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기독교인 영아교사의 신앙성숙도가 교사-영아 상호작용, 정서노동,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김정희 (총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 정희정 (총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6.10.15
  • Accepted : 2016.12.11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3 Christian teachers of early-child classes who work in child care centers in Gyeonggi-do province. For the research analysis, frequency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ffective and volitional factors from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hav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overall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the affective factor from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hav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outward behavior, which is the lower variable of emotional work, and a positive influence on inner behavior. Third, the volitional factor from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hav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ption of self-emotions, perception of others' emotion, emotional application,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intelligence overall.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숙 (2007). 학생의 교사만족도에 대한 교사의 성격특질과 정서지능의 역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계인선 (1999). 기독교인의 신앙성숙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혜진 (2008).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 정서적 부조화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인간발달연구, 15(4), 93-113.
  4. 김경희 (2016). 기독대학생의 인터넷중독과 신앙성숙도에 관한 통합연구.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곤 (2009). 기독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신앙성숙도와의 관계.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두만 (2010). 기독교 신앙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미영, 정옥분 (2014). 영아전담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관한 연구: 환경변인 및 개인변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1(2), 75-96.
  8. 김미정 (1995). 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회 청년의 자아존중감과 신앙생활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성중 (1996). 기독교인의 신앙성숙도와 자아실현성과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수연 (2015).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연진 (1993). 기독교 대학생의 신앙정도에 따른 이타성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유경 (2013). 기독교 유아교사의 신앙성숙도와 빈곤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유리 (2015). 영아교사의 정서노동이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윤경 (2011). 유아교사의 정서노동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은실 (2005). 어머니의 신앙성숙도와 유아의 하나님 표상과의 관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은실 (2015, 7, 6).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보육교사 국가고시제 찬성. 베이비뉴스. http://www.ibabynews.com/news/newsview.aspx?newscode=201507061803475780002296&categorycode=00 10에서 2016년 10월 10일 인출
  17. 김은영 (2005). 유치원 교사의 직무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김재연 (2008). 청소년의 영적성숙도와 종교성향과 자아탄력성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정희 (2015).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91-208.
  20. 김정희, 최미경 (2013).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정서노동, 직무소진의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51-68.
  21. 김현동 (1999). 기독청소년과 비기독청소년의 상활불안과 학교 적응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김현지 (2005). 보육교사의 교사-유아상호작용 평가척도 개발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 1-19.
  23. 김혜금 (2008). 보육시설 안전실태와 배상책임 법적근거 및 판례 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과 보상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논총, 17(2), 109-126.
  24. 박기영 (1996). 크리스찬 부부의 신앙성숙도와 의사소통 유형간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미영 (2009). 기독청년의 신앙성숙을 위한 그리스도요법 집단 상담.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병윤 (2001). 기독교인의 신앙성숙, 의사소통 및 결혼만족도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박복매 (2011).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박종수 (2012). 어머니의 신앙성숙도, 종교교육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유아의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 신자 어머니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박진아, 이경숙 (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에 관한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5(3), 27-54.
  30. 박찬옥, 구수연, 이옥임 (2010).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이론과 실제. 서울: 정민사.
  31. 배은주 (2004). 기독신학생의 신앙성숙도와 자존감의 관계 연구. 복음과 상담, 3, 178-189.
  32. 변은경, 장경오 (2015).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6), 3982-3990. https://doi.org/10.5762/KAIS.2015.16.6.3982
  33. 보건복지부 (2013).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34. 서동미, 연선영 (2016).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유아학대에 대한 인식과 영유아학대 실제행동에 대한 자기평가와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20(1), 193-216.
  35. 손성욱 (2001). 기독청소년과 비기독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손인숙, 송진숙 (2004). 부모와 교사 간의 연계교육 및 유아교사 간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39, 111-128.
  37. 손정위 (2011). 교회학교 교사들의 변혁적 리더십과 신앙성숙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독교대한성결교회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정보, 31, 133-162.
  38. 신미애 (2004). 어머니의 신앙성숙도와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신희정, 문혁준 (2013).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291-308.
  40. 심은혜 (1996). 신앙이 직업가치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양숙경 (2010). 어머니의 분리불안, 교사-영아관계가 만1.2세반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여인우, 김숙령 (2015). 영아교사의 정서적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 어린이미디어연구, 14(4), 131-171.
  43. 연보라 (2014).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영아발달지식이 교사-영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염지숙, 이명순, 조형숙, 김현주 (2015). 유아교사론. 경기: 정민사.
  45. 오경희 (2010). 유아교사의 갈등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및 교사변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유현우 (2008). 청소년의 종교성숙도가 자기통제력과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윤영민 (2016). 교회를 세우는 교리교육. 복음과 실천신학, 40, 156-190.
