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Cognitive and Communication Ability Related Variables on Infants

영아기 인지·의사소통 발달 관련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Back, Ji Sook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 Kwon, Eun Joo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백지숙 (동국대학교 유아교육과) ;
  • 권은주 (동국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1.30
  • Accepted : 2018.03.24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fant's cognitive and communication ability, temperament, teacher-infants interaction,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49 infnats whose mean age of 30.21 months, and who were attended in preschool in S city.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collecting data were 'K-ASQ(Korean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EAS(Emotionality, Activity, and Sociability-Temperament Survey for Children-Parental Ratings)', 'PSI/SF(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ECOI'.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fant's cognitive and communication ability with social-ability temperament, teacher-infants interaction.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infant's cognitive and communication ability with infant's emotionality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stress. Second, social-ability temperament directly affected disposition toward cognitive ability, but in-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Emotionality temperamen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toward cognitive ability. Third, social ability directly affected disposition toward language ability, but in-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ere has no significant path of temperament to teacher-child interaction, but teacher-child interaction has direct effect to infant's cognitive ability. Finally, all path about infant's communication ability were not significant.

본 연구는 영아의 인지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기질, 영아-교사상호작용, 모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S시에 거주하는 만 2세 영아 249명으로 평균월령은 30.21개월이었다. 'K-ASQ', '영아의 기질 평정도구', '부모 스트레스 척도 축소판, '영아교사 상호작용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인지 및 의사소통능력과 사회성 기질, 영아-교사 상호작용간의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으며, 영아의 인지 및 의사소통 능력과 정서성 기질, 모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인지 및 의사소통 능력에 발달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성 기질은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인지능력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주로 직접적인 경로로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정서성 기질은 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영아의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기질은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영아-교사 상호작용은 영아의 인지능력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승주(2003).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 김금주(2000).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유형과 영아의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동례, 윤해옥, 정효은(2015). 어린이집 교사의 기질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노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0(3), 101-118.
  4. 김명순, 김의향, 이유진(2007). 영아의 차례 맡기와 어휘습득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7(3), 301-314.
  5. 김명순, 이가현(2009). 어린이집에서 24-36개월 영아-교사 간 공동주의와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0(5), 155-165.
  6. 김명순, 한찬희, 유지영(2012). 가정문해활동,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 및 영아-어머니 간 공동주의와 영아의 언어.인지 발달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3(3), 199-213. https://doi.org/10.5723/KJCS.2012.33.3.199
  7. 김상림, 박창현(2015). 유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 37-58.
  8. 김성현(2016).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상호작용이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4(2), 131-155.
  9. 김영실, 신애선(2014). '영아'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86, 79-105.
  10.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11. 김현(2010). 영아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 상호작용과 영아 언어능력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 67-93.
  12. 김현미, 도현심(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13. 김형주(2010). 교사가 지각한 유아기질 및 교사기질이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민현숙, 문영경(2013).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영아의 발달 간의 관계.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2(1), 43-56. https://doi.org/10.5934/KJHE.2013.22.1.43
  15. 박수빈, 김숙령(2005). 영아기질에 대한 양육자의 지각 차이 및 기질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 관계. 아동학회지, 26(3), 1-13.
  16. 성지현(2012).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2(4), 229-253.
  17. 신근영, 나종민, 정선영(2015). 어린이집 시설유형과 성별에 따른 만 2 세 영아의 의사소통능력 발달 비교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175-198.
  18. 양수영(2013). 2세 영아를 위한 뇌 기반 과학탐구 프로그램 개발. 한국영유아보육학, 82(5), 21-43.
  19. 양수정(2007). 영아의 기질에 따른 또래 간 상호작용의 차이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옥경희, 천희영(2012). 가구소득에 따른 부부관계와 자녀가치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연구. 아동학회지, 33(1), 205-221. https://doi.org/10.5723/KJCS.2012.33.1.205
  21. 윤수인(2007). 쌍둥이 아동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경님, 유혜선(2014).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교사-영아 관계가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3(3), 165-190.
  23. 이경하, 서소정(2012).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영아발달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 효과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53-77.
  24. 이수미, 민하영(2007). 유아의 기질 및 아버지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19-225. https://doi.org/10.5934/KJHE.2007.16.2.219
  25. 임현주, 이대균(2013). 영아의 기질과 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125-144.
  26. 장종윤, 송하나(2010).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영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영아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 13, 113-122.
  27. 정지현, 이승연(2009). 그림책의 종류에 따른 교사와 영아의 의사소통 분석. 교육과학연구, 40(2), 183-210.
  28. 정현희, 최경순(2001). 아동의 기질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14.
  29. 조수영, 전숙영(2013). 영아의 기질에 따른 영아-교사의 어린이집 일과 내 상호작용.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101-128.
  30. 지성애(2016).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성인애착과 유아의 스트레스.사회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4), 381-407.
