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ant Teacher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6초

관찰에 근거한 어린이집 영아반의 일과유형분류 및 일과유형별 영아의 놀이성과 교사 특성 (Playfulness of Inf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ccording to Daily Routine Types based on Observation in Infant Classes in Child Care Centers)

  • 박찬화;권연희;나종혜;최목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85-210
    • /
    • 2013
  • 본 연구는 영아반의 하루 일과를 관찰하여 실내자유놀이, 실외놀이, 집단활동 및 낮잠 휴식 등의 일과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이 진행된 시간들을 바탕으로 하루일과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과유형에 따라 영아의 놀이성, 교사의 학력 및 경력, 교사행동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영아반의 일과유형은 '실내 외놀이 지향형'과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 등 2가지로 분류되었다. 일과유형별 영아의 놀이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내 외놀이 지향형'이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보다 영아의 놀이성 전체점수와 하위영역인 신체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모감각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일과유형에 따라 교사의 학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의 경력에서는 '실내 외놀이 지향형' 학급의 교사경력이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 학급의 교사경력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다. 교사의 상호작용행동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실내 외놀이 지향형' 일과의 교사가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의 일과를 운영하는 교사보다 긍정적 지도행동과 중립적 지도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보였다.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lourish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Infant Teachers)

  • 강현미;황해익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67-187
    • /
    • 2015
  •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필요성 및 요구도를 살펴봄으로써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나아가 영아보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내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영아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행복플로리시 역량에 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한 노력여부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노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정도, 효과정도, 프로그램 목표, 실시주기, 교육방법, 참여의사에서는 배경변인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행복플로리시 역량에 대한 필요성은 기관유형에 따라, 프로그램 실시시기와 프로그램 운영자는 기관유형,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영아반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원장과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acher'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Emotional Support of the Director and Co-worker on the Childcare Efficacy of Infant Teacher)

  • 정꽃님;문혜련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75-18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영아반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원장과 동료의 정서적 지지가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반 교사 169명이다. 자료는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 간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반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보육효능감을 살펴보면 결혼여부와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반 교사의 보육효능감은 동료교사 지지와 가장 큰 양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고, 그 다음 원장 지지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반 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동료교사 지지, 경력, 결혼여부, 원장 지지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경력이 많고 기혼인 교사의 보육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반 교사의 보육효능감에는 동료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e of Happines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 고정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5-165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와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 예비유아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 요인인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학교생활동안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을 증진하고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 내용 및 과정에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교사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2세 영아의 정서조절 측면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의미 (The Meaning of Teachers as they Manifest themselves in the Emotional Regulation of 2 Year Old Infants)

  • 김보영;김용미
    • 아동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17-4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meaning of teachers as they manifest themselves in the emotional regulation of 2year old infants in a daycare center. In addition, the research attempts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that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teacher's awareness, roles, attitudes, and classroom management for infant's emotional education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goal,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in a child care center class for infants under 2 years old from January 17 to January 29, 2012. The teacher is defined as follow : Teachers are authority figures whose image is that of absolute authority, and coupled with their dual role of passive caretakers. Additionally, they function as guides who guided infants through the process of emotional socialization, and played the central role of emotional contagion from whose expression speech and atmosphere the said infants receive much influence. Such results seemed to indicate that teachers today do not fully comprehend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in influencing the emotion regulation of infants.

