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of Solar Energe Facility on the Landscape Experience of Traditional Temple - Focused on the Entrance Way of Tongdosa -

태양열시설이 전통사찰의 경관경험에 미치는 영향 - 통도사 진입경관을 중심으로 -

  • Yi, Young-K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 Kim, Jeong-E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Lee, Seo-You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이영경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 김정은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서율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10.09.06
  • Accepted : 2010.09.29
  • Published : 2010.09.01

Abstract

Traditional temples in Korea are the important cultural heritage because of artistic traditonal buildings and structures, paintings, sculptures, and big forest areas which are most ecological and beautiful in Korea. Since traditional temples still function as religious places for very long time, the sense of places intrinsic to the temples are very strong and vivid. The sense of place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conservation of the original landscape type. Recently however,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use solar energy in traditional temples because of the low energy efficiency of the old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may have negative impact on landscape which again in turn may lead to the destruction of the sense of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ome landscape design guidelines to protect the sense of place of traditional temple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solar energy facility on the landscape experience of traditional temple. In order to do perform this purpose, Tongdosa was selected as a study site and four kinds of measurement tools(landscape image, temple identity, landscape satisfaction, degree of landscape improvement) were used as questionnaire items. 18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olar energy facility had very negative impact on landscape experience such as three landscape image factors(scenic beauty, openness, complexity), landscape satisfaction, temple identity, and landscape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three landscape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First, solar energy facility should be built in the forest in order not to be exposed to visitors, if possible. Second, the landscape management of traditional temple should emphasize on sustaining scenic beauty and temple identity along with the provision of openness. Lastly, detailed landscape guideline should be prepared to regulate the scale, ratio, and the form of the artificial buildings and structures to protect the sense of place of traditional temple.