  48. 이기룡 (2011). 교회학교 교사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고신교단 총회교사대학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랑, 김완석, 신강현 (2006).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의 요구-자원 모델에서 정서노동 전략의 역할: 콜센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산업 및 조직, 19(4), 573-596.
  50. 이민영 (2015).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 민감성과 교사-영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이상순 (1994). 고등학생의 기독교 경험 및 불안과 자아기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이승미 (2013). 영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이유리 (2002). 기독교사의 신앙 성숙 수준과 정신건강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이정화 (1986). 대학생의 생의 의미 추구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이진화 (200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6. 이진화, 이혜원, 유진경 (2010).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정서효능감, 정서노동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5(2), 117-136.
  57. 이혜정 (2015).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및 정서노동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임이수 (1996). 불안과 비합리적 신념이 기독교 신앙에 미치는 영향: 기복 신앙과 성숙 신앙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임지윤 (2011). 교사의 정서노동과 정서조절이 직무스트레스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장선영 (2014). 교회청소년의 신앙성숙도가 이타행동에 미치는 영향: 타인관점 수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신대학교 기독교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전교식 (2002). 기독교 신앙수준에 따른 자기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정미조 (2009). 교사가 인식한 영아-교사관계와 놀이 시 나타난 영아교사 및 영아또래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정은경 (2011). 만 2세 영아-어머니 애착안정성과 영아-보육교사 관계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조성연 (200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보육학, 36, 23-44.
  65. 조용호 (2016, 7, 19). '어린이집 아동학대' 신고... 해당 교사 자살 시도. KBS뉴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314842에서 2016년 10월 10일 인출
  66. 조재희 (2012). 가톨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성숙도와 행복감, 자아탄력성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조지현 (2015).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신앙성숙도, 자녀양육행동,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서대학교 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 조혜진, 김수연 (2012). 영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5), 189-208.
  69. 지형기 (2000). 내재적 종교성향이 종교적 대처유형을 매개하여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인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0. 최승진 (2014). 교리교육을 통한 후속세대 교회교육의 실천방안 연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 최창일 (2013). 기독청년의 전인적 성숙을 위한 자기관리학교 운영.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2. 최효영 (2010). 영아반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의 경험과 그 의미.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3. 허수진 (2009). 기독교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신앙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4. 황병배, 안병덕 (2016). 기독교인의 문화성향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신앙성숙도의 차이 연구. 신학과 실천, 48, 307-329.
  75. 황혜신 (2010). 정서노동 및 자아탄력성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주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8(7), 23-32. https://doi.org/10.6115/khea.2010.48.7.023
  76. 홍창희 (2003). 정서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정서표현성의 매개모델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7. Ashforth, B. E., & Humphrey, R. H. (199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1), 88-115. https://doi.org/10.5465/amr.1993.3997508
  78. Barbour, N., & Lash, M. (2009).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of young children, In S. Feeney, A. Galper, & C. Seefeldt (Eds.), Continuing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158-183).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79. Basset, R. L., Sadler, R. D., Kobischen, E. E., Skiff, D. M., Merrill, R. D., Atwater, B. J., et al. (1981). The shepherd scale: Separating the sheep from the goats.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9(4), 335-351. https://doi.org/10.1177/009164718100900406
  80. Brotheridge, C. M., & Lee, R.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ur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6(3), 365-379. https://doi.org/10.1348/096317903769647229
  81. Fowler, J. W. (1995). Stages of faith: The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quest for meaning. NY: HarperCollins.
  82. Guinness, O. (2003). The call. Nashville: W Publishing Group, a Division of Thomas Nelson, Inc.
  83. Lane, T. S., & Tripp, P. D. (2006). How people change. NY: New Growth Press.
  84. Matzenberger, J. (2013). A novel approach to exploring the concept of resilience and principal drivers in a learning environment. Multicultural Education & Technology Journal, 7(3), 192-206. https://doi.org/10.1108/17504971311328071
  85. Myers, D. G. (2000). A levels-of-explanation view. In E. L. Johnson & S. L. Jones (Eds.), Psychology & christianity (pp. 54-83).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86. Sroufe, L. A. (1983). Infant-caregiver attachment and patterns of adaptation in preschool: The roots of maladaptation and competence. In M. Perlmutter (Ed.), Minnesota symposium in child psychology (Vol. 16, pp. 41-91). Hillsdale, NJ: Erlbaum.
  87. Stoop, J. D. (2003). Ten minutes together with God. Ann Arbor, Michigan: Vine Books.
  88. Tada, J. E., & Estes, S. (1997). When God weeps. Grand Rapids: Zondervan.
  89. Tripp, P. D. (1997). Age of opportunity. Phillipsburg, NJ: P&R Publishing Company.
  90. Welch, E. T. (1998). Blame it on the brain?. Phillipsburg, NJ: P&R Publishing Company.
  91. Wong, C.,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https://doi.org/10.1016/S1048-9843(02)00099-1