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ant Teacher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1초

기독교인 영아교사의 신앙성숙도가 교사-영아 상호작용, 정서노동,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 김정희;정희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69-18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3 Christian teachers of early-child classes who work in child care centers in Gyeonggi-do province. For the research analysis, frequency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ffective and volitional factors from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hav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overall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the affective factor from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hav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outward behavior, which is the lower variable of emotional work, and a positive influence on inner behavior. Third, the volitional factor from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hav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ption of self-emotions, perception of others' emotion, emotional application,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intelligence overall.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ant's Attachment to Mother and Teacher on Adaptation to Child Care)

  • 김영숙;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229-249
    • /
    • 2013
  • 본 연구는 만 1, 2세 영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영아 애착안정성과 교사-영아 애착안정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시에 소재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1, 2세 영아의 어머니 100명과 담임교사 36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 수준은 이원변량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차원인 사회적 관계 및 긍정적 감정의 경우 교사와 영아 간 애착안정성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어머니와의 애착이 불안정하더라도 교사에 대한 안정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경우 그렇지 않은 영아보다 어린이집에서의 사회적 관계 적응 및 긍정적 감정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격적 행동에 있어서 어머니와 영아의 애착안정성의 주효과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나, 어머니와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경우 교사와의 안정애착 형성 여부에 상관없이 어린이집에서의 공격적 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및 현직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에 관한 지식 실태 (Knowledge About Infant Development of Pre-service and In-service Child Care Teachers)

  • 안선희;안효진;문혁준
    • 아동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71-283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of child care teachers,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hild development at universities, and the students at child care training center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26 in-service and 187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Data were analyzed by t-test, F-test, Corre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scores of subjects on th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KIDI) were relatively low. Among the 3 groups of subjects, child care teachers had the lowest scores on the KIDI.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by school year, the length of work experience, marital status, age of child, attendance at in-service training events, and kind of license.

  • PDF

영아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of Infant-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 Infant-Care Teacher's in Northern Gyeonggi-do -)

  • 이주영;고재욱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3-82
    • /
    • 2015
  •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북부지역 영아보육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영아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환경,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직무의 자율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감소하고, 직무의 갈등과 직무의 과중이 많을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셋째, 회귀모형의 추정결과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아보육교사들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근무환경 개선과 직무만족도를 높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n Childcare Teacher's Intrapersonal Intelligence on Childcare of Infant's Right Respects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rofessionality)

  • 전현희;이보영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7-56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전문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J시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51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 전문성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 간 관계에서 전문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나, 자기성찰지능은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매개변인인 전문성은 자기성찰지능이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은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을 실행하는데 의미 있는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권리 존중 보육을 위해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전문성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유아교육기관교사의 자기효능감, 통제위 및 구강질병관리신념과의 관련요인 (Related factor of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self-efficacy and oral disease control and beliefs of nursery teacher)

  • 이향님;심형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7-172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grasp the efficacy, locus of control, oral disease management beliefs, etc and to make a close inquiry the relevance between theses key figures and oral health promotion practice for a teacher and oral care about children an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 teachers of infant nursery. Methods : This study was made from July to September in 2009 to nursery teacher by having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teachers of infant nursery who are performing nursry school tearcher. Total 187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among these, 167 questionnaire excluding 20 questionnaire of incomplete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SPSS12.0. Results : The efficacy is highly in a married person(p=0.001)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P=0.006), perceived good oral status(p=0.001) according to the oral conditions and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is highly in a married person(p=0.006)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P=0.037) and the marital status and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is the highest(p=0.038) in the age of 40 among teacher's age and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 oral disease management beliefs is the highest in the age of 20 ~ 29(p=0.001), highly in married(p=0.003) and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and perceived good oral status(p=0.045) according to the oral conditions. There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icacy,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the external Lotus of Control, oral disease management beliefs following by the infant oral care after taking medicines and oral care of infants after tooth brushing. Conclusions : Therefore, the oral health promotion activities should be induced by educating the nursery teacher and it needs to spread out the oral care education with the development to operate practically. It is considered in need of the infant oral care which is not burden on to the nursery teacher but helpful to the infant by connecting the subjects of dental hygiene and oral health education training.

영아보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한 보육시설의 자체평가 (Self-Evaluation of the Quality of Center-Based Infant/Toddler Care)

  • 최경애
    • 아동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129-145
    • /
    • 2004
  •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quality of center-based infant/toddler programs in Korea. Scale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divide accreditation standards into 4 areas(physical environment, curriculum, health care, management system) with 60 standards. Standards can be divided into basic criteria and general criteria. The subjects are 149 day care centers(44 infant day care centers and 105 day care centers), and raters(teachers or principal) assessed the quality of each item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elf-evaluation result have marked 3.67 as average(range : 2.32~4.90), which barely meets basic criteria level. 2) Physical environment area has received worst score(3.41) and Health care area has received best score(3.92). 3) Each standard's score indicate the quality of infant/toddler care program: Feed care(4.29), Affectionate teacher-infant interaction(4.14) were highly rated while Nature environment/anmal/plant(2.75) and Teacher's facilities(2.74) were rated low. 4) Some variation factors showed differences in the qualitative level; number of child, education level of principal.

  • PDF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에 대한 인식이 보육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ing teacher's infant right perception on infant care service)

  • 이희경;이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332-339
    • /
    • 2017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에 대한 인식이 보육서비스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영유아 권리의 측정은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한 4대 권리를 중심으로 총 40문항으로 측정하였고 보육서비스는 하루일과 존중, 자율성 존중, 의견 존중, 개성 존중, 그리고 정보제공으로 구분하여 역시 40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489명이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보육교사의 영아권리에 대한 인식은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그리고 참여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아권리에 대한 인식과 여러 유형의 보육서비스 관련성을 살펴보면 보육서비스에서 발달권과 참여권의 인식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생존권의 인식은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호권은 보육서비스의 유형 중 자율성, 개별성, 그리고 정보제공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역할에 해당하는 아동의 생존과 관련된 보호를 아동권리에서 중요하게 인식하면서도 보육서비스는 주로 아동의 교육적인 측면의 권리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권리유형별 인식차이가 보육서비스의 다양한 유형에서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아기 인지·의사소통 발달 관련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Cognitive and Communication Ability Related Variables on Infants)

  • 백지숙;권은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3-123
    • /
    • 2018
  • 본 연구는 영아의 인지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기질, 영아-교사상호작용, 모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S시에 거주하는 만 2세 영아 249명으로 평균월령은 30.21개월이었다. 'K-ASQ', '영아의 기질 평정도구', '부모 스트레스 척도 축소판, '영아교사 상호작용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인지 및 의사소통능력과 사회성 기질, 영아-교사 상호작용간의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으며, 영아의 인지 및 의사소통 능력과 정서성 기질, 모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인지 및 의사소통 능력에 발달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성 기질은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인지능력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주로 직접적인 경로로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정서성 기질은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영아의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기질은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영아-교사 상호작용은 영아의 인지능력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놀이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Effects of Teachers' Playfulness on Child's Peer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이혜영;김유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1-142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layfulness and children's peer abilities. Methods: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to collect data on 420 children aged 3-5 years old, targeting 108 homeroom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PROCESS macro of Hayes (2013).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eachers' verbal, emotional, and physical interactions are closely related to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s playability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not only the emotional, verbal, and physical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infant, but also the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as basic data tha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layability of teachers and increase the quality level of the multifaceted aspect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order to support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