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Innovation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26초

조직구성원의 윤리의식과 혁신성향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IS0 26000 성과제고를 위한 윤리경영 지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Business Ethics and Innovative Tendencies on a Organizational Performance - Focused on awareness of business ethics' moderating effect for ISO 26000' improvement of performance -)

  • 윤현덕;성종수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9-216
    • /
    • 2011
  • Most of the studies based on the outcome of business ethics were mainly focused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results, CEO's business ethics and practical willingness as a preceding variable for business ethics and its success. This study regards business innovation on corporate sustaina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ies. There fore, this study will prove the result of activities based on business innovation and its activities, for participation of members is of importance. Therefore, this study proved the hypothesis that a worker's ethical conciousness is important in the result of business ethics, and that it also effects the result of business ethics for practice and innovative intentions for a moderating effect. This study emphasizes on ethical consciousness related to business ethics and consensus related to business ethics due to members' ethical consciousness influenced by organization's business ethics and perception. There ought to be an implication for this study. Also, as a result variable, the job satisfaction of coworkers is affected by conscious business ethics, but not affected in the innovative intentions.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consciousness of business ethics is a controllable variable, for it affects job satisfaction concerning coworkers, but does not affect general job satisfactions.

A study on Innovation Methods for the Content Industry in the post-COVID-19 Era

  • Lee, Gun-Woong;Bang, Mee-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42-151
    • /
    • 2021
  • The content industry was greatly affected by the pandemic that hit the world in 2020. The release and production of major Hollywood films were postponed. Performances, festivals, and mega-events such as tourism and the Olympic Games were also canceled or postponed. The innovation of the content industry became inevitable in line with these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industry had to undergo internal changes according to these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alent fostering and job creation for young people. This study conducts both SWOT analysis and PEST analysis on the South Korean content industry, thereby analyzing cases of talent fostering and job creation suitable for the new environment.

Measuring Acceptance Levels of Webcast-Based E-Learning to Improve Remote Learning Quality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Satmintareja;Wahyul Amien Syafei;Aton Yulianto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2권1호
    • /
    • pp.23-32
    • /
    • 2024
  •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by developing webcast-based e-learning media and integrating it into an e-learning platform for functional job training purposes at the N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Agency, Indonesia. This study uses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o assess and predict user perceptions of information systems using webcast platforms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applications. The research method was an online survey using Google Forms. Data collected from 136 respondents involved in practical job training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odel effectively explained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adoption of web-based e-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Indonesia for participants engaged in functional job trai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sers' perceptions of ease of use, usefulness, benefits, attitudes, intentions, and webcast usage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acceptance and use of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webcast-based e-learning platform.

동일한 기업의 국내 한국인 직원과 해외 현지인 직원 간의 직무 스트레스 원인 및 스트레스 수준 비교 연구 (The Levels of Job Stressors and Job Stress Results : Differences Between Incumbents in Two Different Country of the Same Company)

  • 김정은;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1권2호
    • /
    • pp.75-87
    • /
    • 2018
  • 본 연구는 동일 기업의 국내 직원과 중국 지사의 중국인 직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종류과 스트레스 수준이 어떻게 다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 관련 주요 원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는데, 한국 직원은 중국 직원보다 경계 및 집단 갈등, 감독 및 평가, 역할과부하, 과제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을 더 크게 지각한 반면, 중국 직원은 한국 직원보다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 가정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을 더 크게 지각하였다. 스트레스 수준에서는 불안, 우울, 신체적 징후 등에서 전반적으로 한국 직원이 중국 직원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특히 불안과 우울 차원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한국인 직원의 경우는 감독 및 평가, 의사결정 및 책임, 가정 요인이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중국인 직원의 경우는 가정, 사회적 지원,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Burnout)

  • 손형준;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2권1호
    • /
    • pp.81-92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적 지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소진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지원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환경적 요소로써 주목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근로자 1147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원과 직무만족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원이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진은 사회적 지원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원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1차적으로 소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2차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직에서는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의 사회적 지원을 강화하는 방안과 함께 개인의 소진 수준을 낮추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 관계에서 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Resistance and Job Stress between Acceptance and Flourishing in Organizational Change)

