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Levels of Job Stressors and Job Stress Results : Differences Between Incumbents in Two Different Country of the Same Company

동일한 기업의 국내 한국인 직원과 해외 현지인 직원 간의 직무 스트레스 원인 및 스트레스 수준 비교 연구

  • Kim, Chung-eu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Organization Counseling) ;
  • Jung, Sung-cheol (department of Psyc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김정은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조직상담학과) ;
  • 정승철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18.09.15
  • Accepted : 2018.12.11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We designed this study for verifying the differences of causes and individual results of job stress between Koreans in Korea and Chinese in China of a same company. The results in the study are as foll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identified in job stressors: Koreans showed higher levels than Chinese for factors like inter-group conflicts, supervision/evaluation, job overload, task characteristics,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Chinese showed higher levels than Koreans for factors like job conflicts, job ambiguity, family-related factors. We also identified that levels of stress perceived by individuals as anxiety, depression, and physical symptoms of Koreans are higher than those of Chinese. As to the influence of job stressors on stress level, Koreans show significant results for supervision/evaluation, decision making/responsibility, family-related factors, and Chinese show significant results for family-related factors, social support, socio-demographic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topic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동일 기업의 국내 직원과 중국 지사의 중국인 직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종류과 스트레스 수준이 어떻게 다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 관련 주요 원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는데, 한국 직원은 중국 직원보다 경계 및 집단 갈등, 감독 및 평가, 역할과부하, 과제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을 더 크게 지각한 반면, 중국 직원은 한국 직원보다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 가정으로 인한 스트레스 요인을 더 크게 지각하였다. 스트레스 수준에서는 불안, 우울, 신체적 징후 등에서 전반적으로 한국 직원이 중국 직원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특히 불안과 우울 차원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한국인 직원의 경우는 감독 및 평가, 의사결정 및 책임, 가정 요인이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중국인 직원의 경우는 가정, 사회적 지원,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장영(2010), 한중 기업문화의 비교연구, 석사 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 강동묵, 고상백, 김성아, 김수영, 김용진, 박정선, 성지동, 우종민, 장세진, 정진주, 정혜선, 조성일, 조정진, 채정호, 최봉규, 최수찬, 하미나(2005). 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 고려의학, 서울.
  3. 강진구(2012), "중국 노무관리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LG Business Insight.
  4. 김기태(2005), 중국의 문화특성과 중국 진출 한국 기업의 인사관리 방향과 연구과제, 신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5. 김항석, 한광현 (1991),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군산대학교 산업개발연구, 10, 83-104.
  6. 박지원(2011), "구성원 스트레스 조직이 관리해야 한다," LG Business Insight, 2011. 6. 29.
  7. 박혜윤(2005),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결정요인과 조직유효성: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 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8. 손성락(2001).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흡연 여부 및 니코틴 의존도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박사 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9. 안가영(2003),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충청남도 공무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10. 우저안, 후멍뤄(2012), "요즘 중국인들은 우울하다," China Insight, 2012. 11.
  11. 원안(2010),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중 비교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12. 이종목, 송대현, 박한기, 송병일(1991),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성과의 관계모델 검증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4(1), 1-21.
  13. 장영(2010), 한중 기업문화의 비교연구, 석사 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14. 장행복(2007), 중국비즈니스문화, 신성출판사.
  15. 정동화(2010),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한국학술정보.
  16. 탁진국, 이강숙(2001), "사무직 직급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에서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 하미나, 장세진, 조정진, 주영수, 정진주, 장성실, 김성아, 임상혁, 김재용, 우종민, 하은희(2001), 2000년 직업병 예방연구 용역 보고서: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영향에 관한 기획연구,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8. 한국과 중국의 교역 현황.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87392&cid=3290&categoryId=3290.
  19. KOSHA(2005). 직무스트레스 평가 관리, 한국산업안전공단.
  20. Cameron, K.S., and R. E. Quinn(1999),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 Framework. Reading, MA: Addison-Weslet.
  21. Chang, K., and L. Lu(2007),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stressor, and wellbeing: The case of Taiwanese organization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2, 549-568. https://doi.org/10.1108/02683940710778431
  22. Cooper, C. L. and J. Marshall(1978). Understanding Executive Stress, Macmillian, London. 702-704.
  23. Dextras-Gauthier J., A. Marchand, and V. Haines III(2012), "Organizational culture, work organization conditions, and mental health: A proposed integ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19(2), 81-104. https://doi.org/10.1037/a0028164
  24. Hellriegel, D., J.W. Slocum, and R.W. Woodman(1986). Organizational Behavior(fourth ed.). West Publishing Co.
  25. Ivancevich, J. M., and M. T. Matteson(1980), Stress and Work: A Managerial Perspective, Glenview III: Scott Foresman. 16-17.
  26. Lazarus, R. S. and S. Folkman(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New York. 21.
  27. NIOSH(1999). Stress at Work,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8. Pascale, R. T. and A. G. Athos(1981), The art of Japanese Management, Penguin Books, NY. 200-206.
  29. Peterson, M., and J. F. Wilson(2002), " The culture-work-health model and work stres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26, 16-24. https://doi.org/10.5993/AJHB.26.1.2
  30. Schuler, R. S.(1980), "Defini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stress in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5(2), 184-215. https://doi.org/10.1016/0030-5073(80)90063-X
  31. Selye, H.(1975), "Confusion and controversy in the stress field," Journal of Human Stress, Ju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