교사용 25~36개월 영아 행복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25~36 Months Old Infant's Happiness Scale for Teachers)

  • 민선희;김용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30-143
    • /
    • 2019
  • 이 연구는 25~36개월 영아 행복감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영아 행복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선행 측정도구 분석내용과 포커스그룹 인터뷰 내용을 통해 영아 행복감 구성요인과 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항의 타당화를 위해 D지역 25~36개월 영아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영아 행복감 척도의 구성요인과 문항은 문제행동(4), 몰입을 통한 성취(4), 친구와의 관계(4), 교사와의 관계(4), 물리적 환경(3), 긍정정서(4), 부정정서(3), 건강(3)의 총 8개 구성요인과 29문항이다. 둘째, 영아 행복감 척도의 구인타당도는 문항 적합도 CFI=0.89, TLI=0.88, RMR=0.05로 적합하였으며,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공인타당도는 기존에 개발된 측정도구의 구성요인들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신뢰도는 0.71-0.89로 나타나 이 연구에서 개발된 영아 행복감 척도는 영아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척도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영아 행복감 척도는 영아 행복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의 효과를 검증해주는 주요 검사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수내용지식, 교수효능감과 교사의 태도 간의 구조분석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s Attitude for Childhood Music Education)

  • 김지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70-278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사이에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 하고자 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13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적절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효능감,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확인하였다. 첫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유아 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내용지식은 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음악교수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 효과는 부분매개 효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음악적 발달을 위한 유아 교사의 전문성 강화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유아 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변수가 유아들의 음악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영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민감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fant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Sensitivity Level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신현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1-11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민감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S지역의 어린이집 영아교사 206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곽희경(2011)이 사용한 교수효능감 도구, 민광미(2014)가 개발한 교사 민감성 척도, 이종각(2013)이 수정, 보완한 조직몰입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Win program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보통 수준이었으며, 민감성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고, 조직몰입은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모든 조직몰입과 정적관계를 보였고, 민감성은 조직몰입 중 정의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정적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영아교사의 조직몰입에 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일반적 효능감, 민감성의 하위요인 중 일관성이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교사의 조직몰입 향상에 교사의 내적요인인 교수효능감과 민감성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보육교사들이 선택한 갈등관리전략 (Interpersonal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Selected by Childcare Teachers)

  • 백은영;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9-124
    • /
    • 2012
  •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이 교직원들과의 갈등상황에서 어떤 갈등관리전략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C직장어린이집 0세반에서 참여관찰 하여 교사들의 대화에서 드러난 갈등의 원인별로 보육교사들이 사용한 갈등관리전략을 분석하였다. 첫째, 보육교사들은 적합한 간식제공 방법을 건의했으나 조리사들이 개선해주지 않는 상황과 교사용 간식이 정당하게 제공되지 않는다고 느끼는 상황에서 지배적인 갈등관리전략을 사용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보육시간 중에 환경미화원이 도움을 요청한 상황과 주임교사에게 갑작스런 업무를 부여받을 수도 있음을 알게 된 상황에서 회피적인 갈등관리전략을 사용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대체교사를 구하지 못해 휴가를 가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통합적인 갈등관리전략을 사용하였다. 넷째, 보육교사들은 휴가기간 동안 교사근무배치를 원장이 제안한 상황에서 배려적인 갈등 관리전략을 사용하였다. 다섯째, 보육교사들은 공동으로 관리하는 유희실을 특정 교사들만 청소하게 되어 불합리하다고 느끼는 상황에서 타협적인 갈등관리전략을 사용하였다.

어린이집 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교육 경험과 인식에 관한 탐색 (Explor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Educ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 김현영;이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19-534
    • /
    • 202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중심 교육 경험의 실제와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유아교육 현장의 현실적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 누리과정 교육 경험이 있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Hatch(2002)의 유형적 분석과 해석적 분석 그리고 Seidman(2006)의 면담 자료분석을 사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동일한 통합 개정 누리과정을 적용하고 있지만, 어린이집은 보육적 관점과 안전을 더 고려한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들이 주체가 되는 자기주도적인 열린 놀이활동 연계과정에서 교육적 매칭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셋째, 교사들의 놀이활동에 대한 교육적 이해와 가치 파악 능력은 유아 상호작용 및 유대관계 성장에 기여한다. 결론적으로 현 누리과정의 효과적인 교육 시행을 위한 교사교육과 교류지원 그리고 유아비율 조정의 국가적 정책 방안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