  • 이현주;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3호
    • /
    • pp.89-108
    • /
    • 2021
  • 본 연구는 조직의 변화과정 이후 개인의 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변화수용성, 직무스트레스, 번영에 미치는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변화수용성은 번영감에 정(+)의 영향을, 조직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조직변화저항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번영에 부(-)의 영향을, 직무스트레스는 번영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에 조직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 및 변화수용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에 조직변화저항의 완전매개효과를, 조직변화저항과 번영 간 및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에 직무스트레스의 부분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 조직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는 이중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문화, 사회적 지지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Support on Intention Retention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 노윤구;곽수영;윤연옥;전보람;이경란;송연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6-35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u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support on intention retention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254 nurses working in one general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to 30, 2023.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Results: (a) In this study, the mean value of job satisfaction was 3.07±0.43, relation-oriented culture was 3.45±0.51, hierarchy-oriented culture was 3.39±0.49, task-oriented culture was 3.35±0.48, innovation-oriented culture was 3.00±0.46, social support was 3.75±0.49, and intention retention was 4.98±1.39. (b) Intention reten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r=.41, p<.001), social support (r=.29, p<.001), innovation-oriented culture (r=.29, p<.001), relation-oriented culture (r=.20, p=.001), and hierarchy-oriented culture (r=.18, p=.002). (c) Factors that affect intention retention include job satisfaction (β=.41, p<.001), Working type (Non-shift) (β=.18, p=.001), Nursing job selection (Recommendation, employment) (β=-.16, p=.003), and the explanation power was 23.1% (F=9.43, p<.001).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job satisfac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intention retention of nurses.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job satisfaction to increase the retention of nur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improve intention retention in nurses.

기업문화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주당 초과 근로시간과 조직신뢰의 매개변수 (The Impact of Corporate Culture on Job Stress : A Mediating Variable of Overtime and Organizational Trust)

  • 전영준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3호
    • /
    • pp.149-164
    • /
    • 2023
  • 혁신과 창의성이 점차 중요해지는 오늘날 인적자원에 대한 관리는 기업의 성과와 경쟁적 우위를 위한 핵심요인이다. 이에 기업은 목표달성과 조직성과 제고를 위해 구성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유형의 지원방식을 시행·도입하고 있다. 기업이 가진 조직문화와 조직 신뢰는 구성원의 인지적·정서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직무 스트레스, 직무 만족과 같은 조직성과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제도적인 관점에서 일과 삶의 균형 역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서, 일과 삶의 불균형은 사기저하, 직무에 대한 불만족 등 조직성과 하락을 초래한다. 일과 삶의 균형과 관련하여 저출산 문제가 심화되며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정부는 근로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시행하였으며, '주 52시간 근무제'가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이에 본 연구는 경쟁가치모형을 적용한 기업의 조직문화가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주당 초과근로시간, 조직 신뢰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 몰입, 직무 만족,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제에 해당한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경우 직무 스트레스를 조직성과로 측정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더하여 초과근로시간과 조직성과 관계를 분석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영향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인적자본기업패널(HCCP)근로자?-(2021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계 지향적인 기업의 조직문화는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 반면 혁신지향, 관계지향, 경쟁지향적인 기업문화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둘째, 위계 지향적인 문화는 조직에 대한 신뢰를 감소시켰으며, 이외의 조직문화는 조직에 대한 신뢰를 증가시킨다. 셋째, 관계지향적이며, 경쟁지향적인 기업의 조직문화는 주당 초과 근로시간 감소에 영향을 미쳤으며, 혁신지향적이며 위계지향적인 문화는 초과 근로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에 대한 신뢰와 주당 초과 근로시간은 기업의 조직문화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문적 및 정잭척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직무특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검증 :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인력을 대상으로 (A Study on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Job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in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 이승연;박수경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5-118
    • /
    • 2019
  • 본 논문은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인력의 직무특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인력 459명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특성의 하위 요인 중 다양성을 제외한 자율성, 중요성, 정체성, 피드백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특성 중 자율성, 정체성, 피드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특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특성 중 자율성과 다양성이 직무만족에 자율성, 중요성, 피드백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Intention of Vocational Counselo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백성현;성예종;황찬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3호
    • /
    • pp.111-129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의 민간 및 고용센터에 종사하고 있는 직업상담사를 대상으로 하여 직업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의표집법을 적용하였으며 최총 분석에 사용된 표본수는 167부이며 SPSS 2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변수들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4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석 분석과 설문 조사를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업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중 직무요구, 조직체계, 직장문화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중, 직무자율성결여, 조직체계는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직무요인과는 완전매개를 조직체계와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직업상담사들의 스트레스로 인한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