전통사찰은 아름다운 경관 안에 문화적 가치가 있는 건조물이 조화를 이루는 역사적 장소로서, 수행과 기도, 그리고 포교가 진행되는 숨 쉬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강한 장소성과 독특한 가치가 있는 곳이다. 문화유산으로서의 전통사찰의 가치와 장소성 보존은 사찰경관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관조성에 필요한 전통적인 건축물은 에너지 효율성이 매우 낮아 전통사찰 관리에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특히 산중 사찰의 경우에는 겨울철 난방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과 비용이 매우 높아,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신재생 에너지원 이용을 통한 에너지 효율성 향상은 변화하는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전통사찰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전통사찰의 경관을 훼손하면 자칫 사찰의 장소성을 훼손하고 더 나아가 문화유산으로서의 사찰의 가치를 저하시킬 우려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사찰에 설치된 신재생에너지(태양열) 시설물이 사찰의 경관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사찰의 가치와 장소성 보존을 위한 경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찰 통도사의 진입경관을 연구대상경관으로 설정하고 사찰의 경관경험을 파악할 수 있는 경관이미지와 사찰 정체성, 경관만족도, 경관개선 필요성 등을 설문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에는 대학 학부학생 180명이 참여하였다. 중요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태양열시설의 도입 시 필요한 경관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태양열시설의 설치는 사찰의 경관경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산림지역에 설치, 식물을 이용한 차폐)이 요구된다. 둘째, 사찰경관의 관리는 심미성과 사찰 정체성 확보를 중심으로 하며, 개방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심미성은 조화성, 전통성, 자연성, 흥미성의 조성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이와 함께 인공구조물의 비율과 규모, 그리고 형태적 특성에 대한 전략과 세부지침을 마련한다면 전통사찰의 장소성과 가치를 보존 및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체육관광부(2008). 녹색성장 대한민국의 그린오션 전략.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2. 박상희(2007). 도심내 문화공간의 경관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서주환, 김상범, 노재현, 허준(2009). 제주 '오름'에 대한 내국인과 외국인의 경관이미지비교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7(1): 65-77.
  4. 서주환, 박태희, 허준(2005). 도시가로 경관에 있어 환경조형물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2(1): 57-68.
  5. 이시재(2003). 서면 젊음의 거리 의 시지각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 가로경관개선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어령(2008). 문화일보 2월13일자 대담, 잿더미 된 숭례문-재속에서 불사조 탄생...슬픔을 창조적 힘으로.
  7. 이영경(1996). 사찰의 장소성에 대한 연구. 사찰조경연구. 4: 59-67.
  8. 이영경(1997). 전통사찰 지역내 간판과 시설물의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5(2): 21-29.
  9. 이영경, 이병인(2002). 국립공원내 전통사찰의 자원 가치 평가. 한국정원학회지. 20(4): 37-45.
  10. 이정(2005). 고속도로 비탈면 경관의 법면공법에 따른 시지각적 이미지와 조화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3(1): 33-48.
  11. 이재원(2004). 가로경관의 이미지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지. 17(2): 135-146.
  12.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기문당. p.33, p.133.
  13. 임승빈, 박창석, 김성준(1995). 경관관리를 위한 경관정책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국토계획. 30(1): 325-347.
  14. 장광은(1998). 경관관리를 고려한 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의 배치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정성구, 김종재, 신남수(2000). 도시가로에 대한 공간의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6(4): 67-75.
  16. 정성구, 신남수(2002). CG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가로의 공간의식과 물리적 구성요소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8(5): 91-98.
  17. 주신하(2008). 현대 대표 도시공원에 대한 평가: 만족도 및 경관이미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4): 36-47.
  18. 최열, 조수영(2004). 시각적 및 정서적 특성과 유사성 차원에 따른 환경적 이미지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9(2): 189-202.
  19. 최영국(2009). 녹새성장과 국토관리전략. 국토. 327: 6-19.
  20. 하민철, 윤경수(2010). 메타프레임으로서의 녹색성장 정책-딜레마 대응방안으로서의 메타프레임 구성-. 한국정책학회보. 19(1): 101-125.
  21. Austin, D. M. and Y. Baba(1990). Social determinants of neighborhood attachment. Sociological Spectrum. 10: 59-78. https://doi.org/10.1080/02732173.1990.9981912
  22. Cooper, Marcus C. (1992). Environmental memories. In I. Altman & S. M. Low, Eds., Place Attachment. NY: Plenum, pp.87-112.
  23. Csikszentmihalyi, M. and E. Rochberg-Halton(1981). The Meaning of Things: Domestic Symbols and the Self.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Gerson, K., C. A. Stueve and C. S. Fischer(1977). Attachment to place. In C. S. Fischer, R. M. Jackson, C. A. Stueve, K. Gerson, L. Jones and M. Baldassare, Eds., Networks and Places. NY: The Free Press, pp.139-161.
  25. Giuliani, M. V.(1991). Toward an analysis of mental representations of attachment to the home. The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8: 133-146.
  26. Janowitz, M. and J. D. Kasarda(1974). The social construction of local communities. In T. Leggat, Ed., Sociological Theory and Survey Research. London: Sage, pp.207-236.
  27. Rapoport, A.(1982). Sacred places, sacred occasions and sacred environments. Architectural Design. 9(10): 75-82.
  28. Relph, E.(1976). Place and Placeless. London: Pion.
  29. Rigers, S. and P. J. Lavrakas(1981). Community ties: Attachment and social interaction in urban neighborhood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9: 55-66. https://doi.org/10.1007/BF00896360
  30. Ross, M.(1996). Planning and the Heritage, Policy and Procedures, E & FN Spon: London
  31. Tuan, Y. F.(1974). Topophilia: A Study of Enviornmental Perception, Attitudes and Valu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32. UNESCO(1972).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http://whc.unesco.org/en/conventiontext/
  33. Werner, C., M. I. Altman and D. Oxley(1985). Temporal Aspects of Home: A Transactional Perspective. In I. Altman & C.M. Werner., Eds., Home Environments. New York, NY: Plen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