape Resources of the East Coast in South Korea

  • Shin, Seung-Choon;Park, Yong-Gil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7-12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nditions and methods for keep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landscape resources of the East Coast of Gangwon province, the Republic of Korea by investigating the landscape resources management in the area and pointing out its problems. The unit of analysis in this study is four cities and two counties located along the national road route seven in Gangwon province.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resources in this area was analyzed by a literature review, and we surveyed the tourists visiting the area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data in order to examin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landscape resources management and make recommendations. The problems of the landscape resources management are: 1) the disturbance of the persistence of life by reclamation, the population reduction in the ecosystem due to the overload in environmental capacity, and the severance of space between land and water. 2) the reduction of the benefits from indirect experience by interfering with the conservation of fluxes --- the manipulation of horizontal arrangement of the landscape resource, the visual disturbance by the construction of high-storied buildings, and the disharmony between the color/image and the environment. The means for keeping sustainability of the landscape resources include the regulations of development and use, the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landscape resources and the moral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resource management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