  31. 허계형, Squires, J., Yovanoff, P., 이준석(2006). 한국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발달 선별도구의 심리측정학적 연구. 정신지체연구, 8(3), 261-278.
  32. 하지영, 서소정(2011).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2), 109-140.
  33. 한유미, 조경자, 강기숙(2012). 영아 및 부모 특성과 12 개월 영아의 발달적 특성 관계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3), 441-457.
  34. Abidin, R. R.(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2104_12
  35. Barkley, R. A.(1981). Hyperactive children: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pp. 113-155). New York: Guilford press.
  36. Belsky, J., & Pluess, M.(2009). The nature (and nurture?) of plasticity in early human development.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4(4), 345-351. https://doi.org/10.1111/j.1745-6924.2009.01136.x
  37. Bronfenbrenner, U., & Ceci, S. J.(1994). Nature-nurture reconceptualized in developmental perspective: A bioecological model. Psychological review, 101(4), 568-586. https://doi.org/10.1037/0033-295X.101.4.568
  38. Brownell, C. A., & Hazen, N.(1999). Early peer interaction: A research agenda.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0(3), 403-413.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003_9
  39. Buss, A. H., & Plomin, R. (1984). Theory and measurement of EAS.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98-130.
  40. Coplan, R. J., Barber, A. M., & Lagace-Seguin, D. G.(1999). The role of child temperament as a predictor of early literacy and numeracy skills in preschool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4(4), 537-553. https://doi.org/10.1016/S0885-2006(99)00025-3
  41. Cowan, C. P., & Cowan, P. A.(2000). When partners become parents: The big life change for coupl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42. Crnic, K., & Low, C.(2002). Everyday stresses and parenting. Handbook of Parenting Volume 5 Practical Issues in Parenting, 242.
  43. Das, J. P., Naglieri, J. A., & Kirby, J. R.(1994). Assessment of cognitive processes: The PASS theory of intelligence. Boston: Allyn & Bacon.
  44. de Kruif, R. E., McWilliam, R. A., Ridley, S. M., & Wakely, M. B.(2000). Classification of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2), 247-268. https://doi.org/10.1016/S0885-2006(00)00051-X
  45. Gopnik, A., Meltzoff, A. N., & Kuhl, P. K.(2000). The scientist in the crib: What early learning tells us about the mind. William Morrow Paperbacks.
  46. Hemphill, S., & Sanson, A.(2000). Relations between toddler and preschooler temperament and parenting style in an Australian sample. In 16th Biennial Meeting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ral Development, Beijing, China, July.
  47. Klaar, S., & Ohman, J.(2012). Action with friction: A transactional approach to toddlers' physical meaning making of natural phenomena and processes in preschool. Europ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Journal, 20(3), 439-454. https://doi.org/10.1080/1350293X.2012.704765
  48. Kontos, S.(1999). Preschool teachers' talk, roles, and activity settings during free pla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4(3), 363-382. https://doi.org/10.1016/S0885-2006(99)00016-2
  49. Lemelin, J. P., Tarabulsy, G. M., & Provost, M. A.(2006). Predicting preschool cognitive development from infant temperament, maternal sensitivity, and psychosocial risk. Merrill-Palmer Quarterly (1982-), 779-806.
  50. Lobman, C. L.(2006). Improvisation: An analytic tool for examining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4), 455-470. https://doi.org/10.1016/j.ecresq.2006.09.004
  51. Miller, R. L., Pallant, J. F., & Negri, L. M.(2006). Anxiety and stress in the postpartum: is there more to postnatal distress than depression?. BMC psychiatry, 6(1), 6-12. https://doi.org/10.1186/1471-244X-6-6
  52. Noel, M., Peterson, C., & Jesso, B.(2008). The relationship of parenting stress and child temperament to language development among economically disadvantaged preschoolers. Journal of child language, 35(4), 823-843. https://doi.org/10.1017/S0305000908008805
  53. Oren, M., & Jones, I.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 temperament,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2(4), 122-132.
  54. Osborne, L. A., McHugh, L., Saunders, J., & Reed, P.(2008). Parenting stress reduces the effectiveness of early teaching interventions for autistic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8(6), 1092-1103. https://doi.org/10.1007/s10803-007-0497-7
  55. Posner, M. I. Rothbart, M. K. Sheese, B. E. and Voelker, P.(2012). "Control Networks and Neuromodulators of Early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48(3), 827-835. https://doi.org/10.1037/a0025530
  56. Shaffer, D. R.(2005).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2nd). Boston: Pearson.
  57. Sousa, D. A.(2011). How the brain learns. CA: SAGE.
  58. Swanson, J. R., Bradley-Johnson, S., Johnson, C. M., & Rubenaker O'Dell, A.(2009). The cognitive abilities scale-(2nd ed.) preschool form: studies of concurrent criterion-related, construct, and predictive criterion-related validity.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27(1), 46-56. https://doi.org/10.1177/0734282908322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